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안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68)
- 이안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호군(大護軍)양(崵)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감찰필(泌)에게 입양됐다. 이식(李植)의 종숙(從叔)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이안눌은 18세에 진사시에 수석합격한다. 그러나 동료들의 모함을 받자 관직에 나갈 생각을 버리고 오직 문학 공부에...이칭별칭 자민(子敏)| 동악(東岳)| 문혜(文惠)
- 이안눌(李安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019 인물 이안눌(李安訥) 이안눌 李安訥 1571 163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東嶽). 18세에 진사시에 장원하였으나 동료들이 시기하여 예조(禮曹)의 시험...유형분류인물
- 등통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이안눌(李安訥)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용만(龍灣)의 통군정에 올라 지은 작품이다. 칠언율시로, 작자의 문집 『동악집(東岳集)』 권2 「조천록(朝天錄)」(1601)에 수록되어 있다. 의주(義州)의 용만과 부산의 동래...
- 박길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안눌(李安訥)의 문인이다. [내용] 음보(蔭補)로 찰방이 되어 1634년(인조 1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38년 사간원정언이 되었고 1641년 사헌부지평으로 옮겼다가 이듬해 다시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648년 사간원사...이칭별칭 덕일(德一)| 진정재(眞靜齋)
- 생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채색하지 않은 맨 종이. 채전(彩.)의 반대말. 自作罪人方在血淚追愆之中 故不可彩.上有所題述 故前來十幅 謹全緘藏 前後拙語 姑將生紙錄呈耳, 이안눌(李安訥), 5-3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2)
- 1645년 이안눌(李安訥)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20 B07302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2月 6日_027 ... 。 上曰, 依爲之。 大載又啓曰, 東萊之人, 壬辰之亂, 起義勦賊者, 李安訥爲府使時, 査出報監司復戶矣, 其人身死之後, 其子孫或有充定賤役者, 或有爲本府軍官者, 如此之類, 常漢則減除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074 B01507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十年(1618) 九月 광해군일기_11009027_006 ○司諫院啓曰: “江華府尹李安訥, 爲人驕亢, 頃於檢察使狀啓之後, 不勝其憤, 移怒於軍官, 無數重杖。 渠以秩高守令非不知事體, 而凌蔑使命, 恣行己意。 如此之習,...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出於上中下三策也。” 上又問於尹毅立, 毅立馳啓曰: “以李安訥謂賊适有三策, 令臣從實馳啓。 其時李安訥聞賊勢鴟張, 言曰: ‘此賊必有所托而爲言者。 或以推戴王子, 或以復立廢君, 或出自爲之計。 其策有三而未得聞知, 甚爲悶鬱云。’ 與金德諴論難請兵之日, 亦出三策之說, 聞之雖有先後, 而安...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034 B064034 도중 島中 도서 일반 京畿道邑誌 江華府志 江華府志卷上 學校 文廟在府城內 東去衙一里相 傳蒙古撤城時 移奉位版於甫乙音島 雖無文獻之可據 舊墟位田 皆在島中 想當然矣 還移年時 及其址皆無可稽 仁祖甲子 建于小東門 而制度初創不備 丁卯 留守李安訥始奉位版 而建明...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2)
-
이안눌 / 李安訥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좌의정 행 증손. 할아버지는 원정, 아버지는 진사 형, 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대호군 양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감찰 필에게 입양됐다. 이식의 종숙이다. 예조정랑, 이조정랑, 홍주목사, 동래부사, 동부승지
-
등통군정 / 登統軍亭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안눌(李安訥)이 지은 한시. 용만(龍灣)의 통군정에 올라 지은 작품이다. 칠언율시로, 작자의 문집 『동악집(東岳集)』 권2 「조천록(朝天錄)」(1601)에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이안눌의 「등통군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것은 정철
-
동악시단 / 東岳詩壇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이안눌(李安訥)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또는 그 장소.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동국대학교 경내이다. 이에 관한 기록이 이안눌의 후손인 이석(李氵+奭) 의 『동강유고(桐江遺稿)』에 실려 있는 「동원기(東園記)」에 있다. 이에 의하면 이 곳에서 당시의
-
동악서원 / 東岳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명산리에 있었던 서원. 1706년(숙종 32)에 문혜공(文惠公)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현재 서원터는 민묘(民墓)가 조성되고 밭으로 개간되어 완전히 파괴되었다. 다만 건축물의 초석으로 보이는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璟)·김응회(金應會)·이안눌(李安訥)·송징(宋徵)·김대기(金大器), 1717년에 나무춘(羅茂春), 1765년에 임광필(林光弼)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맡아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전에 화재로 전소되어 복원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