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언경” 에 대한 검색결과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오(仲悟). 인충(仁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弼)이고, 아버지는 계장(繼長)이며, 어머니는 성세정(成世貞)의 딸이다. [내용] 154...
    이칭별칭 중오(仲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3(효종 4)∼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상(士常), 호는 천유(天遊). 양열(揚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시필(時苾)이고, 아버지는 좌랑 정린(庭麟)이다. 남구만(南九萬)의 문...
    이칭별칭 사상(士常)| 천유(天遊)
  • 이창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윤(聖尹), 세종의 아들인 영해군 왕당(寧海君王瑭)의 후손이며, 정인(廷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언경(彦經)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 춘제(春躋)이며, 어머...
    이칭별칭 성윤(聖尹)
  • 안겸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달부(達夫), 호는 팔하(八下). 식(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선(弼善) 시상(時相)이고, 아버지는 도정 해(鍇)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의...
    이칭별칭 달부(達夫)| 팔하(八下)
  • 궁료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상진(趙尙鎭)ㆍ정유악(鄭維岳)ㆍ조원기(趙遠期)ㆍ김진규(金鎭圭)ㆍ조태기(趙泰耆)ㆍ()ㆍ김상익(金尙翼)ㆍ원경하(元景夏)ㆍ권첨(權詹)ㆍ김보택(金普澤)ㆍ최석정(崔錫鼎)ㆍ이이명(李頤命) 등의 상소가 실려 있다. 내용은 주로 왕세자의 일반생활ㆍ학문ㆍ의례 등에...

고서·고문서(39)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양열 증손, 할아버지는 시필, 아버지는 정린이다. 남구만의 문인이다. 1677년(숙종 3) 사마시에 합격, 1691년(숙종 17) 통덕으로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성균관학유·박사가 되었다. 대사간, 충청

  • 궁료소 / 宮僚疏 [역사/조선시대사]

    김진규(金鎭圭)·조태기(趙泰耆)·()·김상익(金尙翼)·원경하(元景夏)·권첨(權詹)·김보택(金普澤)·최석정(崔錫鼎)·이이명(李頤命) 등의 상소가 실려 있다.내용은 주로 왕세자의 일반생활·학문·의례 등에 관하여 유교경전·선왕·선현의 예를 들어 헌의(獻議)하는 것

  • 이국형 / 李國馨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이덕명 후손, 고조는 , 증조는 이락, 조부는 이광주이다. 부친은 이유신, 모친은 홍응원의 딸이다. 부인은 윤화교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시 생원 2등 15위로 합격하였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