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원회” 에 대한 검색결과 1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30)

  • 이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8(선조 1)∼1624(인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초명은 향(享). 자는 광중(光仲), 호는 호봉(壺峰). 아버지는 참봉 원회(元晦)이다. 이공(李珙)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
    이칭별칭 광중(光仲)| 호봉(壺峰)|향(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5(순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아산 출신. 성제(聖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화(東華)이고, 아버지는 상겸(尙謙)이며, 어머니는 김인상(金麟相)의 딸이다. 1828년(순조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7(순조 27)∼? 조선 말기의 무관.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중곡(中谷). 기석(基碩)의 아들이다. 무과 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宣傳官)ㆍ금위영천총(禁衛營千摠), 승정원의 동부승지ㆍ좌부승...
    이칭별칭 중곡(中谷)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093 인물 () 1827 ? 조선 말기의 관리.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선경(善卿), 호는 중곡(中谷). 이기석(李基碩)의 아들. 1864년부터 선전관(宣傳官), 승정원의 동부승지, 태...
    유형분류인물
  • 이회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4(선조 27)∼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문상(文祥), 호는 석병(石屛). 희청(希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원회(元晦)이고, 아버지는 헌납 형(亨)이다. 1...
    이칭별칭 문상(文祥)| 석병(石屛)

고서·고문서(30)

  • 을해년 () 수표(手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표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1886년 김관표(金官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6년3월 27일에 답주 가 전라도 나주목 금마면 반계촌앞 유항평(오늘날 전남 영암군 금정면 남송리 반계)의 논을 김관표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논은 3마지기 면적이며, 거래가격은 33냥이다. 이 자료는 조선조 후기 나주지역의 토지경제사를 연구하...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나주 남내 밀양박씨 청재종가
  • 236298 B236298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9年 5月 1日_005 ○備忘記, 黃海兵使下直, 長弓一張, 長箭一部, 片箭一部, 筒兒一箇賜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경일기(東京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경일기(東京日記)』는 1881년(고종18)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혹 紳士遊覽團)의 조사(朝士)()의 수행원이었던 송헌빈(宋憲斌)이 일본을 시찰하고 온 내용을 적은 일기이다. 일기는 서울을 출발한 1881년 3월 31일부터 일본을 거쳐...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3020902015302090_001 李太王實錄資料9 자료제94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31 009 53 1881년 2월 10일(음력) 통리기무아문의 계에 따라 를...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45)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永山材木店 ) 수원 永山材木店 細柳町 279 - - 목재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源樑(永山材木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목재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고 볼 수 있다. 중앙집해우에서 국제로동계급의 □(4자 불명)에 대한 동의에 있어서 완전 합의를 보았고 단결 생산 위에서 동 위원회의 전 사업은 근로대중의 민주주의적 권리와 로동자의 경제적 이해를 위하여 반동과 파시즘 □□□인에게 항거하는 투쟁으로서 직련의 보다...
    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726_04 | 책임주필김윤복
  • 로 의거를 일으켜 불반부에 입북한 의거부대 장병들의 거사를 찬양하여 재일조선민주청년동맹 중앙상입집해우와 재일조선민주녀성동맹에서 보낸 편지가 최근의거부대 장병들에게 도달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19_03 | 책임주필강길모
  • 에 양양군 현북면 말곡리 여성동맹원 85명은 위원장 김순애 씨의 조직적인 지도 밑에 지난 10일 총회를 열고 녹비 채취에 대한 면 여매우의 지시를 접수하면서 애국적 열의에 넘치는 열렬한 토론 끝에 11일부터 1주일간을 녹비 채취 돌격주간으로 정하고 전 맹원을 10...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928_02 | 날짜1947년 9월 28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당은 북조선인미누에서 발표한 20개 조 강령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정부의 수립을 절대로 주장하는 바이다. 해방된 조선인민 만세! 민주주의적 완전 자주독립 만세! 위대한 제련합국 만세! 1946년 4월 1일 조선민주당 제2회 중앙위원회
    대표표제어정로_1946_0410_03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946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59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2을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14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40면 1. 본년도 회원 씨명;1학년 을반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도(順道)와 아도(阿道) 두 승려가 소수림왕(小獸林王) 갑술에 고구려에 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復尅長安 擅威關洛 時有博陵崔皓 小習左道 猜嫉釋敎 旣位居僞輔 爲燾所信 乃與天師冦謙之 說燾 佛敎無益 有傷民利 勸令廢之云云 大平之末 始方知燾將化時至 乃之日 忽杖鍚到宫門 燾聞令斬之 屢不傷 燾自斬之 亦無傷 飼北園所飬虎 亦不敢近 燾大生慙懼 遂感癘疾 崔冦二人 相次發惡病 燾以過...
    대표표제어순도(順道)와 아도(阿道) 두 승려가 소수림왕(小獸林王) 갑술에 고구려에 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14년(甲午/신라 지증마립간 15, 법흥왕 1/고구려 문자명왕 23/백제 무령왕 14/梁 天監 13/倭 繼體 8)
  • 중국으로부터 백제에 불교가 전해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師冦謙之 說燾 佛敎無益 有傷民利 勸令廢之云云 大平之末 始方知燾將化時至 乃之日 忽杖鍚到宫門 燾聞令斬之 屢不傷 燾自斬之 亦無傷 飼北園所飬虎 亦不敢近 燾大生慙懼 遂感癘疾 崔冦二人 相次發惡病 燾以過由於彼 於是 諌滅二家門族 宜下國中 大𢎪佛法 始後不知所終 議曰 曇始以大元末...
    대표표제어중국으로부터 백제에 불교가 전해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14년(甲午/신라 지증마립간 15, 법흥왕 1/고구려 문자명왕 23/백제 무령왕 14/梁 天監 13/倭 繼體 8)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827년(순조 27)∼미상. 조선 말기의 무관. 이기석의 아들이다. 무과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금위영천총,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좌·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81년초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 같은해 11월 군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