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48)
사전(1,494)
- 이흥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을 작곡하여 아동들로 하여금 즐거운 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1933년경 상경하여 경성보육학교에서 홍난파(洪蘭坡)와 함께 교편을 잡고 있으면서 동요작곡에 힘썼다. 이 시절에 이은상(李殷相)의 춘하추동의 자연을 그려낸 동요극 「꽃동산」 중 20여곡을...
- 이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방목(國朝榜目)』 『보만재집(保晩齋集)』 이은(1722-1781)이칭별칭 치호(稚浩)| 첨재(瞻齋)| 충목(忠穆)
- 이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鮮紳士名鑑)』 『동아일보(東亞日報)』 이은 1897-1970. 조선 말기의 왕족.이칭별칭 명휘(明暉)|영친왕(英親王)|영왕(英王)
- 이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벼슬을 하고 있지만 마치 은둔해 사는 것처럼 세상에 욕심이 없다는 말. 흔히 상대방을 높이는 말로 쓰임. 伏惟吏隱體神相 仰慰仰慰, 이옥(李沃), 3-9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이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특별한 은혜. 今者知申之命 又是異恩 其不以兄輕去爲罪 而益加..之盛意 蓋可想矣, 권반(權盼), 45-31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3)
- 근대 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I -러시아 편(1860-1894년)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저자 : 이은연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70310유형단행본
- 근대 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X –러시아 편(1895-1903년)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저자 : 이은연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70310유형단행본
- 근대 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XIX –러시아 편(1903-1905년)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저자 : 이은연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70310유형단행본
- Korean Tense and Aspect in Narrative Discourse [SOAS | SOAS. University of London]저자 : 이은희... | 출판사 : Saffron | 출판일 : 2013.01.분야언어 | 유형단행본Chapter One Introduction Chapter Two Dynamic Analysis of Tense and Aspect Chapter Three Overview of the Korean Tense and Aspec
-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이은경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127이 책은 한국이 산업화, 민주화 과정을 통해 시민사회로 나아가는 동안 주류 과학기술 담론으로서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기술관료주의가 형성되고, 시민사회에 의해 도전받고, 그 상호작용의 결과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사회의 참여적 전...
논문(7)
- The place of knowledge: Ch'oe Han'gi's (1803-1875) world geography Chiguchŏnyo (1857) as an encyclopedic endeavor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 Freie Universität Berlin]저자 : 이은정(Free University of Berlin) | 게재정보 : Between East and West: Transcultural Flows of Encyclopedic Knowledge 1권, 게재일 : 2014.011. Introduction: Chigu chŏnyo as case study for epistemic change Like other East Asian countries, Korea has experienced a massive influx of knowledg...유형논문
- Koreanische Gesellschaft in Deutschland: Schlaglichter auf Vergangenheit, Gegenwart und Zukunft koreanischer ehemaliger Bergarbeiter und Krankenschwestern in Deutschland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 Freie Universität Berlin]저자 : 이은정(Free University of Berlin) | 게재정보 : 50 Years of Korean Immigration to Germany. Cooperation of the Korea Foundation, Korea Verband, and Museum and Center for the Documentation of Migration to Germany (DOMID) 1권, 게재일 : 2013.11유형논문
-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tirement Pension Plan and the Limited Role of Corporatism in Korea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 Freie Universität Berlin]저자 : 이은정(Free University of Berlin) | 게재정보 : Korea's Retirement Predicament: The Ageing Tiger (Routledge) 1권 6호, 게재일 : 2013.04유형논문
- Verfassungreform als politsches Instrument: Einstellung der politischen Eliten Südkoreas zur Verfassung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 Freie Universität Berlin]저자 : 이은정(Free University of Berlin) | 게재정보 : Verfassung in Übersee (Nomos) 1권, 게재일 : 2013.01유형논문
- Wenn die Bürger nicht nur Wähler sein wollen: E-Democracy in Südkorea – ein Testfall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 Freie Universität Berlin]저자 : 이은정(Free University of Berlin) | 게재정보 : Zeitschrift für Parlamentsfrage 1권, 게재일 : 2010.10유형논문
고서·고문서(6,526)
- 이은재, 이은학, 이은성, 이은상, 이은렬, 공순녀 판결문(李殷再, 李殷學, 李殷成, 李殷相, 李殷烈, 孔順女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886-0024 국가기록원 공주지방재판소 청주지부 李殷再, 李殷學, 李殷成, 李殷相, 李殷烈, 孔順女 判決文 이은재, 이은학, 이은성, 이은상, 이은렬, 공순녀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10.4.22 판사 타나카(田中亨), 타케오(竹尾義麿), 카가미(鏡...제목이은재, 이은학, 이은성, 이은상, 이은렬, 공순녀 판결문(李殷再, 李殷學, 李殷成, 李殷相, 李殷烈, 孔順女 判決文) | 사건유형약인(略人)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은지 묘지명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027이은지 묘지명고구려-이은지 묘지명 개석.jpg 고구려-이은지 묘지명 지석.jpg [1면] 大唐故李府君墓誌銘 [2면] ■■唐故贈泉州司馬李公墓誌銘并序■■■■■■公諱隠之字大取其先遼東人也■尙書令胤即其枝類祖敬父直㦯孝德動天馳名扵樂浪㦯忠勤濟物■表扵夫餘公猒海堧之風慕洛汭之...연대739 | 서체전서체(개석) 해서체(지석) | 소재지中國 河南省 洛陽市(瀍河回族區 馬坡) 洛陽九朝刻石文字博物館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바구니 이은 부인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229 P-SDK-01229-P-E-08-01 P-SDK-01229-P-E-08-01-1 P-SDK-01229-P-E-08-01-2 바구니 이은 부인 頭に乘せて 조선풍속 부인의 생활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생활 ...자료명바구니 이은 부인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이은영(李溵永) 등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성주 명곡 벽진이씨 완석정 종택
- 이은옥(李銀玉)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구술자료(66)
- 대를 이은 은장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황천석씨가 이야기를 마치고 손님이 왔다 하면서 집으로 가자, 모두들 제보자에게 이야기를 하라고 권했다. 제보자는 마이크를 잡고 행패를 부린 사람이 집안 동생이라면서 여러 사람에게 미안하다고 정중히 사과를 하고 나서 황천석씨가 오기까지 자기가 이야기를 하겠다면서 이...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박종기
- 대를 이은 보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순경 할머니가 이야기를 꺼냈다가 다 잊었다며 중단한 뒤를 이어서, 장편의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0-03-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조유란
- 명 이은 외아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로당 방 한쪽에 앉아 있다가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꺼내었다. 이야기를 처음 시작할 때에는 다소 어색한 기색을 보였으나, 조금씩 이야기를 편 하게 하기 시작했다. 이야기할 기회가 많이 없었던 것이 원인인 듯하다.조사일시2009. 2. 5(목)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보광리 경로당 | 제보자이상순
- 이은관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은관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01 2419 황해 대담조사자료 1) 서도소리 중 배뱅이굿의 예능보유자로 강원도 이천 중요무형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은관
- 이은주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은주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F-051 1628 미상 대담조사자료 1) 이 자료는 이은주의 학습이력과 음악활동에 대한 대담자료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잡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은주
기초학문(285)
- 在韓日本人一世と二世の二言語習得と二言語接触状況 - 二言語併用能力との関わりか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노주현, 게재일 : 201761215 노주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在韓日本人一世と二世の二言語習得と二言語接触状況 - 二言語併用能力との関わりか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조선시대 官僚文人의 詩에 나타난 吏隱觀의 實際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지희, 게재일 : 201545532 강지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5 조선시대 官僚文人의 詩에 나타난 吏隱觀의 實際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易言』을 前後한 ‘기계’화 ‘제조’의 어휘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8398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0 『易言』을 前後한 ‘기계’화 ‘제조’의 어휘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이은(李垠)-나시모토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의 결혼 서사를 통한 ‘내선(內鮮)결혼’의 낭만적 재현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아, 게재일 : 201123062 이영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중서사학회 2011 이은(李垠)-나시모토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의 결혼 서사를 통한 ‘내선(內鮮)결혼’의 낭만적 재현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1) : "대화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은경, 게재일 : 200400184 이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 2004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1) : "대화이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623)
- 민세안재홍전집 : 今古情勢의 變動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011 1935 10 25 5 5 安 在 鴻 안재홍 民世漫評(五) 今古情勢의 變動 種族 民族과 그 批判 신문 조선일보 석간 1면 3단 사설 사회 직접자료 1권 民族, 地理言語 A19351025조선...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美士施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오젼 십시경에 즁셔 슈진동에셔 걸인하나이 몃칠을 먹지못얏던지 긔지경에 경상이 대단가긍 엇더 미국인이 지나다가 그모양을 보고 지화일원을쥬어보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以言廢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륙군법원리 신영씨 군인등을 죠률후에 무근지셜로 명예의관계되말을 파젼얏다고 말이되야 시무치못다더라게재일1905년 3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李殷鍾(李殷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殷鍾(李殷鍾) 서울 李殷鍾 李殷鍾 本町 2-18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51.6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李殷鍾(李殷鍾)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殷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殷雨(-) 개성 李殷雨 - 北本町 67 - - 중개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殷雨(-)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중개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멀티미디어(74)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40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41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42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43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4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기타자료(360)
- 이은영;李殷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83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8면 이은영;李殷泳 제7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은영;李恩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673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5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이은영;李恩英 경성;경성 종로5정목 36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은우;李殷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350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37면 이은우;李殷雨 대구지방전매국 안동출장소 제8회 193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은주;李殷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592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6면 이은주;李殷柱 영일군 松羅공립국민학교 제12회 193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은생;李恩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889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4면 이은생;李恩生 함남 함주군 주서면 서상리;城大 예과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4)
-
베를린자유대-보쿰대 컨소시엄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이은정 | Freie Universität Berlin | 2009 | 국외 | 해외
-
문화적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트란스코딩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이은정 | Freie Universität Berlin | 2014 | 국외 | 해외
-
왕실의 행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문식 | 단국대학교 | 2007 | 국내 | 경기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임경석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여찬영 | 대구가톨릭대학교 | 2007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65)
-
이은 / 李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81). 1740년 진사, 남평현감을 역임했다. 1759년 정시문과 급제 후에 교리가 되었다. 수찬·승지·이조참의·대사헌·이조참판·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후 찬집청도제조를 거쳐 진하 겸 사은정사로 청에 다녀왔다
-
이은 / 李垠 [역사/근대사]
1897년∼1970년. 조선 말기의 왕족.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고종의 일곱째아들, 1900년 8월 영왕, 1907년에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그해 12월 이토(伊藤博文)통감에 의하여 일본에 인질로 잡혀갔다. 1920년 4월 일본왕족 나시모토 맏딸인 마사코(방자)
-
이언언해 / 易言諺解 [언어/언어/문자]
1884년경에 『이언』을 언해하여 간행한 책. 『이언』은 청나라 정관응(鄭觀應)이 청나라의 쇠퇴를 염려하여 서양의 정치·제도·국방·경제 등을 소개하여 국세를 만회시키고자 1880년에 한문으로 간행한 책이다. 이것을 다시 한글로 언해한 것이 『이언언해』인데, 모두 한글로
-
두양리은행나무 / 斗陽里銀杏─ [과학/식물]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에 있는 은행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69호. 이 은행나무는 높이 2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9.3m, 수관(樹冠) 지름 동서 21.5m, 남북 18.3m에 달한다. 나무의 나이는 약 9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
-
거창무촌리은행나무 / 居昌茂村里銀杏─ [과학/식물]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무촌리에 있는 은행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 한 그루의 노거목으로 거창읍 남서쪽에 위치한 감악산 북쪽의 해발 800m 지점에 있는 연수사(演水寺) 경내에 자라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38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7m, 수관폭은 동서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