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우재” 에 대한 검색결과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5(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여(仲如). 아버지는 의천(義天)이다. 1803년(순조 3) 제술(製述)에서 수위를 차지한 다음 직부전시(直赴殿試)하여 다음해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
    이칭별칭 중여(仲如)
  • 윤광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양 운곡서원(雲谷書院)의 사당을 헐고, 영정을 철거한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1808년(순조 8) 암행어사 ()의 탄핵을 받아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죄명으로 함경도 무산부에 유배되었다. 뒤에 돌아와서 벼슬이 판서에 이르렀다.
    이칭별칭 복초(復初)| 반호(盤湖)
  • 대한사격연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격의 영광의 해로 사격 30여 년 역사상 첫메달을 획득하였다. 1990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세계사격연맹 정기총회에서 ()는 UIT부회장과 김남구(金南九) 부회장은 클레이 분과위원, 박상동(朴尙東) 의무분과위원장은 의무분과위원으로 선임되는 등 한국사격의...
  • 이야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추천으로 이듬해 경기전참봉에 임명되었고, 1821년 국장도감감조관, 1831년 장악원주부에 승진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그의 학문은 이황의 성리학을 계승했고,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또한 그는 성리학의 주요 명제나 자신이...
    이칭별칭 건지(健之)| 광뢰(廣瀨)
  • 죽로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주원(李周遠)과 ()의 서(敍)가 있다. 권1에 시 104수, 만사 8수, 권2에 소(疏) 1편, 서(書) 4편, 서(序) 3편, 권3에 기(記) 2편, 잡저 6편, 권4에 부록으로 저자에 관한 연보‧행장‧묘갈명‧묘지명‧미산서원상량문(眉山書院上樑文)...

고서·고문서(87)

  • 2_120843 18890_0364 奎18890 淑善翁主房(1816) 전라도 장흥부 南面 上道正莊坪 전라도 장흥부 南面 上道正莊坪 181 5 181결 5두락 (李宰...
    자료번호18890_0364 [奎1889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48559 B048559 대죽 大竹 경제산업 全羅道邑誌 光陽縣邑誌 光陽縣 竹田 靑大竹田在縣東六十里箭竹田在縣東七十里官竹田在縣東五十縣東五十里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779 B032779 낙제 絡蹄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純祖 24年 3月 1日_021 ○以京畿監司狀啓, 宗廟薦新生蛤絡蹄, 姑未産出, 限內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于朴長復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700 B040700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純祖 14年 10月 11日_009 ○以咸鏡監司金履陽狀啓, 薦新進上生大口魚·生文魚, 限日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于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4_殷其雷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殷其雷 《詩ㆍ殷其雷》三章, 雖謂遇雨增思, 終覺有不襯者. 愚意, 此待人之作, 如所謂“大旱之望雲霓”. 南山其陽, 則雷在山外, 而猶不及也; 在側, 則稍近矣. 雷在雲裏, 無形無迹, 惟雲可知, 雲塞于山下, 則又近矣. 田家之望雨, 始聞雷聲, 驚喜佇待, 漸近而惟恐或遲. 故征...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

신문·잡지(12)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265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9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2)송도고보 제15회(소화9년) 55명 ;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두시) 스승님, 참노래 불러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4 12 교육월보 156호 교육부 4 1 PDF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우재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의천이다. 1804년(순조 4)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808년(순조 8) 외직으로 경상좌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경상도를 감찰하고 돌아와 환곡의 폐단을 바로 잡아 혁신할 것, 여러 역을 부과하는 폐단을

  • 죽로문집 / 竹老文集 [문학/한문학]

    ()의 서(敍)가 있다. 권1에 시 104수, 만사 8수, 권2에 소(疏) 1편, 서(書) 4편, 서(序) 3편, 권3에 기(記) 2편, 잡저 6편, 권4에 부록으로 저자에 관한 연보·행장·묘갈명·묘지명·미산서원상량문(眉山書院上樑文)·봉안문·상향축문 등이 수

  • 윤광안 / 尹光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15). 유 증손, 할아버지는 서교, 아버지는 동미, 어머니는 이보순의 딸이다. 경상도관찰사 때 주자와 송시열을 배향한 영양의 운곡서원의 사당을 헐고, 영정을 철거한 일이 있었는데, 1808년 암행어사 의 탄핵으로 사문난적으로 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