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원휘”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고서·고문서(3)

  • 爲五衛將, 以崔泰齊爲鹿島萬戶, 以任繼勳爲忠翊衛將, 以金俊弼爲水口萬戶, 以金沚源爲植松萬戶, 以李震華爲大丘營將, 以李世澤爲司禦, 以崔寅錫爲加里浦僉使, 以鄭時和爲訓鍊判官, 以崔錫恒爲知中樞府事, 以李汝澤爲城津僉使, 爲副摠管, 以具鳳昌爲忠淸水使, 以韓爾錫爲東里僉使, 以鄭時...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추안급국안 : 죄인 목시룡(睦時龍) 신문기록(2)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於尙儉曰今番平兵特除之事前古 所無因何故耶尙儉曰自上下問于吾曰平兵之任曾經阃帥中有 可合者而亦有特除之規乎吾以自上欲爲之則有何不可而已 行阃帥中無出元徽之意仰達則自上特下除命云而以此自矜 是白去乙矣身曰已行阃帥者非特元徽則汝何必擧對乎 尙儉曰徽前任寧邊時言于吾曰若得平兵則當以汝父爲褊裨 云故吾...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4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토론하는 내용이다. 答李仲涵-源彙 (40) 에게 답한 편지이다. 敬의 방법은 하나가 아니지만 그 지극한 곳을 논한다면 主一이 아님이 없으니, 비록 사물이 한꺼번에 닥쳐오더라도 번쇄하게 대응하여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하나의 단락마다 자신의 分을 다할 수 있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이승간의 후손이다. 품행이 단정하고 효우가 돈독했다고 전한다. 학문에 뜻을 두고 성담 송환기의 문하에 나아가 배웠다. 학행이 뛰어났다. 스승 송환기가 죽자 그의 행장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