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이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
사전(2)
- 이이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8(선조 31)∼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 경상북도 청송). 자는 수옹(壽翁), 호는 개곡(開谷). 의성 출신. 희성(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득춘(得春)이고, 아버지는 종묘서직...이칭별칭 수옹(壽翁)| 개곡(開谷)
- 개곡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이송(李爾松)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1780년(정조 4) 전후 그의 현손인 춘보(春溥)‧택중(澤仲) 등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1811년(순조 11) 후손인 종해(宗楷) 등이 간행하였다.
고서·고문서(74)
- 이이송(李爾松)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개곡선생유집(開谷先生遺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덕교(德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082 B049082 덕교 德橋 군사교통 江都志 _ _ 橋梁 ... 甲串橋[二橋丙午年徐必遠造, 板橋.] 鰕浦橋[在府西十二里松亭面, 板橋.] 艮岾橋[在艮岾, 丁未年本府都事柳星偉造.] 佛立橋[在松亭, 板橋.] 德橋[在下道, 板橋.]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누교(樓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里松亭面, 板橋.] 艮岾橋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간점교(艮岾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29 B002529 간점교 艮岾橋 군사교통 江都志 _ _ 橋梁 ... n 樓橋[在府東南四里, 板橋.] 圮橋 甲串橋[二橋丙午年徐必遠造, 板橋.] 鰕浦橋[在府西十二里松亭面, 板橋.] 艮岾橋[在艮岾, 丁未年本府都事柳星偉造.] 佛立橋[在松亭, 板橋.] 德橋[在下道, 板...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이이송 / 李爾松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희성 증손, 할아버지는 득춘, 아버지는 의준, 어머니는 김대현의 딸이다. 김응조의 문인이다. 1635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예빈시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개곡문집』 4권이 있다.
-
개곡유집 / 開谷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이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1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1780년(정조 4) 전후 그의 현손인 춘보(春溥)·택중(澤仲) 등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1811년(순조 11) 후손인 종해(宗楷)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