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원배” 에 대한 검색결과 1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8)

  • 임종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1(정조 5)∼1859(철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내경(來卿), 호는 둔오(屯塢). 아버지는 상직(相稷)이며, 어머니는 충주최씨(忠州崔氏)로 박(璞)의 딸이다. 관북(關北)의 학자 (...
    이칭별칭 내경(來卿)| 둔오(屯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5(영조 21)∼1802(순조 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여달(汝達), 호는 구암(龜巖). 처사 구취(矩就)의 아들이다. 12대조인 선전관 겸(謙)이 함경도 경성으로 유배가서 살게 된 뒤로 대대로 ...
    이칭별칭 여달(汝達)| 구암(龜巖)| 문의(文懿)
  • 이호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2(영조 38)∼1823(순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학여(學余). 대사간 덕부(德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원배(元培)이고, 아버지는 서회(瑞會)이다. 어머니는 정택빈(鄭宅彬)의 딸이다. ...
    이칭별칭 학여(學餘)| 구헌(龜軒)
  • 도북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박흥종(朴興宗)‧최두병(崔斗柄)‧이서세(李瑞世)‧()‧최봉수(崔鳳壽)‧현익수(玄翊洙)‧황상채(黃相采) 등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으나 1903년 경성 유...
  • 회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배향된 송암사에 사액하여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서(書)는 대개 성리학에 대한 문답이다. 「상구암이선생별지(上龜巖李先生別紙)」는 스승 에게 중용지도(中庸之道)의 과불급(過不及)에 대하여 질의한 것이고, 「상노주선생문목(上老洲先生問目)」...

고서·고문서(122)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5년_대현면(大峴面) 1795년 대현면(大峴面) 第三十八納島里 2 第二統統首 第一戶 兵營瓮器匠年陸拾貳甲寅本慶州父彦立祖日昌曾祖貴男外祖吳石乙伊本海州妻 吳召史年陸拾壹乙卯本海州父漢石祖未巖曾祖己望外祖洪命石本楊州率女召史年貳拾參癸 巳等壬子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三十八納島里
  • 2_148913 19303_67_5_0012_2 奎19303_67_5 미상(1820) 황해도 신천군 魚蘆管屯坪 황해도 신천군 魚蘆管屯坪 0 10 10두락 () (...
    자료번호19303_67_5_0012_2 [奎19303_67_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_138170 19303_23_10_0067 奎19303_23_10 미상 황해도 봉산군 靈泉坊 황해도 봉산군 靈泉坊 118 118결 이원백() 이원백()
    자료번호19303_23_10_0067 [奎19303_23_1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56450 B05645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1年 11月 5日_017 ... 竝施之典事, 判付內, 依慈敎擧行。 大王大妃殿傳曰, 依議啓擧行, 卽爲收殺後, 推鞫撤罷, 朝者批答, 以傳敎頒布朝紙事, 命下矣。 罪人李致薰, 全羅道·濟州牧, 減死絶島定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父主前上白是 伏承審日間 氣體候萬安伏慰且喜朝 起聞府隸所傳則有不待設 鞫黑山島安置命云雖未 可的知之典斷不可 已亦無怪其如許矣動 不動得不日在卽得 凡不可不預度矣擔 子與褥袱及春夏衣 服這這覓封以送 趂付登程地千萬伏望 耳胡艸不備上書 正月卄七辰時子益鉉 上書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5)

  • 궁부특진관 김쥬현金疇鉉으로쟝례원경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뎡삼품 리탁 李탁 륙품 졍환슉鄭煥肅 리원 죠규하趙珪夏 리근셩李根星 한경쳘韓庚哲 졍시균鄭始均으로 임고 륙군보병참위 강용구姜容九로 무관학교교관을 보다 以上四月五日 寧영릉참봉 송경갈닌에 통신뎐화과쥬 죠삼 曹杉으로임고 륙품 남궁평南宮坪으로 텰도원기를 임...
    게재일1902년 4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해방 제2주년 기념일을 마즈며 해주시 왕신동 농민 △7,15-만도린 합주 평양만도린합주단 △7 45-라디오드라마 마와영 작 『전원의 노래』 인민예술극단 △8,15 콩트 랑독 김연호 작 『경희』 랑독 지경순 △8,30 조선가요 『놀량 4거리』 오봉운 신기익 △9,...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02_04 | 책임주필이영조
  • 혜민원 쥬 죠영호 리송쥰 김만용 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에 강인셕姜仁奭으로 임다以上七月十六日 외부참셔관 리일상 갈닌에 뎡삼품 김영연金永演으로 임다 以上七月十一日 경위원춍관 리근李根澤으로 의졍부찬뎡을 임고 혜민원참셔관 강돈희 민직호 민영진 인긔 리관죵 갈닌에 뎡삼품 숑죵면宋鍾勉 구품 조린묵曹麟默 리원 리기...
    게재일1902년 7월 22일 | 기사분류관보
  • 47 문예동태-연변 작가들의 창작 동태 채홍 47 창극에 대하여 조선 국립 민족 예술 극단 부단장 48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57
  • 네 참 고마운 일이얏!』 하며 감출 수 없는 자기의 기쁨을 이렇게 이야기 한다. 또한 정무원 동무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간고하던 지나간 전쟁기간에도 당과 정부에서는 우리들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두터운 배려를 해 주었다. 우리들은 솜옷 신발 옷감 중식미 등...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3_1215_03 | 날짜1953년 12월 15일 | 책임주필김명호

기타자료(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421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7면 ; 경성부 통인정 120;鐵道局 京城保線區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274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0면 ;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4848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6호 1934―11―05 99면 ;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2478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8면 ; 평양부 竹典里 20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263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제5호 1924 103면 1. 동창생 씨명 및 주소 (가나다 순);4) 제3회 ; (주소및현황)미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5∼1802). 이재형의 문인으로 경학에 밝아 정조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조정으로부터 여러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문집으로《구암집》이 있다.

  • 도북서원 / 道北書院 [교육/교육]

    ()·최봉수(崔鳳壽)·현익수(玄翊洙)·황상채(黃相采) 등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68년(고종 5)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으나 1903년 경성 유림과 후손들의 협찬으로 옛 터에 복원하였다.

  • 관북빈흥록 / 關北賓興錄 [종교·철학/유학]

    尙鎭)이 고과(考科)의 경유를 상달하였는데, 제1차 합격자는 ()·김형도(金衡道) 등 110인으로, 시에서 30인, 강의(講義)에서 20인, 부에서 19인, 표(表)에서 1인, 책(策)에서 40인이었다. 갱시(更試)인 명정문(明政門) 합격자는 이섭(李燮) 등

  • 구암집 / 龜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0년에 간행한 시문집. 16권 8책. 목활자본. 1820년(순조 20) 문인 현익수(玄翊洙)·지약수(池若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 김이교(金履喬)의 서문과 권말에 유성주(兪星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