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5)
사전(215)
- 이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03(태종 3).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수안(遂安)이며,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내고 추충보절익대좌리공신(推忠保節翊戴佐理功臣)에 봉해진 수산(壽山)의 아들이다. [활동사항]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 ...
- 이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옥오(玉吾), 호는 운당(雲塘). 암(嵓)의 후손이다. 조식(曺植)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유종지(柳宗智) 등 동...이칭별칭 옥오(玉吾)| 운당(雲塘)
- 李恬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720 李恬 남자 人名, 贊成, 登第, 密直, 國事, 脫帽 恭讓壬申 遂安, 壽山, 合浦 恭愍 D_08_04_41 대동운부군옥 8권 4장 4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4장 4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말ㆍ조선초의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지신사(知申事) 곽추(郭樞)가 주관한 과거에서 급제하여 1389년(공양왕 1) 장령이 되었다. 1391년 사헌집의가 되었으며, 이 때 이염(李恬)이 술에 취하여 왕에게 무례한 행...
- 이염(李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염 이염 李琰 왕족왕자 인물 한국 조선 전기 세종~세조 윤경수, 김구진 이범직 2010 명지(明之) 서곡(西谷) 영응대군(永膺大君) ...
단행본(1)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유형단행본‧ 韓國文化政策施政理念及主要執行計畫之探究-以朴槿惠政府文化繁榮政策為例 - 張秀蓉 ‧ 대만 한국어 학습사전에 대한 기초연구- 학습자의 사전 사용 양상 조사를 중심으로 - 진관초 ‧ 『춘향전』의 근대변용사와 제국: 활자매체
고서·고문서(1,007)
- "勝共理念(승공이념)아래 團結(단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勝共理念(승공이념)아래 團結(단결)"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1958일 창간...대표표제어"勝共理念(승공이념)아래 團結(단결)"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간첩
- 조선시대 역학서:1690_역어유해(上)_帽套 紗帽 이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역어유해 137 1690_역어유해(上) 帽套 紗帽 이염. 1690역어유해(상)_44b.jpg 帽套 紗帽 이염. 狐帽 紗帽 이염. 鶴袖 잇매 함매. 頂簪 圓簪. 玉簪 玉簪. 金釵子 金빈혀. 玉釵子 玉빈혀. 鈿子 부뎐. 耳墜 귀엿골. 戒指 가락지. 耳穵子 귀우개. 耳...편명1690_역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故自古以來,凡智深之士,無不以廉爲訓,以貪爲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20 牧民心書 卷二 ITKC_MP_0597A_1220_010_0030 故自古以來,凡智深之士,無不以廉爲訓,以貪爲戒。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권차명牧民心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商賈,潛輸禁松之板者,禁之,謹於法而廉於財,斯可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10 牧民心書 卷十一 ITKC_MP_0597A_1310_020_0060 商賈,潛輸禁松之板者,禁之,謹於法而廉於財,斯可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牧民心書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桑柔【《集》云:“民見其車馬旌旗,而厭苦之。” ○《傳》云:“濯所以救熱,禮所以救亂。” ○蘇云:“告之以所當憂,而誨之以序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80 詩經講義補遺 ITKC_MP_0597A_0480_110_0210 桑柔【《集》云:“民見其車馬旌旗,而厭苦之。” ○《傳》云:“濯所以救熱,禮所以救亂。” ○蘇云:“告之以所當憂,而誨之以序爵。”】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7)
- 漢代邊疆地區統治理念的傳播和意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7716 한국연구재단 서안문리학원 2009 漢代邊疆地區統治理念的傳播和意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09
- 朝鮮前期 禮學思想의 理念과 實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도민재, 게재일 : 199915336 도민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1999 朝鮮前期 禮學思想의 理念과 實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1999
- 太平天國 宗敎政策의 實狀과 宗敎理念의 構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찬, 게재일 : 200106619 김성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01 太平天國 宗敎政策의 實狀과 宗敎理念의 構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브라질 모더니즘문학의 批評論爭 : 美學的 革新과 理念的 斷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광윤, 게재일 : 199601455 이광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외국어대학교 1996 브라질 모더니즘문학의 批評論爭 : 美學的 革新과 理念的 斷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1996
- ‘公武體制’의 政治理念 - 室町時代의 公과 武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수철, 게재일 : 201515570 박수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15 ‘公武體制’의 政治理念 - 室町時代의 公과 武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97)
- 李簾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簾在(-) 원산 李簾在 - 橋下洞 - - 수육류,우유 판매 33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簾在(-)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수육류,우유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 新生會 대표의 정부수립 1주년 기념 담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70 1949 8 16 1 1 安在鴻 新生會 대표의 정부수립 1주년 기념 담화 신문 자유신문 3면2단 담화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協同互受, 新生會, 和平統一, 理念克服 A19490816자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大衆共生의理念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95 1945 12 15 1 1 大衆共生의理念 安在鴻氏의新民主主義論 잡지 백민 1호, 1권 1호 8쪽 논설 역사 간접자료 선집외 民衆共生, 新民主主義, 古朝鮮, 朝鮮哲學, 檀君, 上古史 B19451215...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敎育理念을再修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03 1945 12 25 1 1 敎育理念을再修正 敎育審査本會議에서 신문 동아일보 2면 7단 기사 교육 직접자료 선집외 敎育審査, 弘益人間 A19451225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大韓民國의 建國理念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14 1949 1 3 1 1 大韓民國의 建國理念 신문 한성일보 1면 3단 사설 사회 직접자료 2권 眞正한民主主義 民族自主獨立國家, 大韓民國 建國理念, 平和統一 A19490103한성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68)
- 이염근;李濂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3589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101면 1. 졸업생상황;20)송도고등보통학교 제13회(32명) 이염근;李濂根 평북 철산 동부동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이렴;鄭履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254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42면 정이렴;鄭履濂 평북 철산군 부서면 인평동 본과 제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전한국의 교육이념탐구-오천석교육사상문집8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발전한국의 교육이념탐구-오천석교육사상문집8 발전한국의 교육이념탐구-오천석교육사상문집8 發展韓國의 敎育理念硏究-吳天錫敎育思想文集8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오천석
- (교육자료) 이념적 혼란기 극복을 위한 이념교육의 방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자료) 이념적 혼란기 극복을 위한 이념교육의 방향 (교육자료) 이념적 혼란기 극복을 위한 이념교육의 방향 (교육자료) 理念的 混亂期 극복을 위한 理念敎育의 방향 교육 문헌 교...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세구 | 사료철명문교행정
- 국민학교사회과 교육 사회과 학습방법의 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과정 교과서ㆍ지도서 잡지 이염섭 李炎燮 1979 9 충남교육 19호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염섭 | 사료철명충남교육
연구과제(2)
-
중국 동북지역 한국학 핵심기지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이염화 | 吉林師范大學 (Jilin Normal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관식 | 한성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
-
이염 / 李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암 후손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하항·유종지 등 동인들과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대학』의「성의장」은 몸소 실천하여 체득하려 노력하였으며, 실제로 효우가 지극하여 부모를 섬김과 형제를 사랑
-
정강서원 / 鼎崗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옥산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온(鄭溫)·강숙경(姜叔卿)·하윤(河潤)·유백온(兪伯溫)·이제신(李濟臣)·이염(李琰)·하천주(河天澍)·진극경(陳克敬)·박민(朴敏)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
-
유도헌 / 柳道獻 [종교·철학/유학]
서 경사와 백가서를 탐독하였다. 한시동‧이준구‧이태중‧김상흠‧이만창‧이염재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저서는《전원집》이 있다.
-
육화대 / 六花隊 [예술·체육/무용]
각각 「일념시 一念詩」·「이념시 二念詩」·「삼념시 三念詩」를 번갈아가며 차례로 부른다. 그런데 『정재무도홀기』에 의하면, 동서 6명의 옷 빛깔이 각각 다르다.
-
오도가 / 吾道歌 [문학/고전시가]
箕子八條)의 강령으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이학창도(理學倡道), 조광조(趙光祖)의 지치이념(至治理念),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의 학문적 업적, 그리고 기타 충신·의사의 살신성인이 모두 유교의 정통 맥락에서 이루어졌음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