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의연” 에 대한 검색결과 1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2(숙종 18)∼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방숙(方叔), 호는 유시재(有是齋). 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제형(齊衡)이다. 일찍이 어버이를 여의었으나 학문에 정진하여 문장...
    이칭별칭 방숙(方叔)| 유시재(有是齋)| 충민(忠愍)
  • 윤지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듣고 탄식하여 말하기를 “전(傳)에 연고없이 선비를 죽이면 사대부는 자리를 떠나야 한다고 하였는데 나는 사대부는 못 되지만 떠나야 하겠다” 하고 벼슬을 버리고 집에 돌아갔다고 한다. 윤지술ㆍ임창(任敞)ㆍ()을 가리켜 신임(辛壬)의 삼포의(三布衣)라고...
    이칭별칭 노팽(老彭)| 북정(北汀)| 정민(正愍)
  • 이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세형(世亨). 명신(明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추(抽)이고, 아버지는 의연(宜衍)이며, 어머니는 노윤필(盧允弼)의 딸이다. 행(荇)의 사촌이다. [내용] ...
    이칭별칭 세형(世亨)
  • 김상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의 선비들과 함께 상소하여 소론의 김일경(金一鏡)ㆍ()ㆍ목호룡(睦虎龍)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 이듬해 황해도관찰사ㆍ대사간을 거쳐 1726년(영조 2) 사은 겸 동지부사가 되어 정사인 민진원(...
    이칭별칭 언장(彦章)| 소와(疏窩)
  • 이거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李聖臣)을 탄핵했으며, 영조 즉위 후 교리에 임명되었다. 이 때, 유학 ()이 신임사화 때 죽은 노론사대신(감창집ㆍ이이명ㆍ이건명ㆍ조태채)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처단을 주장하는 소를 올리자 수찬 이진수(李眞洙)와 함께 의 처벌을 진언하고, 김...
    이칭별칭 이준(彛準), 이준(而準)

고서·고문서(111)

  • 추안급국안 : 죄인 ()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334 013 甲辰 義淵推案單 죄인 () 신문기록 ○ 에 대한 방침을 논의하다 甲辰十一月十九日 辰十一月十九日領議政李光佐引見入侍時領議政李光 佐所啓金一鏡事殿下處分至爲嚴正自有此事今至數 年末得勘處莫非廷臣之罪也臣當時已以列卿豈敢以非 三司自解於今日乎此...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3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25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88. 康熙三十六年-丁丑-閏三月十九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0920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25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25-088 88. 康熙三十六年-丁丑-閏三月十九日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3.9x45 한지, 관인, 수결 1장, 43.9x...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62816 B06281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卽位年(1724) 十一月 영조실록_10011009_003 ○持平尹容上疏, 請鞫, 答曰: “義淵旣施島配之典, 何必殺而後, 始正王法耶?”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天地門3_月中微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月中微黑 日陽月陰, 故日屬天, 月屬地. 地者, 水土之聚也. 月行應潮, 潮乃地之消息, 故其. 以此推究, 月形亦必與大地相侔, 地之形土高則爲山, 土深則爲海, 月亦有如此者. 故其明處, 水氣之聚也; 其中微黑處, 土氣之聚也. 及受日之光, 水氣明, 而土氣暗也. 說者謂此山河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黃海道 庄土文績_제25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89. 康熙三十八年庚辰三月十五日尹尙膽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m(가로x세로), 한지, 관인, 우촌 1700년(?) 3월 15일 故妻鄭召史 답주 故妻鄭召史 답주 尹尙膽 尹尙膽 同生 然禮 文汝質 황해 장연 이도 황해도 장연(군/현) 이도(면/방) 토지 1 良 ...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4)

  • 회보-예수성심사랑을밧는 비산지방침산동공소, 원주교각하의모친 대례연미사거행, 해성진찰소낙성, 늑대를타살, 화란영인도에도 가톨릭이크게발전, 미국교우들하는 가톨릭교육기관유지비, 전교지방에활동인원수 50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時事經濟小論集-俄然重大化した米價對策問題 原田淸治 48 時事經濟小論集-我が貿として好調 森孝一郞 49 時事經濟小論集-日滿...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여로 10시반 성황리에 폐회하였다. 지금 표창당한 연사는 다음과 같다. (휴민) △ 민청원 1등 문창순 2등 윤병철 3등 이병순 △ 농맹원 1등 2등 채창국 3등 이호술 △ 여맹원 1등 김문옥 2등 장옥자 3등 이히순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30_01 | 날짜1947년 10월 30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항을 만장 일치로 통과 시켰던 것이다 그리고 농맹 민청에서는 징수반 감시반을 조직하여 당원 김연상 지주원 김연호 등의 동무를 위시하여 열성미넝원들의 협력과 함께 각 호별 방문으로 현물세에 대한 의의를 해설하여 가마니 새끼 등의 맹렬한 준비 공작을 전개하였던 것이...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904_02 | 날짜1947년 9월 4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92(숙종 18)∼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제형이다. 일찍이 어버이를 여의었으나 학문에 정진하여 문장과 글씨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성품은 엄정하고 청렴하여 항상 몸가짐을 단정히 하였다. 1784년(정조 8)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추증되었

  • 윤지술 / 尹志述 [종교·철학/유학]

    1697(숙종 23)∼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학자. 수 후손이다. 윤지술·임창·을 가리켜 신임의 삼포의라고 불렀다. 1725년(영조 1) 노론이 집권하자 신원되고, 1802년(순조 2) 사현사에 제향되었다. 1841년(헌종 7)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이윤망 / 李贇望 [종교·철학/유학]

    1694년(숙종 20)∼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아버지는 이경배, 어머니는 정영주의 딸이다. 처부는 이다. 재종숙 이명배에게서 수학하였는데, 모계는《소학》이 학문하는 근본임을 그에게 가르쳤다. 이후 밀암 이재를 찾아가 뵈었다. 슬하에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