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위종” 에 대한 검색결과 2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뒀다. 이때 등 세 밀사에게는 일본 통감부에 의한 궐석재판에서 종신징역형이 선고되었다. 7월 14일 헤이그에서 순국한 이준을 묻어 주고, 이상설을 따라 프랑스‧영국‧미국을 순방한 다음 러시아로 돌아갔다. 그 뒤 블라디보스토크와 페테르스부르크를 왕...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준ㆍ이상설과 함께 화란의 해아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의 친임장을 가지고 참석하여 조선의 자주권을 온 세계에 알리려 하나 일본대표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송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소나무와 가래나무. 묘 주변에 많이 심기 때문에 선영(先塋)의 뜻으로 씀. 今.上章乞免 若得順遞 直歸西原松楸 焉之計, 이수언(李秀彦), 23-14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이상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준ㆍ과 함께 화란의 해아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의 친임장을 가지고 참석하여 조선의 자주권을 온 세계에 알리려 하나 일본 대표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상설ㆍ과 함께 화란의 해아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의 친임장을 가지고 참석하여 조선의 자주권을 온 세계에 알리려 하였으나 일본대표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자결하고 만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85)

  • 조선인 의 헤이그 평화회의 연설에 관한 프랑크푸르트 신문의 1907년 7월 9일 보도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선인 의 헤이그 평화회의 연설에 관한 프랑크푸르트 신문의 1907년 7월 9일 보도 1907.07.09 1907.07.09 베를린...
    대표표제어조선인 이위종의 헤이그 평화회의 연설에 관한 프랑크푸르트 신문의 1907년 7월 9일 보도 | 수신지베를린
  • 9117 B00911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12月 17日_022 ○又啓曰, 今此江都築城時, 凡大小事, 留守當爲次知, 而主管堂上二員, 亦宜一體看檢, 寅燁·鎭遠, 使之交替往來, 始完役之地, 何如? 上曰, 依爲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206 B00920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12月 17日_022 ○又啓曰, 今此江都築城時, 凡大小事, 留守當爲次知, 而主管堂上二員, 亦宜一體看檢, 寅燁·鎭遠, 使之交替往來, 始完役之地, 何如? 上曰, 依爲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495 B07049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14年 3月 10日_023 ○又以備邊司言啓曰, 昨日政東萊水使, 移拜全羅兵使矣, 各梱邑之次次遷轉, 自致交替之遲滯, 實爲可悶。 慶興府使李熙碩, 分付銓曹, 使之明日辭朝, 速交代之地,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3_豹文鼠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豹文鼠 郭璞《爾雅序》云: “‘爾雅’者, 興於中古, 隆於漢氏, 豹鼠旣辨, 其業亦顯.” 邢昺《疏》軍事, 今《事文類聚》引《竇氏家傳》以爲竇攸事. 考諸《前漢書》, 軍之本傳, 無此說, 恐是昺之誤. 後璞之孫某《疏》云: “璞, 晉代忠臣; 昺, 宋時小人, 郭《註》、邢《疏》不宜竝...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4)

  • 인쳔 감리셔쥬 오필영 갈닌에 강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쳔 감리셔쥬 오필영 갈닌에 강하형姜夏馨으로 임고 길쥬감리셔쥬 동근 갈닌에 박병양朴丙陽으로 임고 리위죵으로 쥬차범국공관 셔긔을 임다以上七月十八日 함경북도 관찰부쥬 송흥션 갈닌에 박영쥰朴榮駿으로 임고 츙쳥남도 관찰부쥬 최창희 갈닌에 리상...
    게재일1902년 7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10호 중앙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의 헤이그평화회의에서의 독립청원, 최익현(崔益鉉) 등의 독립운동 같은 것은 모두 굉굉열열(轟轟烈烈)[장열하다]한 반제국운동의 선봉으로서(중략)… 유럽전쟁 후 베르사유 강화회의 때 조선인은 대규모의 독립운동을 개시하고 상해(上海)에 임시정부 의정원을 설립하고...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0호 중앙일보 | 출판물명중앙일보 부록 신성(新聲) 1929년 5월 18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민성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과 함께 화란(和蘭)[네덜란드] 수부(首府) 해아(海牙)[헤이그]에서 개최된 만국평화회(萬國平和會)에 한황(韓皇)의 밀사로 참렬(參列)하려고 가서,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주인을 잃은 서전의숙(瑞甸義塾)도 따라서 폐지될 운명을 맞이했다. 그 때부터 불완전...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민성보 | 출판물명민성보(民聲報)
  • 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야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남을 법 하다. 큰 뜻을 성공하는 일개여장군(日凱旅將軍)의 기세를 가지고 호화스러운 몸에 모두 나라의 들어온 것을 멀리 그의 나라에 대한 희망을 안고 있었다. 이준은 북간도에 두 사람의 동료 이상설, 과 동행하여 헤이그에 왕래했었으나 화란의 수도에서 돌아오지 못...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야담 | 출판물명야담(野談) 7월호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외교관·독립운동가(1887∼?). 1907년 고종의 밀사로 이준·이상설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참석하려다 좌절, 만국기자협회에서 일본의 침략만행을 여론에 호소했다. 후에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수여되었다.

  • 이준 / 李儁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순국열사·애국계몽운동가(1859∼1907). 일제와 친일조직인 일진회에 맞서 대한보안회·공진회 등을 조직하였다.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상설·과 함께 헤이그 세계평화회의에 참석하려고 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순국

  • 이상설 / 李相卨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독립운동가(1870∼1917). 고종의 밀지를 받아 이준·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참석하려 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거부당했다. 1914년 이동휘·이동녕·정재관 등과 중국과 러시아령 안에서 동지들을 규합해 대한광복군정부를 세워 정통령에 선

  • 최재형 / 崔在亨 [역사/근대사]

    , 이범윤(李範允)으로 하여금 거사하게 하였다. 1908년 3월 해이그특사였던 ()이 군자금 1만루블을 가지고 와서 군사의 사기를 높였고 이를 계기로 다음해에 해삼위(海蔘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범윤과 같이 의병 600명으로 의진을 정비하고, 이해 7월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