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이첨” 에 대한 검색결과 5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4)

사전(4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0(명종 15)∼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여(得輿), 호는 관송(觀松) 또는 쌍리(雙里). 좌찬성 극돈(克墩)의 후손이며, 수훈(秀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범(範)이고, 아버...
    이칭별칭 득여(得輿)| 관송(觀松), 쌍리(雙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조가 병이 들자, 한희길과 함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라.’고 강하게 청하여 선조의 분노를 산다. 계축년 옥사[계축옥사]가 일어났을 때, 박응서, 서양갑 등에게 김제남을 무고하도록 사주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도적질을 하다가 잡혀 온 박응서를 불러, 국구 김제남과영창대군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양식을 준비하려고 했던 것이지, 도적할 목적이 아니라고대답하면 살려 주겠다고 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광해군의 근신으로, 대북당의 영수다. 광해군의 포악함을 도와서 나라를 어지럽게 한다. 김자점 등이 반정을 도모한다며 상소를 올리나 김상궁의 방해를 받는다. 반정이 성공한 후 도망가나 이천 땅에서 잡혀 정형을 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서국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문관부수찬(藝文館副修撰)이 되고 1618년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ㆍ이조좌랑을 거쳐 1620년 이조정랑에 이르렀다. 이듬해 종사관(從事官)이 되었다가 1623년(인조 1) ()ㆍ이정원(李挺元) 등과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벌을 받았다. ...
    이칭별칭 방언(邦彦)

고서·고문서(63)

  • 詩文門1_朴鼎吉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朴鼎吉詩 “百丈深河萬仞山, 至今沙磧血痕斑. 英魂且莫招江上, 不滅匈奴定不還.” 此朴鼎吉《挽金將軍應河詩》也. 鼎吉以之黨, 誅死於癸亥靖社, 其人無足言者. 然此詩流傳萬口, 不以人廢言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64266B06426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光海君日記 卽位年(1608) 二月 광해군일기_10002016_003 ... 爲權奸所誣陷, 至被竄逐之禍。 此國人之所共憤, 道路之所共悲也。 至如李慶全、等, 初無可據之迹, 而構成指嗾之罪。 以仁弘爲一大穽, 竝其所常怨者擠而納之...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裁, 累被斥逐. 以天將接伴官, 久在熊川倭營, 丙申以通信使入日本, 丁酉以全羅監司克著節義. 官至戶曹判書體察使, 光海癸丑, 爲所陷, 幾死幸免, 竄瓮津 ...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269 B064269 도중 島中 도서 일반 光海君日記 卽位年(1608) 九月 광해군일기_10009011_001 ○戊申九月十一日乙未(執義、司諫柳慶宗、掌令朴楗、持平金質幹、獻納李惺、正言朴汝樑·韓纘男)合司啓請李弘老拿鞫定罪,柳永慶告廟、頒敎。 答曰: “李弘老雖貸其死,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詩文門3_李白洲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李白洲詩 之當路也, 奉命西關, 其子大燁從行, 李白洲 明漢贈詩曰: “文星還與德星俱, 千里湖山興不孤. 想得關西新樂府, 一時爭唱《鳳將雛》.” 及爾瞻敗, 物論少之. 余謂不然, 爾瞻之惡未著, 其物望不在白洲下, 同爲王臣, 一時推奬, 豈有異事? 世道朝暮飜飜: 규장각본ㆍ동양문...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2)

  • 의 도학비를 깨뜨린 우계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풍수지리설에 얽힌 이야기를 청했더니, 제보자가 우리 방조어른 얘기를 하겠다고 나섰다. 좋다고 맞장구를 쳤더니 이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조사일시1984-02-21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박노문
  • 양덕리에서 태어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이이첨 이야기를 아느냐고 묻자 제보자 이병두가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10.07.16 | 조사장소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 522-29번지 삼성왕족발보쌈(식당) | 제보자이병두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극돈의 후손, 수훈의 증손, 할아버지는 범, 아버지는 우선, 어머니는 유유일의 딸이다.1582년(선조 15) 사마시에 합격, 1593년(선조 27) 광릉참봉을 지냈다. 이조정랑,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

  • 정운공신 / 定運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광해군 때 소북파 유영경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처음 책정될 때는 정인홍··이산해·이성 등을 포함하여 1등은 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 2인, 2등은 수성분충정운공신 5인, 3등은 수성정운공신 4인 등

  • 견회요 / 遣懷謠 [문학/고전시가]

    1616년(광해군 8)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5수의 연시조로 『고산유고』에 전한다. 당시의 권신이던 () 등의 죄를 규탄하는 병진소(丙辰疏)를 올렸다가 도리어 함경도 경원(慶源)으로 유배되어 30세 때에 지은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는 한결같이 젊은

  •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 仁穆王后 御筆 七言詩 [언론·출판/출판]

    조선 선조의 계비(繼妃)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쓴 해서체(楷書體) 글씨의 족자. 보물 제1627호. 글씨 아랫부분에 있는 배길기(裵吉基)라는 사람이 쓴 발문(跋文)에 의하면, 인목왕후가 대비(大妃) 때 1613년(광해군 5) ()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

  • 송정조 / 宋廷祚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 세량 증손, 할아버지는 구수, 아버지는 응광, 어머니는 윤씨이다. 권필과는 특별히 친밀한 사이였다. 그러나 과는 상종을 거부하여, 광해군 당시 북인정권하에서는 서울에 있기를 싫어하여 교하에 복거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