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2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45)
사전(998)
- 면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李㙖)의 시문집. [내용] 본집 12권, 별록 2권, 합 14권 7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ㆍ장서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권2∼8에 서(書), 권9에 잡저, 권1...
- 이경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1(선조 4)∼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길보(吉甫). 증참찬 천(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원수(原秀)이고, 아버지는 우(瑀)이며, 어머니는 덕산황씨(德山黃氏)로 진사 기로...이칭별칭 길보(吉甫)
- 애려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우선(李禹善)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41년 아들 승완(承完)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연(權相淵)의 서문과 권말에 족손 용수(瑢秀)와 승완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월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빈(李佑贇)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아들 진범(晉範)‧태범(泰範)‧수범(琇範) 등이 유문을 수집하였고, 허전(許傳)의 교열과 곽종석(郭鍾錫)의 편집을 거쳐 1897년 손자 도욱(道郁)이 간행하였다...
- 항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우항(李愚恒)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 및 필사시기는 알 수 없다. 경상북도 김천시의 벽진이씨종가에 있다. 시 166수와 산록(散錄)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단행본(4)
- 몽골, 부랴트 기원에 관하여 [한국상고사의 주체적인 체계정립을 위한 다학문적 연구 | 인하대학교]저자 : 이우섭 번역, 복기대 감수... | 출판사 : 주류성 출판사 | 출판일 : 2016.11.27유형단행본
- 4. 한국말레이시아 문화교류: 교육교류를 중심으로(한글본)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저자 : 홍석준, 리우친통... | 출판사 : 이매진 출판사 | 출판일 : 2013.04.19분야국제 | 유형단행본1장 머리말 2장 한국‧말레이시아 관계의 역사 개관 1. 과거 50년의 역사 2. 경제협력 3. 관광 3장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교육 교류 1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6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 북한대학원대학교]저자 : 박영정, 이우영, 전영선, 김성경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10325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문학예술이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한다.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으로, 현대사의 ’잃어버린...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 북한대학원대학교]저자 : 구갑우, 김성경, 김성수, 배인교, 이우영, 이지순, 이하나, 전영선, 천현식,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10325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문학예술이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한다.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으로, 현대사의 ’잃어버린...
고서·고문서(8,964)
- 이우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우표 이 남자 북경시(北京市) 알수없음 알수없음 북방교통대학응용물리계85급 2 2 이우표, 4개, 붙은, 우표, 감...대표표제어이우표 | 성씨이
- 李虞候箭筒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40_0130 李虞候箭筒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箴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箴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題陶弘景二牛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20 與猶堂全書補遺○桐園手鈔 ITKC_MP_0597A_1620_010_0230 題陶弘景二牛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桐園手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物門2_犁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犁牛 《論語》曰: “犁牛之子, 騂且角.” “犁牛”, 雜色牛也. 雜色亦非一也, “犁”, 蓋黃質黑文, 如虎者也. 獸畜中, 惟牛及貍貓有此文, 故我國指此牛, 曰“貍牛”. 按, 《戰國策》: “犁牛之黃也, 似虎.” 若是, 他雜色, 則不應曰黃而似虎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이우집할머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우집할머니 선우 여자 충청남도 공주시 길림성(吉林省) 돈화시(敦化市) 한장향 대흥촌 3 3 이우집할머니, 방송국...대표표제어이우집할머니 | 성씨선우
구술자료(34)
- 수절제 이우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수영씨가 앞 이야기를 끝내고 물러나 앉으면서 제보자에게 이야기만 듣고 있지 말고 하나 하라고 권했다. 그러자 원래 입담이 없어서 이야기를 못한다고 하면서 들려 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2-07-29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 제보자이현욱
- 명풍수 성지와 이우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계속 구술한 것이다. 이야기의 시대적 배경은 대원군 시대로 되어 있으나, 성지라는 명풍수는 전설적인 인물로 그 생몰 연대를 확실히 모른다. 이야기하는 도중에 최만교씨가 들어와서 잠시 중단되었다. *조사일시1982-01-3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 제보자한진식
- 구례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현배, 이우선, 김후분이 본인들의 학습이력과 음악활동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구례향제줄풍류 염불 김무규 금잔디 김정승 이현배 이우선 김후분 풍류 1991 전남 구례 00:00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우선
- 구례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현배, 이우선, 김후분이 본인들의 학습이력과 음악활동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구례향제줄풍류 염불 김무규 금잔디 김정승 이현배 이우선 김후분 풍류 1991 전남 구례 00:00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금잔디
- 구례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현배, 이우선, 김후분이 본인들의 학습이력과 음악활동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구례향제줄풍류 염불 김무규 금잔디 김정승 이현배 이우선 김후분 풍류 1991 전남 구례 00:00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승
기초학문(27)
- 예술이라는 종교의 미디어: 반 데르 레이우의 예술신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창익, 게재일 : 201454465 이창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종교문제연구소 2014 예술이라는 종교의 미디어: 반 데르 레이우의 예술신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4
- 试析汉韩动物词汇隐喻义与文化认知模式 - 以牛/소马/말狗/개鸡/닭为主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여정남, 게재일 : 201616004 여정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16 试析汉韩动物词汇隐喻义与文化认知模式 - 以牛/소马/말狗/개鸡/닭为主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6
- 17세기 전반 해항도시 함부르크의 문화중심지적 위상과 시민 지식인 요아힘 융이우스의 학자 네트워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70130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1 17세기 전반 해항도시 함부르크의 문화중심지적 위상과 시민 지식인 요아힘 융이우스의 학자 네트워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1
- Legitimation in discourse and communication. Discourse and Communication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반 리우벤, 게재일 : 200706840 반 리우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SAGE Publication 2007 Legitimation in discourse and communication. Discourse and Communication h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학술대회 발표자료_MoleBot: Mole in a Tabl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우훈, 게재일 : 201106911 이우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ACM Press; New York 2011 학술대회 발표자료_MoleBot: Mole in a Tabl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905)
- 李宇珩(李宇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宇珩(李宇珩) 서울 李宇珩 李宇珩 南大門通 2-11 기타 - 금은(金銀) - 182.5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宇珩(李宇珩)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금은(金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祐種(李祐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祐種(李祐種) 서울 李祐種 李祐種 明倫町 1-33-68 금융 - 금융 - 10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祐種(李祐種)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察理又視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찰리 박졔흥이가 도쳐에 작폐다 는고로 부에셔 뎐보야 착슈라야 경샹북도관찰부에 착슈엿더니 엇지되야 부에셔 방송라지라 그 관찰부에셔 뎐보기를 박찰리가 방송하야 나가며 작폐야 인민이 환산 지경이니 찰리를 공게 는지 쳐분야 뎐보라 엿...게재일1902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李祐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祐榮(-) 인천 李祐榮 - 外里 188-5 - - 금융업 대부 12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祐榮(-)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李雨均(-)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雨均(-) 개성 李雨均 - 西本町 341 - - 잡화업 - - 연초 겸엄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雨均(-)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잡화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기타자료(313)
- 이우;李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405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3면 (37) 제35회 163명(1939년 3월 졸업) 이우;李堣 경성부 천연정 13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우;李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079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0면 이우;李㳓 城興府 住吉町 67 1926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우;李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32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1면 이우;李㳓 城興府 住吉町 67 1926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우경;李愚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890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4면 이우경;李愚卿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法專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우번;李愚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925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2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5)송도고보 제8회(소화2년 3월) 93명 이우번;李愚...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성경 | 북한대학원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8)
-
이우 / 李瑀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서화가. 원수 아들, 이 동생, 어머니는 사임당신씨다. 1567년 진사시에 합격, 비안현감과 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시·서·화·금을 다 잘하여 4절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사군자·포도 등을
-
이우 / 李㙖 [종교·철학/유학]
1739년(영조 15)∼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이태화, 부친은 이광정, 외조부는 이재이다. 영남유생 1만여 명이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해명하는 상소를 올릴 때 앞장섰다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사면된 후에는 이상정의
-
이우재 / 李愚在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의천이다. 1804년(순조 4)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808년(순조 8) 외직으로 경상좌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경상도를 감찰하고 돌아와 환곡의 폐단을 바로 잡아 혁신할 것, 여러 역을 부과하는 폐단을
-
이우정 / 李宇鼎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구경 증손, 할아버지는 홍장, 아버지는 익로, 어머니는 조빈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우승지, 대사간, 예조참판,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우현 / 李禹鉉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 무신. 조부는 이도병, 부친은 이종주이다.1765년(영조 41) 식년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4년(정조 8) 서산현감으로 재직 중 고을을 잘 다스린 공로를 인정받아 품계를 올려 받았다. 1789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