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원익” 에 대한 검색결과 5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5)

사전(30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고 뽕을 심어 누에 칠 줄을 몰랐던 안주 지방에 그가 권장해 심어 백성들로부터 이공상(李公桑 : 에 의해 계발된 蠶桑이라는 뜻)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한다. 그 뒤 임진왜란 전까지 형조참판‧대사헌‧호조와 예조판서‧이조판서 겸 도총관‧지의금부사 등을 역임...
    이칭별칭 공려(公勵)| 오리(梧里)| 문충(文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독립운동사략(獨立運動史略)』(김병조, 1920) 단체사진 1885(고종 22)-1963. 독립운동가. 목사. 사진의 왼쪽 위.
    이칭별칭원익(元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이 끝난 후 함경감사로 부임한다. 관비 옥경선의 미모를 듣고, 그에게 수청을 요구한다. 옥경선이 남윤과의 가약에 대해 원정을 올리니 아름답게 여겨 남두성에게 전하나, 남두성과 이경희가 죽은 것을 알고는 옥경선을 첩으로 삼고자 수청을 강요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의 장수이다. 천자가 직접 전쟁터로 나갔을 때 부원수에 제수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순찰사로, 순안에 진을 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67)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1년_내상면(內廂面) 1771년 내상면(內廂面) 第一南門內里 6 第六統統首 第一戶 別砲手李益元年參拾柒乙卯本慶州父正兵春伊祖正兵莫石曾祖正兵幸以外祖正兵卞興白本草溪妻朴 召史年參拾肆戊午本密陽父正兵夢守祖夫枝曾祖不知外祖不知率子惡只年捌甲申等戊子戶口相准 ...
    연도_면이름1771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內里
  • 오리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개인-생활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299 B000299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仁祖實錄 九年(1631) 三月 인조실록_10903028_001 ○壬寅 / 領府事, 聞椵島生變, 眞殿被災, 自衿川入來。 上聞之大悅, 遣承旨存問。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相有陞降乎? 尙喆曰, 古相臣李恒福·李德馨爲相時, 以復拜領相, 降爲左右相矣。 上曰, 賜几杖乎? 尙喆曰, 然矣。 許穆亦賜几杖矣。 上曰, 後孫誰也? 濟恭曰, 李謙鎭而以壯元及第, 特除承旨者也。 諸臣以次退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5)

  • 오리정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48]을 듣고 청중, 조사자, 제보자 모두가 크게 웃었다. 한참 후 웃음을 진정하고 다시 이야기를 했다. *
    조사일시1984-03-26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주암면 | 제보자고광옥
  • 의 재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17 | 조사장소충청북도 중원군 노은면 | 제보자유태선
  • () 대감의 기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벌써 자정이 가까운 시각이었다. 한 마디만 더 하고 판을 끝내가며 끝으로 꺼낸 이야기가 이것이다. 명관(名官)으로서의 주인공의 면모를 거의 망라주의적인 태도로 두루 보여주고 있는 이야기이다. *
    조사일시1983-11-30 | 조사장소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 제보자이호승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자, 차전(車前), 전실, 시호(柴胡), 전호(前胡), 목통(木通), 인삼(人蔘),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청서육가탕[淸暑六和湯], 기탕(氣湯), 오가탕(五加湯), 사물탕(四物湯), 신농씨 백초약을 갖가지로 다 써도 효험 보지를 못하리다. 침으로 논지허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자, 차전(車前), 전실, 시호(柴胡), 전호(前胡), 목통(木通), 인삼(人蔘),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청서육가탕[淸暑六和湯], 기탕(氣湯), 오가탕(五加湯), 사물탕(四物湯), 신농씨 백초약을 갖가지로 다 써도 효험 보지를 못하리다. 침으로 논지허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신문·잡지(5)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德馨, 申叔舟, 李恒福, , 柳成龍 A19250904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애국가(愛國歌)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애국가(愛國歌)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0호 愛國歌 1907.05.24. 講壇/學園 260~261 355~356 () 대한제국     애국가 반석(磐石),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야금과 13명 계 37명으로 채광과 과장 교원과 기타 기술교원들의 지도 밑에 평상시 교실에서 습득한 리론을 실제적으로 리용하여 기술을 연마하려는 진지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하여 채광과와 지질과 학생들은 손수 간드랫불을 잡고 로동자들과 같이 항내에서 채광에 로...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108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호익 〃 진광선 〃 최치백 〃 임병길 〃 김빈성 〃 오원환 기사 김덕창 기수 오태준 〃 정찬옥 〃 김용섭 〃 강봉생 〃 홍□순 〃 조영택 〃 서기석 〃 김관운 〃 최덕하 〃 장만덕 기수 최용삼 〃 〃 방제순 〃 길현수 〃 김경멸 〃 최신풍 〃 김국히 〃 박찬백...
    대표표제어로동자신문_1947_0607_01 | 책임주필공성회(孔成檜)
  • 대한뎨국신민들이미국에두류 졍황 (뎨이호) 신흥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각디방에 한국신민들이 널녀 잇슴은 작일에말삼엿거니와 오날은 학들과여러협회들을 말건 각쳐학교에셔공부쟈들즁젼문학이둘이오 문학이 넷인문학들은 으로녹대학교에 씨오걸엄비아대학교에 리승만씨오 위사리대학교에 안뎡슈씨오 덜웨야에 하씨부인이니 급년에 죨업...
    게재일1906년 8월 15일 | 기사분류기타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73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9면 ; 경기 利川;경성부 봉익동 38-19 재학생 제2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4060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45면 ; 경기 제16회 193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147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7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3) 제2학년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722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6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1) 제29회 150명(1933년 3월 졸업) ;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166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4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0) 제10회 졸업생 30인(1917년) ; 평북 구성군 사기면 신시...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정은 증손, 할아버지는 표, 아버지는 억재, 어머니는 정치의 딸이다. 강서·조충남 등과 교유하였다. 키작은 재상으로 널리 불렸다. 1569년(선조 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듬해 승문원권지부정자로

  • 선생영정 / 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의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은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른 후 1573년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1575년 이후 정언(正言)·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 광명 초상화 / 光明 肖像畵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의 문신이었던 의 초상화. 인물의 모습과 자세는 보물 제1435호로 지정된 의 초상화와 거의 같은데 다만 바닥에는 채전이 그려지지 않았다. 자세히 살펴보면 오사모에서부터 얼굴 부분을 포함하여 흉배 위까지는 별도의 종이에 그렸던 것을 오려 붙인 것이다

  • 광명 친필유묵 / 光明 親筆遺墨 [예술·체육/서예]

    조선 중기 이 포은 정몽주 등의 시를 초서로 쓴 서예 작품. 의 친필 유묵은 이 영의정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말년에 손녀 이계온(李季溫)과 손자 등 후손에게 포은 정몽주 등이 지은 한시를 초서(草書)로 써서 남겨 준 서예 작품 13점이다. 이 친필

  • 계해사궤장연첩 / 癸亥賜几杖宴貼 [역사/조선시대사]

    1623년 의 궤장(几杖) 하사 축하연에서 지은 축시를 모은 시집. 인조(仁祖) 초에 영의정을 지낸 이 국왕으로부터 궤장(几杖)을 하사 받은 것을 축하하는 연회(宴會)에서 만든 시첩(詩貼)을 후대에 책자의 형태로 필사한 사본이다. 2009년 10월 16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