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유원” 에 대한 검색결과 3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7)

사전(144)

  • 냉천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권병헌(權秉憲)‧권병주(權秉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현손인 수영(秀榮)의 후서, 권석장(權錫璋)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4(순조 14)∼1888(고종 2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춘(京春), 호는 귤산(橘山)ㆍ묵농(默農). 이조판서 계조(啓朝)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ㆍ규장각대...
    이칭별칭 굉보(宏甫),흠부(欽夫)| 냉천(冷泉)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로대신이다. 민왕비는 고종에게 대원군의 섭정으로 이름만 왕이라며 청국 나아가 기타 외국과의 관계 등을 말한다. 이에 고종은 원로대신인 을 청국으로 파견한다. 당시 청국 집정대신 이홍장에게 예물을 후하게 주고 완화군이 비록 첫째 아들이지만 세자 책립은 불가하다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098 인물 () 1814 1888 조선 말기의 문신. 자는 경춘(京春), 호는 귤산(橘山)‧묵농(默農). 184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고종 초에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나 흥선대원군...
    유형분류인물
  • 소악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이 지은 악부시. [개설] 필사본. 작자의 문집인 『귤산문고(橘山文稿)』 가오악부조(嘉梧樂府條)에 「해동악부」 116수, 부록 5수 도합 121수와 함께 「소악부」 45수가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의 『귤산문고...

단행본(1)

  • 문명의 충격과 근대 동아시아의 전환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송성유(북경대학역사게 교수), 송규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안대옥(고려대학...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2.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4)20세기 초 동북의 정세변화와 한인자치운동 제2부 언더, 문학과 번역 (1)근대 전환기 중한 양국의 서구문학 수용양상 (2)중국 근대 매체와 지식으로서의 朝鮮 (3)의 乙亥

논문(1)

  • 의 을해연행과 강화도조약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鄭墡謨(中國海洋大學) | 게재정보 : 동방한문학 1권, 게재일 : 2012.09
    유형논문

고서·고문서(210)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19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四牛巖里 7 第七統統首 第一戶 忠翊年肆拾貳戊戌本慶州父聖大祖世興曾祖春培外祖김碩重本김 海妻尹姓年參拾肆丙午本坡平父莫乃祖俊伊曾祖山平外祖嚴加支本寧越女 年拾貳戊辰奴獻山年柒拾庚午等丙子戶口相...
    연도_면이름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四牛巖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9년_웅촌면(熊村面) 1849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六德峴里 3 第三統統首 第一戶 黃山道驛吏年肆拾捌壬戌本慶州父岑금祖春三曾祖斗億外祖李 先倍本全州母李姓年捌拾陸甲申妻李姓年肆拾伍乙丑本慶州父景晋祖種林 曾祖厚時外祖김昌奎本김海婢太月年乙亥前逃亡...
    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六德峴里
  • 1762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763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755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8). 이계조의 아들이다. 1865년 《대전회통》 편찬 총재관을 지내고,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영의정에 올랐다.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였다. 저서로 《임하필기》·《가오고략》 등이

  • 대성리유원지 / 大城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유원지. 경춘선 및 경춘국도를 따라서 마석을 지나 구운교를 넘어서는 곳에 위치하며, 대성리역을 중심으로 북한강변을 따라 남북으로 8만여 평의 부지에 넓은 레저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대성리유원지에는 산책로, 피크닉장, 야영장에 숲길 등

  • 만개헌집 / 晩開軒集 [종교·철학/유학]

    만개헌 권우준의 문집. 석인본. 1978. 후손 권태원, 권종화, 권오성 등이 힘을 모아 1978년에 간행하였다. 권1과 권2에는 325수의 시가 실려 있다. 권3에는 권돈인, 등에게 보내는 33편의 편지, 11편의 기문과 가장 등 10편의 전장이 실려 있다

  • 정기회 / 鄭基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9∼?). 1864년(고종 1)에는 참찬관으로, 민본사상과 왕위의 지고함을 강조하였다. 1874년 영의정 의 추천으로 정2품에 올랐다. 1889년 영조의 묘호를 개정, 1892년 세조·인목왕후의 존호를 추상할 때에 악장문 제술을 담당하였다

  • 조숙하 / 趙肅夏 [종교·철학/유학]

    1844년(헌종 1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조재호 후손, 고조는 조관진, 증조는 조운익, 조부는 조용화이다. 부친은 조연권, 모친은 의 딸이다. 생부 조연흥과 생모 박영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기세의 딸이다. 1866년(고종 3) 정시 문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