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의배” 에 대한 검색결과 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많은 사상자를 내고 무너지자 비장(裨將)의 피신 권유를 물리친 채 살아남은 노비 축생(丑生)과 힘을 다해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이 싸움에서 허완‧민영 등 양 절도사도 함께 전사하였다. 조정에서는 후일 이들의 공을 가상히 여겨 부자 및 허완‧민영 등 양...
    이칭별칭 의백(宜伯)| 충장(忠壯)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충청병사. 죽산산성에세 숨어있따 조정의 분위가 심상치 않자 경사좌. 우병사를 도우러 가서 함께 패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9(선조 32)∼1624(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의 순절인.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명원(明遠). 아버지는 정사공신(靖社功臣) 의배(義培)이다. 어려서부터 힘이 세어서 장차 무장이 되기 위하여 무예를 닦아 그 기...
    이칭별칭 명원(明遠)|한원군(韓遠君)
  • 이여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1(광해군 13)∼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 할아버지는 정사공신(靖社功臣) 한천군 의배(韓川君義培)이며, 아버지는 목(穆)이고, 어머니는 연안 김씨(延安金氏)로 현령 희...
    이칭별칭 군실(君實)| 정익(貞翼)|한흥군(韓興君)
  • 근대신어 : 마르세유(馬塞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5764 마르세유 마항 馬塞里 馬塞方六百三十里許에在야 마르세유의 북방 630리 정도에 있어 兪吉濬 西遊見聞 交詢社 1895 535 マルセイユ: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81)

  • 이 43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929 0454_01 이 43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단자 한자 고문서 JL143.JPG 이 43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證憑類, 單...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43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930 0454_02 이 43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단자 한자 고문서 JL143.hwp 北面上上佐院里戶口單子 第▢統第四戶幼學年四十...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46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931 0455_01 이 46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단자 한자 고문서 JL144.JPG 이 46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證憑類, 單...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46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932 0455_02 이 46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단자 한자 고문서 JL144.hwp 이숙기 종가 이철응(종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49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933 0456_01 이 49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증빙류, 호적, 호구단자, 단자 한자 고문서 JL145.JPG 이 49세에 작성한 호구단자 證憑類, 單...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1576(선조 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흥준, 아버지는 흡, 어머니는 이우직의 딸이다.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 명천부사, 전라좌수사, 안동부사, 공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 정사공신 / 靖社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심기성 등 15명, 3등공신은 박유명·한교·송영망·이항·최내길·신경식·구인기·조흡·이후원·홍진도·원우남·김원량·신준·노수원·유백증·박정·홍서봉··이기축·이원영·송시범·김득·홍효손·김련·유순익·한여복·홍진문·유구 등 28명으로 모두 53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