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윤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2)
- 汲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D_0500 汲槹 시 李胤望海 D_05_04_13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흘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빈망(李贇望)의 문집. [개설] 4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5대손 현팔(鉉八)이 편집하여 1875년(고종 12)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1874년에 쓴 허전(許傳)의 서문이, 권말에 이용기(李用基)와 4대손 수헌(壽...
고서·고문서(7)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151 B028151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30年 2月 17日_015 ○吏批, 再政。 以尹孟烈爲兵曹佐郞, 京畿水使李完植, 今加嘉善加資事承令, 兼喬桐府使單李完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鳳山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北距黃州二十五里戶一千五百六十四口六千二百軍丁侍衛軍二百三十七營鎭軍二百十船軍一百八十八土姓二李尹亡姓三朱智全外姓九崔金白韓裵【一本作表】 開黃郭車【裵以下五姓今亡】續姓三吳【海州來】 張【長城來】 康【載寧來三姓今皆爲鄕吏】人物上將軍左僕射智蔡文【顯宗時人】厥土塉多桑拓民俗以蠶事爲業墾田一萬三千三...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주역대전 : 觀卦_효사-삼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서로 아버지라고 칭한 뜻과 같습니다.〉 【이지연(李止淵) 『주역차의(周易箚疑)』】 吾斯之未能信也者, 㓒雕開之觀我而退也. 非予覺之而誰也, 如欲平治天下, 舍我其誰也者, 伊尹孟子之觀我而進也. 三爲進退之位, 巽有進退之象也. ”제가 이것을 아직 믿을 수 없습니다” 『論語‧公冶...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用賢章第二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商。” 蔡氏曰: “先正, 先世長官之臣。 保, 安也。 保衡, 猶阿衡。 作, 興起也。 撻于市, 恥之甚也。 不獲, 不得其所也。 高宗擧伊尹之言, 以伊尹望傅說。” 惟后非賢不乂, 惟賢非后不食。 其爾克紹乃辟于先王, 永綏民。 說拜稽首曰: “敢對揚天子之休命。” 蔡氏曰: “言君臣相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號: 鰲洲, 1600∼1650)의 행장이다. 內兄成均生員可隱趙公行狀 (13) 趙學洙(字: 晦之, 號: 可隱, 1739∼1823)의 행장이다. 조학수의 초기 이름은 ‘豹然’이다. 屹峯處士李公行狀 (19) 李贇望(字: 君兼, 號: 屹峯, 1694∼1773)의 행...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이윤망 / 李贇望 [종교·철학/유학]
1694년(숙종 20)∼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아버지는 이경배, 어머니는 정영주의 딸이다. 처부는 이의연이다. 재종숙 이명배에게서 수학하였는데, 모계는《소학》이 학문하는 근본임을 그에게 가르쳤다. 이후 밀암 이재를 찾아가 뵈었다. 슬하에 아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