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양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
사전(13)
- 반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양오(李養吾)의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판본. 1905년에 현손 석인(錫仁)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석호(鄭錫祜)ㆍ김유헌(金裕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능렬(李能烈)ㆍ이학규(李學逵)의 발문과 현...
- 백면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례 시 요여, 유소, 홍양산(紅陽繖)의 속넣기용이나 모절, 은교의 등에 사용되는 목면실. 鄕絲三兩四戔回繩次白綿絲十二兩五戔以上濟用監造作排設靈座諸具, (빈전1701/184ㄱ03~05)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서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는 이양오(李養吾)의 딸이다. [내용]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의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좌랑ㆍ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형제로는 서강(瑞康)ㆍ서안(瑞安)이 있다. 『태종실록(太宗...
- 조서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배천(白川). 하(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참찬(贈參贊) 세경(世卿)이고, 아버지는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녹훈되고 부흥군(復興君)에 봉해진 반(胖)이며, 어머니는 이양오(...이칭별칭 평숙(平肅)
- 삼청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錢五分二靑三靑各三錢靑花二兩眞粉二兩五錢黃丹五錢片燕脂五片, (국장1674/107ㄴ03~05)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41)
- 이양오(李養吾)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839년 이양오(李養吾)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30100 19301_31_2_1447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48 2 48결 2두락 朱川 이양오(朱川李良五)자료번호19301_31_2_1447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補宗契單子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五戔 張宰文 生壬戌 字應章 貳兩五戔 張師魯 生丙辰 字士先 貳兩五戔 張師彦 生辛酉 字士賢 貳兩五戔 張佑文 生辛未 字國弼 壹兩 張師轍 生丁丑 字致弘 壹兩五戔 張相德 生甲申 字國衡 壹兩 張師協 生乙酉 字聖彦 壹兩 張相文 生丁亥 字國元 壹兩 張寅德 生丁亥 字道明 壹兩 張順文...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돌장궤(突長跪)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330 B068330 돌장궤 突長跪 수산물 『玆山魚譜』 卷二 介類 蟹 蟛螖 蟛螖(俗名突長跪) 小於籠蟹 色蒼黑 而兩螯微赤 脚有斑文似瑇瑁 ○[田+靑]案 爾雅釋蟲 螖蠌小者蟧 疏云 卽蟛螖也 蘇頌云 最小無毛者 名蟛螖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南大門內公洞 셔져번붓터日本女광가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南大門內公洞 셔져번붓터日本女광가발죠를데壯히구경만데前에二兩五錢式더니此次天晴日붓터三日間은一兩二錢五分式밧을터이니만이와구경시오晝에年後一時에시작야五時지놀고夜에七時붓터시작야十二時지노오 演技土 大橋又吉 謹告게재일1900년 7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이 자암김낙영허에 음녁시월 쵸오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이 자암김낙영허에 음녁시월 쵸오일 츄차당젼 륙팔십팔양어음과 자암김도경허에 음십월초오일 츄차당젼 오사십이양오젼 어음과 오 오취근허에 음녁십월초오일 츄차당젼오양어음과 슈각교향목동 리죵허에 음녁십월초십일 츄차당젼일쳔사양어음과 리죵허에 십월초십일 츄차당...게재일1905년 10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
-
이양오 / 李養吾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 5월 6일∼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문장가. 증조는 이문좌, 조부는 이시발이다. 부친 이의채와 모친 정탁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장한응의 딸이다. 1786년(정조 10) 모친상을 당한 이후 과거시험에 대한 뜻을 접고 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