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이” 에 대한 검색결과 34,3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135)

사전(4,209)

  • 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에 있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 ()의 묘.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15호. 봉분 앞에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묘를 바라보고 우측에 묘갈이 있다. 묘갈은 이정구(李...
    연계항목이이선생묘(李珥先生墓)
  • 김흥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영의정 육(堉)의 아버지이다. ()의 문인이다. [내용] 1585년(선조 18)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선비들의 추앙을 받았다. 1588년 강릉참봉에 임명되어 잠시 재직하다 사직하였다. 기질이 청후하며 재질이 민첩하고, 문사에 능하며 글...
    이칭별칭 선경(善慶)
  • 남회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두(杜)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98년 8대손 후빈(厚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이종기(李種杞)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세윤(李世潤)‧이후영(李厚永)의 발문과 이창현...
  • 용강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교(敎)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9년에 교의 조카 이준규(李峻奎)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명은 저자가 살고 있던 곳의 지명을 따서 지었다. 권두에 서상우(徐相雨)‧서신보(徐臣輔)의 서문과 홍예모(洪...
  • 나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장(長)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56년 장의 후손 이익현(李益鉉)‧이종현(李從鉉)‧이규호(李圭虎)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이규호의 발문이 있다. [서지...

고서·고문서(28,449)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리이트형제 황 여자 강원도 김화군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현(海林县) 해남향 남립고촌 2 2 리이트형제, 네벨, 스...
    대표표제어리이트형제 | 성씨
  • 향약의 일반(왕시의 조선에서 자치의 맹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기록은 조선총독부 사무관 도미나가 분이치(富永文一), 가 조선시대 향약의 성격, 연혁, 운영기구, 운영방식 및 기능 등에 대해 향약(鄕約)의 성질(性質), 향약실시(鄕約實施)의 연혁(沿革), 향약(鄕約)의 기관급실시방법(機關及實施方法), 향약(鄕約)의 도덕요목(道德...
    분류지방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京城)
  • 첩의 취려의 가부에 관한 건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문서의 작성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조선총독부의 13행 괘지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조선총독부에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두 5매로 간단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혼인의 무효에 관한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이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혼인의 무효에 관한 자료”로 표기되어 있으며 작성자와 작성년도는 알 수 없다. 이 자료는 모두 337면이며 국한문혼용, 한문,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혼인의 요건과 성립, 무효와 취소에 대한 기록을 수록하였으며 ...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제134 이혼에 관한 관습여하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문서는 이혼에 관하여 경성, 개성, 인천, 수원, 안성, 청주, 충주, 안동, 경주, 진주, 무안, 광주, 옥구, 예산, 은율 등 한국 중남부 지방의 관습을 조사한 것이다. B-1-250와 마찬가지로 이혼에 관한 조사항목을 크게 관습상 이혼을 허락하는지, 이혼의 명...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출판사미출판

구술자료(148)

  • 자리이타(自他)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근배 제보자의 얘기가 끝나 배형갑 제보자에게 고담을 부탁하자 잠시 생각하다 얘기를 시작했다. 커다란 목소리로 자신 있게 이야기를 이끌어 갔다.*
    조사일시1985-03-23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 | 제보자배형갑
  • 2016_033_베트남_03_원황하옌 원황하옌 베트남 원황하옌 [베트남, 여, 1997년생, 유학 1년차] 이옌 제보자의 정식 이름은 원황하옌(Wonhoang Hi Iyen)이다. 1997년에 베트남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호민두 제보자와 함께 이야기판
    원국적베트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첨의 도학비를 깨뜨린 우계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풍수지리설에 얽힌 이야기를 청했더니, 제보자가 우리 방조어른 얘기를 하겠다고 나섰다. 좋다고 맞장구를 쳤더니 이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조사일시1984-02-21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박노문
  • 율곡 의 죽음을 막으려던 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율곡 선생 일화를 청하자 다음과 같이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1-07-11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 제보자함기성
  • 호랑보다 무서운 곶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앞서 호랑이 담뱃불 이야기를 하고 난 후, 호랑이 곶감 이야기도 있다며 하면서 다음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2동 청로경로당 | 제보자김명임

기초학문(29)

  • 공중누각과 율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호, 게재일 : 2017
    60821 김경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양명학회 2017 공중누각과 율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지각설(知覺說)에 입각한 () 철학의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원재, 게재일 : 2001
    11048 정원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2001 지각설(知覺說)에 입각한 () 철학의 해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428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의 〈순언〉과 이단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427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의 〈순언〉과 이단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東大寺寫本圓融につい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18706 한국연구재단 일본인도학불교학회 2009 東大寺寫本圓融につい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680)

  • 稅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셰무관이 각디방에 하거야 결셰문부를 인계으로 각군리속등이 환산야 결셰 슈봉을져 △…△ 부에 보고야 불가불 리속즁 슈삼명식츌야 월급을쥬어 고용후에야 가히결셰를 슈봉다야 그즁 리폐가 우심고을 몃몃곳은 그러케기로 작뎡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電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에셔 쥬등을 감로 각쥬 문필로 취는데 뎐화과쥬는 반기 본과무난 뎐화 연졉름이니 뎐화무로 취난것은 가거니와 문필취난 불가다고 응시치아니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被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간사 젼 경샹감 리용직씨가 감로 잇슬에 공젼 십여만량 포흠건이 잇셔셔 탁지부에 나슈하엿더라
    게재일1901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非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셔권임 쟝인식씨가 고솔긔씨의 쥬츄돌 오를 가져갓다고 고솔긔씨가 덕관에 호소엿다 더니 다시드른즉 고씨가 집을 건츅는데 긔디밧그로 뎡초하는고로 쟝권임이 샹지하야 쥬초 긔디안으로 옴기라일 이라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陞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양쥬군슈를 부윤으로 졍다 더니 관찰부를 양쥬군으로 이셜는고로 양쥬군을 독립부로 마련슈 업는지라 다만 일등군으로만 졍다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71)

  •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의 경세론_5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5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5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5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기타자료(449)

  • 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7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출;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930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2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5)송도고보 제8회(소화2년 3월) 93명 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345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95면 1. 졸업생상황;15)사립송도고등보통학교 제8회 申愛道 校長時(1927년) 92명 만;萬 통천군 통...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9127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98면 4. 제1학년 순;順 함남 홍원군 용원면 신호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에 입학하여 졸업한 자 분;分 (현주소)강원 洪州普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243)

  • / [종교·철학/유학]

    1536-1584. 조선 중기의 유학자. 1554년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고 1년 뒤 하산하여 다시 유학에 전념하였다. 1558년 이황을 만났다. 과거에 여러 번 장원급제했고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에 10만 양병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 이리 /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있었던 지명.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서 소력지현(所力只縣)에 속하였으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 옥야현(沃野縣)으로 고쳐져 금마군(金馬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전주에 소속되었고, 1176년(명종 6) 감무가 파견되

  • 명 /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밀성군 6대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적, 어머니는 황일호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지평 민채 양자로 들어갔다.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홍문관정자, 이조판서, 병조판서, 우

  • 송 /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희성 증손, 할아버지는 득춘, 아버지는 의준, 어머니는 김대현의 딸이다. 김응조의 문인이다. 1635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예빈시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개곡문집』 4권이 있다.

  • 순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4∼1832). 음양서와 농공기술 에 두루 통달하였고, 후세의 규범으로 〈무첨가〉를 지었다. 이황의 문집을 교검, 개간하고 몽재·청벽·만호 등의 유문을 수습하여《계산세고》 3책을 만들었다. 문집으로《후계집》이 있으며, 작품으로〈화왕전〉과 〈일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