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심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2)
- 이심전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종에서 스승과 제자가 대면해 마음에서 마음으로 법(法)을 전하는 것을 이르는 말정의선종에서 스승과 제자가 대면해 마음에서 마음으로 법(法)을 전하는 것을 이르는 말 | 문광부표기isim jeonsim | MR표기isim chŏnsi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건염이래조야잡기(建炎以來朝野雜記)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필기 건염이래조야잡기(建炎以來朝野雜記)李心傳, 南宋 『建炎以來朝野雜記』는 南宋 李心傳(1167∼1240)의 저작이다. 李心傳은 사천인으로 1195년에 향시 낙방한 후 저술에 몰두했다가 만년에 工部侍郞까지 올랐다. 『建炎以來朝野雜記』는 甲集 20권과 乙集 20권이다....서명건염이래조야잡기(建炎以來朝野雜記) | 간행李心傳, 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근대신어 : 텔레파시 (텔레파씨)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8832 텔레파시 타항 텔레파씨 telepathy 遠隔精神作用, 讀心術, 以心傳心, 隔減, 千里眼 원격정신작용, 독심술, 이심전심, 격감, 천리안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구문증오(舊聞證誤)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필기 구문증오(舊聞證誤)李心傳, 南宋 『舊聞證誤』는 南宋 李心傳(1167∼1240)의 저작이다. 李心傳은 사천인으로 1195년 향시 낙방 후 저술에 몰두했다가 만년에 工部侍郞에 올랐다. 『舊聞證誤』는 『建炎以來系年要錄』에서 제대로 고증하지 못한 書籍들에 대한 고증을...서명구문증오(舊聞證誤) | 간행李心傳, 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繫年要錄)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사서 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繫年要錄)李心傳, 南宋 『建炎以來繫年要錄』은 南宋 高宗 建炎 원년(1127)부터 紹興 32년(1162)까지 총 36년간의 사실을 기록한 편년체 사서로, 총 200권이다. 작자 李心傳(1167~1240)은 사천인으로, 1195년에 향시 낙...서명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繫年要錄) | 간행李心傳, 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고서·고문서(21)
- 이심전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881 P-SDK-00881-P-M-08-04 P-SDK-00881-P-M-08-04-1 P-SDK-00881-P-M-08-04-2 이심전심 心と心と 여들 사람의 기생 농자팔태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기생 ...자료명이심전심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구문증오_舊聞證誤4 髙麗厯日 自契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외국정세, 『舊聞證誤』는 宋人 李心傳(1166∼1243)이 『建炎以来系年要录』은 北宋之事는 많으나 南宋之事는 그렇지 않다고 하여, 이를 補遺하는 의미로 저술한 것이다. 해당 기사에는 天慶八年(예종 13년) 이래 髙麗厯日의 변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다만 李心...국가중국 | 서명구문증오 | 왕대기타
- 전송문_全宋文2873 先天金丹大道玄奧口訣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余意其妙旨秘而不傳 觀婿霍端發家世蓄其書 歷年之久 不知其所自來 林靈素見而奇之 謂陳希夷心傳之書 霍親携以示余 果奇書也 求而得之 余後持以見林靈素 以得其奧旨 頃於高麗海泛海山 險阻多矣 歷試無不獲驗 可以爲身中之寶 信乎 傳余之子孫 恨不得傳 故序以戒之 宣和元年十一月上巳 霍三益序 외교...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예종(睿宗) 14
- 녹동(鹿洞)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所在擇净爲壇分遣朝臣祭以牲醴飯羹申之以丁寧之論使爾開悟惟爾鬼神思以繼善收霽乖憤之氣以布生生之德) 白鹿洞書院(在州東十里天柱山下有白 鹿洞南有晦菴西有寒泉北有雲谷其山名洞號亦我東方一南康也萬曆十六年戊子牧使李玄培與州居上庠姜德獜李心傳等因地慕賢創建祠宇以晦菴朱先生主享以寒暄金先生配祀蓋寒暄居住近地愛...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鹿島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絕即以兵言之旅順口,廣鹿,長山,石城,獐子,皮,鹿諸島有自去年九月缺米者有自去年十月缺米者有自去年十一月缺米者惟長山島一營可支至今年二月耳即減其兵而猶是民也寧可坐視其死且未經明汰厯日已深前崇煥今登州運買十萬以濟冬春而收買遲悞僅發二三萬其達於島者不過數千而已惟在皮島者尚可與鮮人交易支吾而各島遠在二千里...출처전거『明實錄』 附錄 史語所藏鈔本崇禎長編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신문·잡지(4)
- 농화학회지_1969_0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심전심을 정상길 65 가리 산책에서 김용주 66 농화학회칙 6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천도교회월보_1919_1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삽영 이심전심 오상준 1 10월 28일 대기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9
- 천도교회월보_1919_1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이심전심 정광조 1 금일 이후의 종교 이돈화 2 내생활과 외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9
- 대만출판경찰보 033호 남영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민족성을 자극해주었다. 그리고 이심전심(以心傳心)적으로 이제 비상한 각오를 가지게 되었다. 그것도 천우(天佑)의 하나일 것이다. 우리 일본은 건국의 시작으로부터 국체가 다르다. 위기에 임하면 단결하고 전화위복(轉禍爲福)하는 전기(轉機)를 만든다. 오호라, 일본이여. 일...대표표제어대만출판경찰보 033호 남영신보 | 출판물명남영신보(南瀛新報) 1932년 3월 12일
기타자료(1)
- (명사의 스승이야기) 이심전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명사의 스승이야기) 이심전심 (명사의 스승이야기) 이심전심 (명사의 스승이야기) 以心傳心)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길원 | 사료철명충북교육
주제어사전(2)
-
이심전 / 李心傳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미상. 조선 후기 문신. 고조는 이중번, 증조는 이태즙, 조부는 이언후. 부친 통정대부 사간원대사간 이성수 모친 한계진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경전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73년(
-
운담집 / 雲潭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오세웅의 논·서(序)·기·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연활자본. 현손 상봉(相鳳)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6대손 정원(廷源)이 이어서 간행하였다. 『운담집』에는 1892년에 쓴 이심전(李心傳)·정재면(鄭在勉)·정재명(鄭在明)·이방규(李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