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이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1)
사전(187)
- 계사왕복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18년(숙종 44) 그의 아들 언종(彦宗)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언종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 책은 첫머리에 『가례원류』 간행을 국비로 할 것을 요청한 이이명(李頤命)의 계(啓)가 있고, 왕복서간 42통으로 되어 있으며, 끝에 편저한...
- 이이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燃藜室記述 淸選考 萬姓大同譜 藥坡漫錄 朝鮮後期黨爭史硏究(李銀順, 一潮閣, 1988) 이이명(1658-1722) 1658(효종 9)-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이칭별칭 지인(智仁), 양숙(養叔)| 소재(疎齋)| 충문(忠文)
- 이이명(李頤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이명 이이명 李頤命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숙종 이기순 이범직 2015 양숙(養叔), 지인(智仁) 소재(疏齋) 문충(文忠)[방목]충문(忠文)[비문],[선원보] 양반 남자 ...
- 이봉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소(儀韶), 호는 설천(雪川).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명(頤命)이며, 아버지는 기지(器之)이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함께 피살당할 때 가...이칭별칭 의소(儀韶)| 설천(雪川)| 문경(文敬)
- 북한산성금위영이건기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을 새겼다. 즉 와비(臥碑)의 형식으로 비문의 끝부분에 ‘乙未卽大明崇禎甲申後七十二年也都堤調李頤命識(을미즉대명숭정갑신후칠십이년야도제조이이명지)’이란 명문으로 보아 1715년(숙종 41)에 도제조 이이명이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비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연계항목북한산성금위영이건기비(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碑)
고서·고문서(381)
- 天下有風,姤,后以施命,誥四方。【鄭玄本,誥作詰,形誤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710 周易四箋 卷七 ITKC_MP_0597A_0710_030_0450 天下有風,姤,后以施命,誥四方。【鄭玄本,誥作詰,形誤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周易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소재집(疎齋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소재집(疏齋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131 B027131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景宗 1年 6月 8日_003 ○判府事李頤命祭罷後出往廣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441 B07044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4年 11月 26日_004 ○備邊司, 以李明迪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소재 이이명의 연행문학 일고 : 18세기 전기 연행문학 창작층의 특성 찾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미, 게재일 : 201409965 김현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어문학회 2014 소재 이이명의 연행문학 일고 : 18세기 전기 연행문학 창작층의 특성 찾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
- 被銃殺人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오후시에 죵로등디에셔 병뎡이춍을란방야 외국인간에 피상자이 다슈다말은 작일에 긔얏거니와 기시에 춍에마쥭은 사은 경무보자관보가 이명이오 슌샤가 삼명이오 슌검이이명이오 그외에 본국인과 일본상민즁에몃명이잇스나 그 실슈 아즉도셰치못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이인명;李寅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916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41면 1. 동창회원록;8) 제8회 졸업생 1930년도 합계 52명 이인명;李寅明 평양부 신양리 139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
-
이이명 / 李頤命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밀성군 6대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적, 어머니는 황일호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지평 민채 양자로 들어갔다.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홍문관정자, 이조판서, 병조판서, 우
-
이익명 / 李益命 [정치·법제/법제·행정]
노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좌의정(左議政) 이이명(李頤命)이다.
-
사충서원 / 四忠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에 있는 서원.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이건명(李健命)·조태채(趙泰采)를 제향하기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에 건립되었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
김양행 / 金亮行 [종교·철학/유학]
1715(숙종 41)∼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아버지는 참판에 추증된 김신겸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좌의정 이이명의 딸이다. 민우수의 문인, 이간의 인물동성론에 동조한 김창흡의 영향을 받아 낙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 오직 학문연구에 전념
-
윤각 / 尹慤 [역사/조선시대사]
1665(현종 6)∼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익상이다. 1699년(숙종 25)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비변사낭관·도총부도사·초계군수 등을 역임하고, 전주영장을 거쳐 전라도수군절도사에 이르렀다. 1710년 해구의 발호가 심해지자 대신 이이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