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양신”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1125년(인종 3)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151년(의종 5)에는 간관으로서 다른 간관들과 함께 간쟁(諫諍)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을 보지 않았고, 왕이 불러 타일렀지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9(숙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초명은 종신(宗臣). 자는 원량(元亮). 정구(廷龜)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희조(喜朝), 어머니는 영의정 김수흥(金壽興)의 딸이다. ...
    이칭별칭 원량(元亮)|종신(宗臣)
  • 대사간공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문집. [내용] 3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의 아들인 민보(敏輔)가 실기(實記)를 쓴 것으로 보아 함께 편집한 것 같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
  • 조명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가 이듬해 7월에 돌아와 준청(準請)의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로 가자(加資)되었고, 이어 승지에 제수되었다. 1727년 광주부윤(廣州府尹)으로 재직시 수찬 ()이 탄핵소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1730년에는 재차 승지로 제수되었고,...
    이칭별칭 명중(明仲)
  • 동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편무당왕도탕평(無偏無黨王道蕩平)」은 당쟁의 타파를 주장한 것이다. 「중용리(中庸理)」는 『중용』의 비은(費隱)을 서술한 이(理)를 설명한 문체의 글이다. 서에는 어유봉(魚有鳳)‧정호(鄭澔)‧() 등 당시 노론에 속했던 인사들과 주고받은 것이 대부분이다....

고서·고문서(38)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정구 현손, 아버지는 희조, 어머니는 김수흥의 딸이다. 1721년(경종 1)에 내시교관, 1726년(영조 2)에 한성부주부, 사복시주부와 공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72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부

  • 이헌보 / 李獻輔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31년(영조 7). 조선 후기 사인. 이정구 후손, 증조는 이단상, 조부는 이희조이다. 부친 과 모친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씨이다. 성인의 학문에 힘쓰면서 부모를 진심으로 섬겼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벗들과의 사귐

  • 김성흠 / 金聖欽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57년(영조 3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김시온, 부친은 김구중, 모친은 이표의 딸이다. 이동완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외조부 이표에게 나아가 문장을 배웠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

  • 대사간공유고 / 大司諫公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소·연설·제문·고문 등을 수록한 문집. 3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의 아들인 민보(敏輔)가 실기(實記)를 쓴 것으로 보아 함께 편집한 것 같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책 건(乾)에 소·연설(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