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윤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4)
사전(28)
- 이윤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作 抄譯)‧≪문예독본 文藝讀本≫(震光社, 1931‧1932) 등의 저서가 있다. 1962년 대한민국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한글학회50년사(한글학회, 1971) 한뫼선생(金允經, 新天地, 1954.6.) 人間 李允宰(李熙昇...이칭별칭 환산(桓山), 한뫼
- 신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2호부터 발행 겸 편집인ㆍ주간이 모두 유형기로 바뀌었고, 이윤재(李允宰)ㆍ이은상(李殷相)ㆍ이태준 등이 편집을 맡았다. 판형과 면수도 처음에는 25×17.5㎝에 30면 안팎이었으나 그 뒤 19×14㎝에 65면으로 변경, 발행하였다. 이 잡지는 동경 아오야마학원(...
- 한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大倧敎)에 입교하였다. 1930년 일제의 조선어말살정책에 항의하여 조선어학회에 가입하였으며, 이윤재(李允宰)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을 편찬하기로 하고 조선어사전편찬전임위원이 되었다. 사전을 편찬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사업이 한글의 맞춤법...이칭별칭 효창(曉蒼)
- 허무당선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 교사이며 한글학자인 이윤재(李允宰) 등이다. 『한국 아나키즘 운동사 전편-민족해방투쟁-』(조선무정부주의운동사편찬위원회, 형설출판사, 1978)
- 표준한글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윤재(李允宰)가 펴낸 국어사전. [내용] B6판. 1권 1책. 연활자본. 총 912면(일러두기 4면, 본문 908면). 1948년 고려서적주식회사에서 출판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우리말과 한자말,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사투리 및...
고서·고문서(31)
- 1900년 이윤재(李允在) 제사(題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제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제사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표준 한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표준 한글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표준 한글사전 이윤재 李允宰 고려서적 서울 1947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대표표제어표준 한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표준 조선말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표준 조선말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표준 조선말사전 李允宰 著; 金炳濟 編 雅文閣 서울 1947 언어사전; 국어사전...대표표제어표준 조선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인용하고 싶은 말이 다 있는 고품격 영어 에세이 상식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이윤재; 이종준 지음 넥서스 서울 2009 언어사전; 영어; 작문; 인용 [국회]1층 대출대 [국회]428.2 -9-4대표표제어인용하고 싶은 말이 다 있는 고품격 영어 에세이 상식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영어와문학 | 소분류영어학
- 영어에세이 상식사전 : 인용하고 싶은 말이 다 있는 고품격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격 이윤재,이종준 지음 넥서스 서울 2009 언어사전; 영어; 작문; 인용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47-9-57 [연세대]중앙도서관 [연세대]428 009가대표표제어영어에세이 상식사전 : 인용하고 싶은 말이 다 있는 고품격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영어와문학 | 소분류영어학
기초학문(3)
- 농촌 고령자주택 사례조사에 근거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윤재, 게재일 : 201460667 이윤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농촌 고령자주택 사례조사에 근거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농촌지역의 노인 주거 사적 공간 실태조사 연구 -침실과 욕실 및 화장실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윤재, 게재일 : 201460668 이윤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4 농촌지역의 노인 주거 사적 공간 실태조사 연구 -침실과 욕실 및 화장실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자의 요구를 반영한 농촌주거계획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윤재, 게재일 : 201560669 이윤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자의 요구를 반영한 농촌주거계획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40)
- 위업은 청춘에 있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8) 영웅지도자론 위업은 청춘에 있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9년 6월 23일 이윤재(李允宰) 별건곤 제21호 평론 3 이 글은 김유신의 청춘시절을 통해 절제와 애국심의 가치를 일깨우려 하고 있음. 천관녀와의 일화를 통해 김유...대표표제어위업은 청춘에 있다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윤재(李允宰) | 출처별건곤 제21호 | 키워드영웅론, 김유신, 절제, 결단력, 애국심
- 조선출판경찰월보 028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자, 보통 알고 있는 바로서는 우리 단군기원이 올해까지가 4263년(술진년에 등극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이번 개천절에 대한 이윤재(李允宰)선생의 글을 보니 4386회라고 하고 있는데 어떤 이유입니까? 기자, 귀공의 말씀대로 4263은 단군께서 등극하신 술진년부터 센...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8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30년 12월 3일
- 강원인민보_1947_061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947년 6월 14일 215 평양, 광주, 홍원 이원갑, 박동규, 서효철, 김천용, 이호근, 전재석, 신영교, 최용욱, 이극로, 이윤재 북조선통신, 조선통신, 조선어학회, 홍원경찰서 (12일 평양발 북조선통신) 광주 11일발 조선통신에 의하면...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614_02 | 날짜1947년 6월 14일
- 무궁화_1946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환 32 농민교실 권농학인 43 <한글>의 <어버이> 이윤재선생의 혈투사를 조선어학회 김병제선생에게 드름 46 저자가 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 신인간_1934_07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도의 중요성 최병서 21 한글강화 이윤재 25 원의 신세타령 이정섭 27 미곡통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멀티미디어(60)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22)
- 이윤재;李允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383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0~1941년 n.r. 171면 이윤재;李允載 조선 제8회 1929년 3월 7일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재;李允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06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0면 이윤재;李允載 경기 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재;李允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68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4면 이윤재;李允載 경기 본과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재;李允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31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7면 이윤재;李允載 경기 제6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재;李允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16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89면 (학과)본과신제도 이윤재;李允在 경성부 가회정 31-85 16회 1938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
-
한징 / 韓澄 [언어/언어·문자]
1887-1944. 항일기의 한글학자·독립운동가. 호는 효창(曉蒼). 시대일보·조선중앙일보 등의 기자로 민족언론창달에 노력했다. 조선어학회에 가입하여 이윤재(李允宰)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편찬전임위원이 되었고,〈한글맞춤법〉을 제정하고 조선표준어사정위원이 되어 표준어제
-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언어/언어/문자]
각고 끝에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주석·체재·인쇄·교정 과정에서는 편자와 교분이 있었던 이윤재(李允宰)·한징(韓澄) 등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문세영 / 文世榮 [언어/언어/문자]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 사설은 “이제야 조선말로 주석한 조선말의 사전을 조선사람의 손으로 처
-
표준한글사전 / 標準─辭典 [언어/언어/문자]
이윤재(李允宰)가 펴낸 국어사전. B6판. 1권 1책. 연활자본. 총 912면(일러두기 4면, 본문 908면). 1948년 고려서적주식회사에서 출판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우리말과 한자말,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사투리 및 특별히 많이 쓰이는 전문어·제도어를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