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여” 에 대한 검색결과 14,3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311)

사전(1,087)

  • 무민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규(圭)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06년 후손 수일(樹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ㆍ정석호(鄭錫祜)ㆍ이양오(李養吾)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진헌(鄭鎭憲)의 발문이...
  • 채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珵)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55년 5대손 도문(道文)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병운(李柄運)의 서문이, 권말에 최병심(崔秉心)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3(연산군 9)∼1542(중종 37).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유추(有秋)ㆍ긍확(肯穫), 호는 송애(松厓). 색(穡)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진사 인로(仁老)이고, 어머니는 박지생(朴枝生)의 딸이다. 일...
    이칭별칭 유추(有秋)| 송애(松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선고(淸選考)』 (1645-1718) 1645(인조 2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자삼(子三), 치보(治甫)| 포음(浦陰), 수곡(睡谷)| 문경(文敬)
  • TD_L14_D_0292 인물 中廟辛卯 韓山 有秋, 牧隱, 仁廟 D_02_03_15 대동운부군옥 2권 3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3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1)

고서·고문서(8,48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540 答弘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550 答弘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560 答弘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00 文集 卷二十 ITKC_MP_0597A_0200_010_0010 答弘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二十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00 文集 卷二十 ITKC_MP_0597A_0200_010_0040 與弘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二十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63)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난 밤에는 1시까지 김옥련씨 댁에서 민요를 채록하고 그 민요의 각 구절마다 해설을 들었다. 그 후에 김재현씨 댁에서 하룻밤을 편히 보낼 수 있었다. 이튿날에는 식사 대접까지 잘 받고, 식구들은 모두 밭으로 나가 버려 두 사람만 남았다. 김재현씨와 서로 마주 앉아...
    조사일시1981-05-17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민요 녹음을 한 것 중에 발음의 불분명한 것을 재확인하기 위해 민요를 창해준 분 몇 분을 모았다. 발음이 불분명한 것, 뜻이 분명치 않은 어휘들에 대한 확인을 끝내고 잠시 쉬면서 한담이 벌어졌다. 이 한담 가운데에서 이 이야기가 나왔다. 해녀노래의 후렴 가운데 ‘...
    조사일시1979-05-13 | 조사장소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 제보자김순여
  • 도 사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이해령
  • 도 사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미상
  • 도 사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미상

기초학문(12)

  • 성의 조선미술사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지석, 게재일 : 2009
    57651 홍지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물미술사학회 2009 성의 조선미술사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7세기 순(順) 소문의 힘과 가부장 사회의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나래, 게재일 : 2014
    52261 홍나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17세기 순(順) 소문의 힘과 가부장 사회의 대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出土先秦秦汉儒家文献治研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윤옥, 게재일 : 2008
    13897 강윤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문자학회 2008 出土先秦秦汉儒家文献治研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論出土儒家文獻治數据庫應用方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윤옥, 게재일 : 2008
    25616 강윤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江西敎育出版社 2008 論出土儒家文獻治數据庫應用方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웅가레티 시학의 변화와 연속성 연구 -「아 밤」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은영, 게재일 : 2013
    53408 김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3 웅가레티 시학의 변화와 연속성 연구 -「아 밤」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207)

  • 入의處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야에 쥬뎐원에 입직얏던 춍슌이 쳐분을 봉승야 경무쳥으로 뎐화고 쳥관하 춍슌이하 슌검의실슈 젹어들이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株式會社堂) 서울 - 株式會社堂 寬勳町 130 종이_문고_도서 - 서적 도소매 130.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株式會社以女堂)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서적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의 농민 단결하라, 유식계급 반성하라 유산계급 복죄하라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7) 노동문제 조선의 농민 단결하라, 유식계급 반성하라 유산계급 복죄하라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3년 3월 1일 이성환 개벽 제33호 평론 8 이 기사는 농민계급의 해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들...
    대표표제어조선의 농민이여 단결하라, 유식계급이여 반성하라 유산계급이여 복죄하라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성환 | 출처개벽 제33호 | 키워드농민계급, 농업노동자, 농민 인권, 농민계급 해방
  • 조선의 농민 단결하라, 유식계급 반성하라 유산계급 복죄하라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9) 참정권 문제 조선의 농민 단결하라, 유식계급 반성하라 유산계급 복죄하라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3년 3월 1일 이성환 개벽 제33호 평론 8 이 기사는 농민계급의 해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대표표제어조선의 농민이여 단결하라, 유식계급이여 반성하라 유산계급이여 복죄하라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성환 | 출처개벽 제33호 | 키워드농민계급 해방, 유산계급, 지주자산계급, 토지정책
  • 동국승니록(東國僧)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동국승니록(東國僧) 1 東國僧 동국승니록 형태서지 東國僧 朝鮮 韓國 筆寫本 1冊 H12, p.857.; X88, p.644. 東洋文庫 Ⅶ...
    대표표제어동국승니록(東國僧尼錄) 1 | 대표서명東國僧尼錄 | 한글서명동국승니록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2)

  • 18세기 중반 뇌록()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452_18세기_중반_뇌록() 경제_1452_18세기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뇌록[]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678_16세기_초반_뇌록[] 경제_733_16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51)

  • 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536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5면 한;漢 경성 중부 승동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69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7면 원;遠 제3회 1933-03-24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662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9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10) 제10회졸업자(1922년도) 식;湜 함종;강서군 성태면 대마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옥;玉 개성부 남산정 665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151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1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 문과 예과 곤;坤 (원적)황해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8)

  • /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식, 아버지는 신하, 어머니는 신후완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 다음 해 홍문록에 등재되고 정자가 되었다. 이어 이조좌랑, 이조정랑, 이조참의, 대사간,

  • 빈 /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효신, 어머니는 이귀윤의 딸이다. 한우의 문인이다. 1605년 증광문과 병과로 급제, 이듬해 벽사도찰방으로 나갔으나 1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1610년(광해군 2) 성균관전적으로 등용되었으나 정

  • 절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1789년(정조 13) 단천부사, 부령부사, 창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재임시 형장을 남용하여 무고한 백성을 남살하였다는 죄목으로 지평 남이익과 영남암행어사 유경의 탄핵을 받아 1795년 위원에 유배되었다가 같은해 강계의 군졸로 충군

  • 송설화 / 松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송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의 하나로, 『기문총화(記聞叢話)』·『난중잡록(亂中雜錄)』·『대동기문(大東奇聞)』·『동야휘집(東野彙輯)』·『임진록(壬辰錄)』·『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 등에 실려 있다. 송은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조선

  • 영이록 / 靈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3권 3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주인공 손기의 시련과 변신에 관한 문제이다. 바보에 지체장애아로 태어난 손기는 세 차례의 큰 시련을 극복하고 나서, 하늘이 맡긴 인간제도(濟度)의 위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가 겪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