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십일도회고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9)
- 이십일도회고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한시. [내용]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43수로 단군의 왕검성에서 비롯하여 고려조의 송도에 이르기까지 21개의 왕도를 읊은 작품이다. <이십일도회고시>는 유득공이 31세였...
- 이십일도회고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78년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지은 칠언절구 43수로, 단군의 왕검성에서 비롯하여 고려조의 송도에 이르기까지 21개의 왕도를 읊은 작품.정의1778년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지은 칠언절구 43수로, 단군의 왕검성에서 비롯하여 고려조의 송도에 이르기까지 21개의 왕도를 읊은 작품.[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Isip-il do hoegosi | MR표기Isip-il to hoego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유득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集≫‧≪고운당필기 古芸堂筆記≫‧≪앙엽기 盎葉記≫‧≪사군지 四郡志≫‧≪발해고 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 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 특히 ≪경도잡지≫는 조선시대 시민 생활과 풍속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서적이며, ≪발해고≫는 그의 학문의 깊이와 사상을 규명하는 데 있...이칭별칭 혜보(惠甫), 혜풍(惠風)| 영재(?齋), 영암(?庵), 고운당(古芸堂)
- 箕田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韓久菴, 柳根, 許筬, 李瀷, 韓久菴百謙, 孟子, 朱子, 柳川公, 徐命膺 灤陽紀行詩注, 箕田考, 平壤府志, 集, 箕子井田圖說, 箕田考, 箕田遺制說, 孟子, 班史, 刑法志, 語類, 箕子外紀, 二十一都懷古詩 O_07_14_03 오주연문장전산고 7권 14장 3...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14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영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며, 시 가운데는 중국의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과 화답한 시도 있다.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43수는 가장 역작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해자낭(亥子囊)」은 옛 궁중 풍속인 해낭‧자낭에 대해 지은 시로, 정월 첫 돼지날[亥日]과 쥐날[子日]...
고서·고문서(5)
-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아삽알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영사시와 회고시에 대한 시학적 이해 :「이십일도회고시」의 성격 규명을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철희, 게재일 : 201011482 이철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연구학회(구, 동악어문학회) 2010 영사시와 회고시에 대한 시학적 이해 :「이십일도회고시」의 성격 규명을 위하여 https://www.krm.or.kr/krmts/l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0)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옮겨 싣고 주해를 붙인 글 고구려, 계립산(鷄立山), 온달(溫達), 평원왕(平原王), 공주, 요해, 살수(薩水), 을지문덕(乙支文德), 오언시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3호 海東懷古詩 1906. 07. 25. 사조 69~70 97~100 미상(未詳) 대한제국 유득공(柳得恭) 조선 유득공(柳得恭)의 「이십일도회고시(...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해동회고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4호 海東懷古詩 1906. 08. 10. 사조 96~97 133~136 미상(未詳) 대한제국 유득공(柳得恭) 조선 유득공(柳得恭)의 「이십일도회고시...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옮겨 싣고 주해를 붙인 글 고구려, 부여(夫餘), 주몽(朱蒙), 하백, 동명성왕(東明聖王), 고씨(高氏), 졸본천(卒本川), 비류수(沸流水), 기린보마(麒麟寶馬), 백옥편(白玉鞭), 협탄아(挾彈兒), 황조(黃鳥), 유리왕, 화희(禾姬), 치...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옮겨 싣고 주해를 붙인 글 고구려, 하구려(下句麗), 주필산(駐蹕山), 고연수(高延壽), 고혜진(高惠眞), 막리지(莫離支), 개소문(蓋蘇文), 규염객전(虯髥客傳), 보덕(報德), 검모잠(釼牟岑), 안순(安舜), 안승(安勝), 금마저(金馬渚)...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2)
-
이십일도회고시 / 二十一都懷古詩 [언론·출판]
저자 유득공(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표지 포함 44장이다. <이십일도회고시>는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역사를 칠언절구로 노래한 시집이다. 저자는 이 책을 1778년에 짓고 1785년 서문을 붙인 초편본과 1790년에 수정하고 1792년 서문을 붙인
-
유득공 / 柳得恭 [역사/조선시대사]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경도잡지(京都雜志)』·『영재집(泠齋集)』·『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앙엽기(盎葉記)』·『사군지(四郡志)』·『발해고(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