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의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90)
-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의현 영정 1669(현종 10)-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이칭별칭 덕재(德哉)| 도곡(陶谷)| 문간(文簡)
- 이의현(李宜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116 인물 이의현(李宜炫) 이의현 李宜炫 1810 ? 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회(穉晦). 1834년 25세 때 갑오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9위로 합격하였으며,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유형분류인물
- 선의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 하고 휘호(徽號)를 효인혜목(孝仁惠穆)이라 하였다. 매사에 익숙하였고 온유하였으며 소생은 없다. 지문(誌文)은 판부사 이의현(李宜顯)이 지었다. 시호는 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敬純孝仁惠穆宣懿王后)이고, 능호는 의릉(懿陵)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다.이칭별칭 선의(宣懿)|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敬純孝仁惠穆宣懿王后)
- 경자연행잡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의현(李宜顯)이 청나라에 다녀와 쓴 사행 기록. [내용] 2권. 필사본. 저자가 1720년(숙종 46) 동지사 겸 정조성절진하(冬至使兼正朝聖節進賀)의 정사로 부사 이교악(李喬岳), 서장관 조영세(趙榮世)와 함께 청나라...
- 신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안부를 물음. 適因便 略此申候, 이의현(李宜顯), 23-20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19)
- 6 第六統統首幼學李宜賢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3년_청양면(靑良面) 1783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五具足里 6 第六統統首幼學李宜賢 第一戶 鰥幼學李宜賢年柒拾壹癸巳本蔚山父學生夏源祖學生仁基曾祖學生時華外祖學生金夏九 本金海率子幼學東燁年肆拾壹癸亥率婦曹氏年參拾甲戌籍昌寧婢加音春年辛卯己未逃亡故 婢今月一所生...연도_면이름1783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五具足里
- 도곡집(陶谷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두모포(豆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8200 B078200 두모포 豆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2年 7月 13日_013 ○下直, 蔚山府使金廈樑, 豆毛浦萬戶吳嶼, 群山萬戶李義賢。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232 B01623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年 2月 15日_018 ○李倚天啓曰, 江華府別科試官李秉常, 明日辭朝云。 大提學李宜顯, 明日待開門命招, 書題書入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99 B07309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2年 閏3月 8日_009 ○有政。 吏批, 尹趾仁爲知義禁, 李善溥爲同義禁, 南道揆爲弼善, 李萬衢爲价川郡守, 李宜顯爲開城留守, 李坦爲廣州府尹, 韓重熙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곡 이의현 - 記錄癖과 기록 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은정, 게재일 : 201247465 박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2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곡 이의현 - 記錄癖과 기록 정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
- 만한지실업_1912_07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毛色の變つた成效者 黑洞隱士 6 滿鐵토大連 馨陽 9 戶籍法實施意見を讀む 雪堂 1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2
- 교육통신_1957_9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산수 교수와 현실 생활과의 련계 문제-산수 교수 요강의 교수 지시 부분 학습에서의 일부 체득 최경오 43 복식 교수에서의 학생 자작업의 조직과 그 지도 리의현 46...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57
- 조선급만주_1925_21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に於ける癩治療の成績並ひに癩患者隔離意見 志賀潔 26 精神病と遺傳の理由 久保喜代二 29 再び帝都に揚かる反軍敎運動 茅野榮 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기타자료(1)
- 이의현;李宜鉉;송평택정;松平宅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27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06면 이의현;李宜鉉;송평택정;松平宅正 경북 안동군 월곡면 사월리;경북 善山郡廳 제13회 193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
-
이의현 / 李宜顯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후천 증손, 할아버지는 정악, 아버지는 세백, 어머니는 정창징의 딸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숙종 때 대제학 송상기에 의해 당대 명문장가로 천거되었다.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
이보문 / 李普文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 유학자. 이사경 후손, 고조는 이후연, 증조는 이정악, 조부는 이세백이다. 부친 이의현과 모친 송하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신사철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잔병이 많더니 요절하였다. 슬하에 후손이 없
-
낙서집 / 洛西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장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0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730년(영조 6) 증손 세광(世光)이 편집하고, 현손인 붕익(鵬翼)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현(李宜顯)의 서문과 권말에 현손 보현(普顯)의 발문이 있다. 도산서원과 고려
-
내재집 / 耐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태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0년에 간행한 시문집. 1730년(영조 6) 홍태유의 아들 홍윤익(洪胤益) 등 3형제가 김창흡(金昌翕)·이일원(李一源)에게 편집을 위촉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현(李宜顯)·이덕수(李德壽)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
-
해동시화 / 海東詩話 [문학/한문학]
잡기(玄州雜記)』, 이의현(李宜顯)의 『도협총기(陶峽叢記)』,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 신방(申昉)의 『둔암시화(屯菴詩話)』 등의 인용서목이 보인다. 『해동시화』는 총 419화로 되어 있다. 333화까지는 국립중앙도서관도서에 있는 『해동제가제화(海東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