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의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7)
- 이의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2(영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정중(正中)이다. 1781년 임천군수(林川郡守)를 지내고 1787년(정조 11)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1788년 대사간ㆍ형조참의를 거쳤다. ...
- 근대신어 : 전력통제(電力統制)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8472 전력통제 자항 電力統制 高度國防國家建設의 새로운 要請에 對處하여 위하여 일어난電氣事業의 新體制다 ①發送電管理의强化와 ②配電管理의 實施가卽, 그것이다. 고도국방국가 건설의 새로운 요청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어난 전기사업의 신...출전朝光[朝鮮日報社 ]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과학지식] 자연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유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매(李挺邁)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56년 7세손 창기(昌基)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강(李義綱)의 서전(敍傳)이 있고, 권말에 창기의 지문(識文)이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있다.
- 공막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완역집성 정재무도홀기』(성무경․이의강 역, 보고사, 2005) 『한어대사전(漢語大詞典)』(한어대사전출판사, 1990)
- 정재무도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饌儀軌)』(신축년(1901) 진찬의궤)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완역집성 정재무도홀기』(성무강․이의강 역, 보고사, 2005)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국립국악원...이칭별칭무동각정재무도홀기
고서·고문서(32)
- 淑善房(1812)_황해도 신천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20223 18889_0123 奎18889 淑善房(1812) 황해도 신천군 月川坪 황해도 신천군 月川坪 84 8 84결 8두락 이의강(李義綱) 이의강(李義綱)자료번호18889_0123 [奎1888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淑善房(1812)_황해도 신천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20224 18889_0124 奎18889 淑善房(1812) 황해도 신천군 月川坪 황해도 신천군 月川坪 95 3.4 95결 3.4두락 이의강(李義綱) 이의강(李義綱)자료번호18889_0124 [奎1888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記注官金景煥·承膺祚, 以次進伏訖。 肇源讀奏慶尙監司李義綱狀啓松羅察訪李功懋到任事, 晉賢讀奏慶尙監司李義綱啓本東萊府反庫事, ?正讀奏忠淸監司李泰永啓本上番忠順衛等摠數開坐事。 上命分書判付訖, 明浩·光顔等, 以無公事房先退。 上敎祉永曰, 西川府院君之祀孫鄭德彬, 承旨曾或知之, 而其族戚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005 B03500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9年 8月 14日_011 ○有政。 吏批, 判書鄭尙淳疏批未下, 參判沈?之進, 參議黃昇源進, 行都承旨尹蓍東進。 以徐鼎修爲承旨, 李度默爲兵曹參判, 金東穆爲相禮, 李亨達爲禮曹佐郞, 尹昌胤爲司?僉正, 李義綱爲司饔...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官金景煥, 記事官金履永, 檢校待敎李存秀, 以次進伏訖。 上命讀奏公事。 肇源曰, 慶尙監司李義綱狀啓, 東萊府使金達淳到任事。 義浩曰, 黃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3)
-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통해 본 고종(高宗) 신축년(辛丑年) 진연(進宴)의 문화사적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의강, 게재일 : 200435325 이의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무용학회 2004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통해 본 고종(高宗) 신축년(辛丑年) 진연(進宴)의 문화사적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9세기 초 궁중무용의 미학적 전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의강, 게재일 : 200634846 이의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6 19세기 초 궁중무용의 미학적 전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樂章으로 읽어보는 孝明世子의 ‘呈才’ 연출 의식-純祖朝 戊子年(1828) 演慶堂進爵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의강, 게재일 : 200534848 이의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5 樂章으로 읽어보는 孝明世子의 ‘呈才’ 연출 의식-純祖朝 戊子年(1828) 演慶堂進爵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
- 李義綱(昭和製車工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義綱(昭和製車工場) 진남포 李義綱 昭和製車工場 漢頭里 - - 화물차류 - - - 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義綱(昭和製車工場) | 지역진남포 | 품목- | 영업종목화물차류 | 자료출처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주제어사전(2)
-
이의강 / 李義綱 [종교·철학/유학]
1742년(영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정중이다. 1781년(정조 5) 임천군수, 1787년(정조 11)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후, 1788년(정조 12) 대사간·형조참의를 지냈다. 1797년(정조 21) 외직인 밀양부사 재직 시절 영운도차사원을
-
홍병수 / 洪秉壽 [종교·철학/유학]
1807년(순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응운, 조부는 홍경안, 부친은 홍학연이다. 외조부는 이의강, 처부는 신순이다. 1847년(헌종 13) 정시에 병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도청부사과‧양주목사‧이조참의‧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