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유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19)
- 이유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5(헌종 1)∼?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선(景先). 영의정 이항복(李恒福)의 9대손으로, 아버지는 이계선(李啓善)이다. 대한민국 초대부통령인 이시영(李始榮)의 아버지이다. [생애와 활동사항]...이칭별칭 경선(景先)| 효정(孝貞)
- 속소악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이유승(李裕承)이 지은 악부시. [구성 및 형식] 1책. 필사본. 『삼가악부(三家樂府)』에 10수가 실려 전한다. 이유승은 호가 동오(東梧)이다. 문집이 전하지 않아 그에 대해서는 달리 상고할 길이 없다. 원세순(元世...
- 벽제관전투(碧蹄館戰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기병만으로 고전을 면하지 못했으며, 사방에서 조총의 집중사격을 받아 참패하였다. 이여송은 지휘사(指揮使) 이유승(李有昇)의 희생으로 간신히 탈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늦게 도착한 부총병 양원(楊元)이 거느린 화군(火軍)의 맹활약으로 일본군은 혜음령을 넘지 못하고 철수...유형분류사건
- 무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탈이 없음 宗末渴候少差 而身姑無頉 以是爲幸耳, 이유승(李裕承), 42-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갈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소갈후(消渴候), 소갈증. 당뇨병(糖尿病). 宗末渴候小差而身姑無. 以是爲幸耳., 이유승(李裕承), 42-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1)
- 1911년 신서국(申瑞國)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李裕承, 同副承旨 洪永禹 등이 지금 傳敎한 죄인 李載先의 濟州牧에 안치하라고 명한 것을 거두어 달라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51)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麟趾堂에서 평안도 청남 암행어사 李裕承을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77)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0. 17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국정사(國淨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152 B030152 국정사 國淨寺 문화 江都志 _ _ 佛寺 ... 0103]龍堂墩之間. 壬申年, 自本府募僧, 且令將校監役, 癸酉畢役. 寺屬鹽盆一處, 津船一隻. 當初營建, 爲守城堞, 而留僧不滿數三, 守臣留意, 召募最善.] 水陸庵[在府內七里, 南山之南麓.] 國淨寺[...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948 B033948 남산 南山 산악 江都志 _ _ 佛寺 ... 龍津鎭龍堂墩之間. 壬申年, 自本府募僧, 且令將校監役, 癸酉畢役. 寺屬鹽盆一處, 津船一隻. 當初營建, 爲守城堞, 而留僧不滿數三, 守臣留意, 召募最善.] 水陸庵[在府內七里, 南山之南麓.] 國淨寺[在高麗山...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8)
- 특진관 김셩근 리유승은 슝록을 승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특진관 김셩근 리유승은 슝록을 승 고 특진관 리승슌 셔상조 졍헌을 승고 특진관 리근슈 윤용식 윤셩진과 외부대신 박졔슌과 죵이품 김셕근은 졍이품을 승고 륙품 박진 리영두 최윤승은 졍삼품을 승다게재일1900년 2월 8일 | 기사분류관보
- 즁츄윈 의장 졍낙용 특진관 리유승 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윈 의장 졍낙용 특진관 리유승 즁츄원 의관 김규희 궁부 회계원경 민영션은 다 상소 야 갈니고평리원 검 장봉환은 렬 상소를 엿더니 비지에 양말고 공라 옵시다게재일1900년 3월 19일 | 기사분류관보
- 苧洞設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시위 친위 이대를 셜시는지라 져동거 젼판셔 리유승씨의집을 원슈부에셔사셔 영문을 만든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팔월 십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셔샤 죵일품 김셩근으로 산릉에 셕물 즁슈 도감 제됴를 명옵시고 죵일품 리완과 즁츄원 의관 리유승으로 궁부 특진관을 명옵시고 죵일품 윤우션으로 홍문관 학를 명옵시다게재일1898년 8월 11일 | 기사분류관보
苧洞工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져동 젼판셔 리유승씨의 집을 졍부에셔 슈야 영문을 셜시다 더니 공병 영문이 실시되지라 작일부터 리판셔집에 약간 관과 병뎡이 유쥬야 파슈엿다더라게재일1903년 5월 4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이유승 / 李裕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5∼?). 이항복 9대손, 아버지는 이계선이다. 대한민국 초대부통령인 이시영의 아버지이다.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좌승지·한성부판윤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중국의 사신을 호송하는 반송사를 맡았고 일본과의 을사늑약을 반
-
속소악부 / 續小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유승(李裕承)이 지은 악부시. 1책. 필사본. 『삼가악부(三家樂府)』에 10수가 실려 전한다. 이유승은 호가 동오(東梧)이다. 문집이 전하지 않아 그에 대해서는 달리 상고할 길이 없다.「속소악부」는 「백구맹(白鷗盟)」·「촉혼원(蜀魂怨)」·「노장지(老將
-
근사재유고 / 近思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최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37년 그의 증손인 정우(珵宇)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유승(李裕承)의 서문과 권말에 정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