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4)
사전(91)
- 이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9(영조 5)∼1788(정조12).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시회(時晦), 호는 농은(農隱). 전라남도 광주 출신. 아버지는 상규(相奎)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이상(以相)의 딸이다. ...이칭별칭 시회(時晦)| 농은(農隱)
- 이엽(李曄)[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041 인물 이엽(李曄)[1] 이엽 李曄 ? ? 조선 후기의 인물. 전라좌병영(全羅左兵營)의 우후(虞侯)를 지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에게 포로로 잡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게로...유형분류인물
- 이엽(李曄)[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042 인물 이엽(李曄)[2] 이엽 李曄 ? ? 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덕수(德水). 1681년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역과(譯科)에 합격하였고, 청학(淸學)을 전공하였으며, 판관(判官)을 지냈다. 168...유형분류인물
- 이화(李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370 인물 이화(李墷) 이화 李墷 1770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이중(而中). 1801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경상도 암행어사, 종부시정(宗簿寺正) 등을 지냈다. 임기가 만...유형분류인물
- 이엽화문어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판심에 있는 물고기의 꼬리처럼 생긴 접지표인 어미(魚尾)에 양쪽으로 꽃무늬가 있는 것.정의판심에 있는 물고기의 꼬리처럼 생긴 접지표인 어미(魚尾)에 양쪽으로 꽃무늬가 있는 것.[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iyeop hwamun eomi | MR표기iyŏp hwamun ŏm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731)
- 人事門5_喬一琦李曄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喬一琦李曄 戊午深河之役, 監軍遊擊將軍喬一琦, 作寄其兒桓書, 付我國軍官, 墮崖死. 其書略曰: “文臣武將, 以社稷爲戲, 一味循私, 致屬國喪師, 吾監督其軍, 不敢離. 謹於三月初四日, 西向叩謝皇恩, 自裁於家哈嶺上. 兒可傳與相知, 竝親以意奏知聖明. 其家口在京, 可求赤城 薛道尊...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八]論史門五_喬一琦李燁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喬一琦李燁 戊午深河 河: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何’로 되어 있다.之役, 監軍遊擊將軍喬一琦, 作寄其兒桓書, 付我國軍官, 墮崖死. 其書略曰: “文臣武將, 以社稷爲戲, 一味循私, 致屬國喪師 師: 아단문고본(가)에는 ‘死’로 되어 있다. . 吾監督 督: 미의회도서관본...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908년 이엽(李燁) 등 신명의숙발기원록(信明義塾發起員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桑柔【《集》云:“民見其車馬旌旗,而厭苦之。” ○《傳》云:“濯所以救熱,禮所以救亂。” ○蘇云:“告之以所當憂,而誨之以序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80 詩經講義補遺 ITKC_MP_0597A_0480_110_0210 桑柔【《集》云:“民見其車馬旌旗,而厭苦之。” ○《傳》云:“濯所以救熱,禮所以救亂。” ○蘇云:“告之以所當憂,而誨之以序爵。”】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問 豉ㆍ醬之列于豆間,非禮也。然退溪云:“丘氏二楪之設,當依禮文。鹽姑已之,醬不可闕,何必一去之爲快耶?” 【男學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20_0020 問 豉ㆍ醬之列于豆間,非禮也。然退溪云:“丘氏二楪之設,當依禮文。鹽姑已之,醬不可闕,何必一去之爲快耶?” 【男學淵】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
- 충청남도 아산시_1.얼카덩어리 2.올러가세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인주면 이주.아산시 토민) 이소라 이소라 1. 잦은 얼카덩어리 2. 올러가세 류 멕받형(선후창) 1. 얼카 덩어리 2. 오홀러를 가세 1. 호미히 밥이히 주춧돌 많게 2. 이엽적선 맺을제, 이쪽 양쪽 살펴가며, 앞구잽이를 따라를 가요. 1.솔도레 2.솔녹음지역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인주면 신성리 | 녹음날짜1989.8.2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2)
- 독일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간 이성의 이념과 그 전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엽, 게재일 : 200434924 이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4 독일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간 이성의 이념과 그 전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독일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간 이성의 이념과 그 전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엽, 게재일 : 200408026 이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4 독일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간 이성의 이념과 그 전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22)
- 太田サキ(二葉屋)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太田サキ(二葉屋) 부산 太田サキ 二葉屋 大廳町2-13 - - 서적 - 26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太田サキ(二葉屋)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서적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三井タメ(二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三井タメ(二葉) 부산 三井タメ 二葉 西町1-9 - - 요리 - 8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三井タメ(二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赤川ツル(二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赤川ツル(二葉) 전주 赤川ツル 二葉 八達町 - - 요리점 - 155 연회석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赤川ツル(二葉)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요리점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리홍쟝은 평화담판 시작쥰비로 졍부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홍쟝은 평화담판 시작쥰비로 졍부를 로조직기에 열심나 용이히될긔망이엽다더라게재일1900년 11월 13일 | 기사분류외보
- 本人의子朱議官錫永이가年少沒覺야悖類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子朱議官錫永이가年少沒覺야悖類誘引는져酒技塲浪用과居保錢替徵에敗家無餘엿스되寡母幼弟의生死를頓△顧念고之今出債票紙와做事於音이葉錢九萬兩或五萬兩云고其外에도又不知其數則無論內外國人고此等事에干涉오면狼貝올터이니相關마시오 承洞居 嚴召史 告白게재일1902년 10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7)
- 이엽;李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336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38면 10. 1941년도 졸업생(3년제) 이엽;李燁 충남 논산군 1944.12.22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엽옥;李葉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25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3면 이엽옥;李葉玉 제6회 1929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엽매;李葉媒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110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46면 1. 동창회원록;11) 제11회 졸업생 1933년도 합계 59명 이엽매;李葉媒 평양부 복향리 76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섭섭;李攝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943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36면 6. 1935년 3월 15일 제6회 졸업생 이섭섭;李攝攝 소화10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하■;兪夏■;전전호;前田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280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15면 유하■;兪夏■;전전호;前田浩 新潟市 二葉町1정목 5214 제2회 1927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이엽 / 李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9∼1788). 1777년(정조 1)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부사과·선조보감찬집랑·전적 등을 거쳐 공조정랑에 이르렀다. 문장·재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주역》에 조예가 깊고, 실학사상에도 관심이 많았다.
-
이인엽 / 李寅燁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억, 어머니는 윤원지의 딸이다. 1684년(숙종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2년 뒤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조판서, 홍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
옥구이엽사농장소작쟁의 / 沃溝二葉社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7년 말전라북도 옥구 이엽사농장에서 한국인 소작농민들이 벌인 소작농민항쟁. 옥구농민조합을 중심으로 식민농업회사와 이를 비호하는 일제에 대항하여 싸운 내용이다. 이엽사는 일본인 지주 시라세이와 시라세이가 1926년에 설립한 전형적인 식민농업회사로서 본점을 전주에
-
이하곤 / 李夏坤 [정치·법제/법제·행정]
1677(숙종 3)∼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평론가.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경억(慶億)의 손자이며, 당시 문형(文衡)이었던 인엽(寅燁)의 맏아들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춘경산수도, 산수도, 두타초 등이 있다.
-
구성공실기 / 龜城公實紀 [종교·철학/유학]
수에 목록이 있고, 이어서 인묘조치제문(仁廟朝致祭文)·송자어록(宋子語錄)·손재어록(遜齋語錄)·유장(儒狀)·경렬사문헌록(景烈祠文憲錄)·경렬사배향봉안문(景烈祠配享奉安文)·축문(祝文)·경렬사위차품제(景烈祠位次稟題)·광주읍지(光州邑誌)·실록찬수관이엽몽감록(實錄撰修官李曄夢感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