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완용” 에 대한 검색결과 8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9)

사전(195)

  • 손창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8∼?.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북도 울진 출생. 만주 봉천성 유하현 일대의 이탁(李鐸)‧안경식(安景植)‧차병제(車秉濟)‧주병웅(朱秉雄)‧박진태(朴鎭台) 등과 함께 () 등 이른바 5적(五賊)‧7적(七賊)
  • 김병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정익(金貞益)‧조창호(趙昌鎬)‧전태선(全泰善)‧이응삼(李應三)‧오복원(吳復元)‧김용문(金龍文) 등과 ()‧이용구(李容九)‧송병준(宋秉畯) 등의 국적을 암살하기로 모의하였다. 이동수‧이재명과 함께 1차로 을 처단하기로 하고 거사를 위하여 상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올랐다. 종친(宗親)으로서 병합 때, 일제의 자작(子爵) 작위와 수작금(受爵金)으로 공채 3만원을 받았다. 『朝鮮紳士寶鑑』(田中正則, 1913) 사진 1858(철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음청사(陰晴史)』 「()」(차문섭, 『한국(韓國)의 인간상(人間像)』 1, 신구문화사, 1965)
    이칭별칭 경덕(敬德)| 일당(一堂)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위싱턴에 도착한 은 전권공사 박정양(朴定陽)과 서기관 알렌(H.N. Allen) ‧ 이하영(李夏榮) ․ 이상재(李商在) 등과 함께 주미 한국공사관 개설에 성공하였다. 미국에 부임한지 5개월 만에 병에 걸려 통역관 이채연(李采淵)과 함께 귀국길에 올랐다. 1888...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224)

  • 1900년 () 훈령(訓令)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00년 3월에 전라북도 관찰사이 궁내부사검위원이기하에게 내린 훈령이다. 부안군에 사는 부안김씨들은 부안군 변산의 선산이 봉산 밖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이 부과되자 부안군과 전라북도 관찰부에 탄원하였다. 이에 관찰사이 사검위원이기하에게 훈령을 보낸 것이...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훈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현소장처부안 취성재
  • 1907년 () 주본(奏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주본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주본
  • 알렌이 의 인장을 증명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R3-L4-01-043 알렌이 의 인장을 증명하는 건 기타 1896년 3월 29일 Horace N. Allen , 인장 Seoul Korea March 29, 1896 (Signed) Ye Wan Yeng (name in Chines...
    문서종류기타 | 생산일자1896년 3월 29일
  • 모스에게 의 부탁을 전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R3-L6-02-203 모스에게 의 부탁을 전하는 건 서한 1897년 10월 9일 Horace N. Allen James R. Morse (), 스페에르(Alexis de Speyer), 코자크 군대, 여물, 철도 Seoul
    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1897년 10월 9일 | 수신자James R. Morse
  • 이은 황태자와 친일내각 엽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0014 P-SDK-00014-P-B-01-01 P-SDK-00014-P-B-01-01-1 P-SDK-00014-P-B-01-01-2 이은 황태자와 친일내각 엽서 친일내각의 사진을 인쇄한 엽서 1매. 사제엽서 역사 대한제국 ...
    자료명이은 황태자와 이완용 친일내각 엽서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7)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고역적 아~\" 9) 아라성소리[독창: 박경선] (16:00): \"아리송 아리송 아라리야/ 아리랑 알송 어러송아~\" 10) 아리랑 타령[독창: 미상] (17:35):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랑 얼씨구나 아라리가 났네/ 강원도 금강산 일만일천봉/~\"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중연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고역적 아~\" 9) 아라성소리[독창: 박경선] (16:00): \"아리송 아리송 아라리야/ 아리랑 알송 어러송아~\" 10) 아리랑 타령[독창: 미상] (17:35):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랑 얼씨구나 아라리가 났네/ 강원도 금강산 일만일천봉/~\"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명길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고역적 아~\" 9) 아라성소리[독창: 박경선] (16:00): \"아리송 아리송 아라리야/ 아리랑 알송 어러송아~\" 10) 아리랑 타령[독창: 미상] (17:35):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랑 얼씨구나 아라리가 났네/ 강원도 금강산 일만일천봉/~\"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영철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고역적 아~\" 9) 아라성소리[독창: 박경선] (16:00): \"아리송 아리송 아라리야/ 아리랑 알송 어러송아~\" 10) 아리랑 타령[독창: 미상] (17:35):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랑 얼씨구나 아라리가 났네/ 강원도 금강산 일만일천봉/~\"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춘재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고역적 아~\" 9) 아라성소리[독창: 박경선] (16:00): \"아리송 아리송 아라리야/ 아리랑 알송 어러송아~\" 10) 아리랑 타령[독창: 미상] (17:35):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랑 얼씨구나 아라리가 났네/ 강원도 금강산 일만일천봉/~\"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성룡

기초학문(1)

  •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협력과 저항의 논리: 과 유인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나미, 게재일 : 2006
    33047 이나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협력과 저항의 논리: 과 유인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38)

  • 公爵 試筆 『謹賀新年』 (공작 시필 『근하신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公爵 李完用試筆 『謹賀新年』 | 게재일19220101 | 게재판其1 | 게재면01 | 게재단4-7
  • 『書』に悶える侯 (『서』로 고민하는 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1858-1926)
    작품명_원문『書』に悶える李完用侯 | 게재일19221007 | 게재판 | 게재면04 | 게재단3-6
  • 학부대신교육방침(学部大臣の教育方針)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7) 교육의 강조 학부대신교육방침(学部大臣の教育方針)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0년 고교빈길(高橋濱吉) 『조선교육사고』 담화/연설 22 학부대신이 일본인 초빙 교원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훈시’를 소개한 글임....
    대표표제어이완용학부대신교육방침(李完用学部大臣の教育方針) | 자료유형담화/연설 | 집필자고교빈길(高橋濱吉) | 출처『조선교육사고』 | 키워드신교육, 일본인 교원, 이완용, 보통학교령, 서구식 교육
  • 민세안재홍전집 : 病死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61 1926 2 13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病死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시평 정치 직접자료 1권 日韓合倂, 賣國, 宋秉畯, 東洋平和 A19260213조선02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民衆的 絶望狀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58 1935 7 25 19 16 民世學人 안재홍 新聞小史(十六) 民衆的 絶望狀態 易水風寒, 白岳雲斷(五)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논문 문화 직접자료 4권 李根澤, 伊藤博文, 安重根, , 李...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5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7663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25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4) 본과 졸업생;(18) 제18회 졸업생 35명 1929년 3월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완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056 남한 경성 경성중학교 1-21 부흥기념 회원명부 1933 52면 졸업생 이완룡; 廣島高師;(본적)전남 17회 1929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58. 총리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58. 총리에 대하여 n°7. Au sujet du Premier Ministre Yi Oan-yong C 정치 법제 문헌, 인물 근대 서울 고서/고문서 총리에 대한 보고 테러, 황태자, 부태사, 격리조치, 암살범 프랑스...
    집필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2월 06일 | 발신자M. 파이야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44-1. 별첨 1―내각총리대신 이 황제께 상주한 보고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44-1. 별첨 1―내각총리대신 이 황제께 상주한 보고 Rapport présenté au Trône par M. Yi Oan yong, Président du Conseil. C, E 정치 법제, 사회 문헌, 사건 근대 서울, 연천 고서/...
    집필자이완용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10월 18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26-2. 별첨 2―「한일신협약」을 게시한 관보 원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 도쿄 고서/고문서 「한일신협약」을 게시한 관보 원문 한문 3_CFD26-2.pdf (탈초)3_CFD26-2.pdf pdf , 이토 히로부미 프랑스 외무부 조약(관보) 1911년 7월 26일 도쿄 A. 제라르,...
    집필자이완용, 이토 히로부미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7월 26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4)

  • / [정치·법제/정치]

    주미 조선대리공사. 총리대신.친일파(1858∼1926). 1882년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94년 김홍집 내각의 외무협판이 되었고, 이듬해 박정양 내각의 학부대신과 중추원의관을 지냈다. 1905년 학부대신으로 을사조약을 체결하는 데 앞장섰다.

  • 황제대호진칭주본 / 皇帝大號進稱奏本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7월 22일 내각총리대신 () 등 7인이 순종에게 황제의 호칭을 사용할 것을 상주한 주본. 순종은 같은 해 7월 18일에 이미 고종의 대리조서에 의해 사실상 제위를 물려받았다. 이 상주에 대해 순종은 '대조(大朝)'의 처분을 받들어

  • 이재명 / 李在明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사(1890∼1910).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려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이재명·김정익 등의 동지들과 친일 매국노를 척결하기로 계획하고 직접 을 수차례 칼로 찔러 상처를 입히고 체포된 뒤 사형을 언도받았다.

  • 강원상 / 姜元相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조선 순종 때에 활동한 독립운동가. 1907년 나인영(羅寅永)·오기호(吳基鎬)와 함께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암살을 계획했다. 을사오적은 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이근택(李根澤)·()·권중현(權重顯)이다. 3월에 권중현을 저격하려다 체

  • 고영희 / 高永喜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대신·친일파(1849∼?). 갑오개혁에 참여하고, 독립협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내각의 탁지부대신을 지낼 때는 고종의 양위에 적극 반대하였다. 경술국치 후 자작 작위를 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등을 지내는 등 일제 앞잡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