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응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15)
- 이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60년(철종 11) 유학으로서 증광문과 복시에 합격한 뒤 이듬해 관록(館錄)에 들었다. 1866년(고종 3) 사간으로서 연차(聯箚)에 참여하여 형률의 올바른 적용을 주장하였다. 1...이칭별칭 공오(拱五)| 소산(素山)| 문헌(文憲)
- 예의속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응진(李應辰)이 상변례(喪變禮)ㆍ제례총론(祭禮總論)ㆍ제변례(祭變禮)ㆍ잡례 등 복잡한 예절과 예문을 선현의 설에 고증하여 엮은 책. [내용] 1책. 신연활자본. 1912년 김상오(金商五)가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 경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錫)‧이응진(李應辰)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윤식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93수, 권2에 서(書) 39편, 권3에 서(序) 14편, 기 8편, 발 1편, 잡저 12편, 책문(策問) 1편, 논 1편, 권4에...
- 둔오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이응진(李應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80여 수, 권2∼4는 서(書), 권5는 서(序) 7편, 기발(記跋) 9편, 잡저 10편, 언행록 및 유사 4ㆍ5편, 권6은 묘갈명 5편, 묘표 28편, 권7은 행장 12편,...
- 명담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定燮)의 『소담유고(小潭遺稿)』가 합록되어 있다. 시는 23수의 연작(聯作)으로 구성된 「동유잡영(東遊雜詠)」과 「승가사(僧伽寺)」 등의 유람시가 대표적이다. 서(書)의 「답이공오(答李公五)」는 이응진(李應辰)에게 보낸 답서로서, 당시 성행하던 민란을 염려하는...
고서·고문서(55)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096 B01709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二十二年(1878) 五月 고종실록_12205019_004 ○以李載元爲江華府留守, 李應辰爲弘文館提學, 趙羲轍爲全羅道兵馬節度使。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2책 : 黃海道延安郡米山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46. 同治七年戊辰三月十三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38.1x59.8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8.1x59.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68년(고종 5) 3월 13일 李應鎭 답주 李應鎭 답주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야기를 나누고 잤다. 이 사람은 세상일에 감탄하며 놀라기를 그치지 않는다. ○신당(神堂)에 사는 이응진(李應辰)이 감을 보내주기에, 답장을 써서 감사를 표했다. ○부호장(副戶長) 이성(李成)이 와서 날 꿩을 주었다. 二十日己卯, 晴夕陰。 二十日己卯, 晴夕陰。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안봉사(安峯寺)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54_355_073 1554년3월 ○안봉사(安峯寺)에 머물렀다 1554년 3월 14일 갑인, 잠깐 비가 내리다가 잠시 그치더니 우레도 침. ○안봉사(安峯寺)에 머물렀다. ○이응진(李應辰)도 와서 모였다. ○어사(御史) 이언충(李彦忠)【자(字)는 사...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어머니의 생휘일(生諱日)이라 당(堂)에서 제사를 지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도와 축문을 읽었는데, 닭이 운 후 바로 시작하여 날이 밝기 전에 거두었다. ○아내가 여기에 머물렀다. ○목사에게 편지로 내일 갈 것인지를 묻고, 이득전(李得荃)의 노(奴)가 이응진(李應辰)의 일로 갇혀 걱정이 된다는 뜻을 말했다. 또 안봉사(安峯寺) 승(僧)을 승군(...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21)
- 즁츄원의관 졍희린 젼원실 리응진 장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의관 졍희린 젼원실 리응진 장셕상 김오영 강국근 김창원 갈닌에 륙품 김인원金仁源 김슈金載洙 김홍金洪培 리현률李賢律 리계셩李啓性 구품 원찬슉元贊淑 리화셥李華燮으로 임고 셔흥군슈에 류셕응 리원에 려위룡 슌흥에 장룡환 졍션에 리근영 룡궁에 리인긍 미에 구연호...게재일1902년 5월 17일 | 기사분류관보
- 일젼 학당에셔 하긔시험에 우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 학당에셔 하긔시험에 우등 학원은 리응진 송언용 남궁혁 륙죵슈 신흥우 민찬호 송셕봉 류뎐 팔인이라 쟝찻 그안에 대학교를 셜시고 그 여사은 대학교에셔 갈칠 터이라더라게재일1900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농민_1933_04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미국의 금융공황과 각국에 밎는 영향 이응진 21 금춘졸업식지상축사 지도분자가 되라 정광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신인간_1934_08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응진 40 국경순회를 떠나며 최병서 44 용어해설 50 신임법정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신인간_1934_08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의 동향 SG생 33 극동정국의 전망 이응진 37 국경순회를 떠나면서 최병서 41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기타자료(4)
- 이응진;李應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407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2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4)송도고보 제17회(소화11년) 92명 이응진;李應鎭...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응진;李應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453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93면 1. 3. 각 과별 졸업생;22) 제22회 졸업생 (1940년 3월 졸업);(2) 상과 이응진;李應鎭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응진;李應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7321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16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4) 본과 졸업생;(3) 제3회 졸업생 16명 1914년 3월 이응진;李應珍 평...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70. Chun Do Religion Youth Friendly Society (Chun Do Kyo Chung Woo Dang):기록자료, 194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Allied Powers, and United Nations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1945년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에 대해 천도교청우당의 지지 성명으로서 당시중앙위원장 이응진이 1946년 4월 30일...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9)
-
이응진 / 李應辰 [종교·철학/유학]
1817년(순조 17)~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아버지는 이화면이다. 1860년(철종 11) 유학으로서 증광문과 복시에 합격한 뒤 이듬해 관록에 들었다. 사간, 우통례, 부호군, 성균관대사성, 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883년 이조참판에 올랐고, 1886년 지춘추
-
진주주문 / 陳奏奏文 [정치·법제]
1882년 고종이 임오군변 때 청으로 압송된 생부 대원군을 환국시켜줄 것을 청 황제에게 아뢰는 주문. 예문제학 이응진(李應辰)이 지었다.
-
특파변용위호사은표·방물표 / 特派弁勇衛護謝恩表·方物表 [정치·법제]
청이 1882년 6월 발생한 임오군변때 원병을 특파해 준 것에 사은하기 위해 조선에서 보낸 사은표와 방물표. 지제교 이응진(李應辰)이 지었다.
-
효정현황후전시진하표·방물표 / 孝貞顯皇后奠諡進賀表·方物表 [정치·법제]
1882년 고종이 청 효정현황후의 시호를 올린 것을 하례하기 위해 본낸 진하표와 방물표. 지제교 이응진(李應辰)이 지었다.
-
양조통상수호사은표 / 襄助通商修好謝恩表 [정치·법제]
조선이 1882년 미국과 체결한 조미통상수호조약을 청이 도와준 것에 대해 사은하기 위해 조선에서 청에 보낸 사은표. 지제교 이응진(李應辰)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