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의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9)
- 원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李宜繩)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일찍이 오도일(吳道一)에 의하여 수집되어,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在...
- 이의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5(현종 6)∼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승혜(繩兮), 호는 원옹(園翁). 증조는 후천(後天)이다. 당시 뛰어난 문장가였던 오도일(吳道一)로부터 그 재주와 학식을 인정받을 정도로 ...이칭별칭 승혜(繩兮)| 원옹(園翁)
-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219 인물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 아시카가 요시카쓰 足利義勝 ? ?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 제7대쇼인(재임 1442-1443). 6대쇼인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教)의 장남. 어릴 때 이름은 천야다환(千也茶...유형분류인물
- 지락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박준우(朴浚愚)‧송근수(宋近洙)‧이세연(李世淵)‧송겸수(宋謙洙)‧송병선(宋秉璿)‧이의승(李義升) 등과 왕복한 서한은 주로 경전(經典)‧훈고(訓詁) 및 『송자대전(宋子大全)』에서 발췌한 「우문절선(尤文節選)」 등에 대한 논술이 많다. 행장은 송흠익(宋欽益)‧박...
-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미하루(三春), 초명은 요시시게(義成), 뒤에 요시마사(義政)로 개명, 법호는 지쇼인(慈照院). 제6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敎)의 3남. 1441년 부친이 암살된 후 형인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가 제7대 쇼군이 되었으나 1443년 요절함으로써 요시마사...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8)
- 3 第三統統首宣廷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學生李宜陞本慶子幼學聖國年拾陸庚午奴奉今 年壬辰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 幼學鰥夫李漢仁年貳拾壹乙丑本慶州父學生圭錫生父學生圭夏祖學生宜瑞曾祖學生慶 胤外祖學生沈基德本靑松母沈氏年伍拾丙申婢順娘年己巳婢玉女年庚辰等壬午戶口相准 第三戶 幼學李東錫改[名]圭夏年肆拾壹乙巳本慶州父學生宜瑞祖學生慶胤曾...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七周南里
- 주역대전 : 蠱卦_효사-초효-소상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왕필이 말하였다:일을 계승하기 시작 할 때, 그 때의 사정이 있어서 모두 다 계승할 수가 없으므로 뜻이 계승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初六, 與上相遠, 故以意承之. 二則與五爲應, 故五曰承以德也. 皆以卦變言也. 초육은 상효와...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능천집_陵川集18 思治論 無意於取而有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藴之匵而藏之宻與天球河圖為奕代之寳乎葢不智不勇然後可為大智大勇不恃其力然後可以大用其力役其智者則必至於闇肆其勇者則必至於困竭其力者則必至於踣以智力勝人者人亦以智力勝之矣以義勝人者天下無敵也綱紀禮義者天下之元氣也或偏或全必有在而不亡天下雖亡元氣未嘗亡也故能舉綱紀禮義者能一天下者也不能舉綱紀禮義者安于偏...국가중국 | 서명능천집 | 왕대기타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이것이 진정한 대장부의 일이라고 하였다. 園翁集序 (3) 園翁 李宜繩(1665∼1698)의 문집인 『園翁集』에 쓴 서문. 李仁平이 숙부 이의승의 문집 편찬을 완료한 뒤 간행에 앞서 서문을 부탁하자 조유수는 저자와의 관계에 대하여 적고 본 문집은 西坡 吳道一이 시문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 주역대전 : 家人卦_효사-삼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雲峰胡氏曰, 嗃嗃, 以義勝情, 雖悔厲而吉. 嘻嘻, 以情勝義, 終吝. 悔自凶而吉, 吝自吉而凶. 九三以剛居剛, 若能嚴於家人者, 比乎二柔, 又若易昵於婦子者. 三其在吉凶之間乎, 故悔吝之占兩言之. 운봉호씨가 말하였다:‘원망함[嗃嗃]’은 의리가 감정을 이김이니, 비록 엄함을...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조선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走狗) 옹호만보산농민보아산하(擁護萬保山農民保我山河) 동포속#공리의승위국가일체희생(同胞速#公理義勝爲國家一切犧牲)」 등의 표어를 빨간 종이에 써서 붙여 있었다.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조선일보 | 출판물명조선일보(朝鮮日報) 1931년 7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