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식” 에 대한 검색결과 4,3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98)

사전(879)

  • 사우정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의 왕족 ()의 시집. [내용] 상ㆍ하권 2책. 목판본. 1500년(연산군 6) 아들 철(轍)이 편집, 간행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상권이 전하지 않아 서문이 있는지는 알 수 없으며, 하권 끝에 강혼(姜渾)과 철의 발문이
  • 조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奇孝曾)의 딸이다. ()의 문인이자 사위이다. [내용] 1635년(인조 13)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이듬해 병자호란으로 영남으로 갔다가 전라도 장성으로 피란하였다. 몇 해 뒤에 헌릉참봉(獻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다가 어머니...
    이칭별칭 사구(士求)| 총계와(叢桂窩)
  • 화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집. [내용] 3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나 그 연대를 알 수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수록된 내용은 모두 시로 502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제가 다양하고 구상 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090(선종 7)∼1151(의종 5). 고려 중기의 재상. [개설] 본관은 경원(慶源)이며, 자는 처인(處仁)이디. 자연(子淵)의 증손자이며, 문종 때 문하시중을 지낸 정(頲)의 손자이고, 병부낭중(兵部郎中) 자효(資孝)의 아들이다. 외...
    이칭별칭 처인(處仁)| 정정(貞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3(세조 9)∼1502(연산군 8). 조선 전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기지(器之). 아버지는 진사 증이조판서 계양(繼陽)이며, 어머니는 영양김씨(英陽金氏)로 부사직 유용(有庸)의 딸이다. 어릴 때부터 뛰어난 재...
    이칭별칭 기지(器之)

고서·고문서(2,866)

  • 06522 창가 산술창가 22070 1929년 1월 25일 白南奎 以文堂 白南奎 번 50錢 步合과 〈#17〉 實業上에 만히 쓰는 步合, 算 小數자리 割, 分, 厘, 毛 부르는구나. 分의 자리 步라는데 單位로 하야 '파―...
    구분창가 | 편저자白南奎
  • 2197 P-SDK-02197-P-B-08-08 P-SDK-02197-P-B-08-08-1 P-SDK-02197-P-B-08-08-2 순금제 金冠塚出土 純金製 순금으로 만든 귀걸이를 인쇄한 엽서 신라왕 어물 회엽서 봉투 있음.
    자료명순금제 이식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人事門3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人之所不可廢者有三: 不飮食, 則死; 便不下, 則死; 呼吸不通, 則死. 然作意忍之, 雖不可以全却, 亦能少減其分數. 故初飢, 腹枵若不可堪, 久久忍熟, 則還覺心平. 如是漸刪, 積久成習, 可以不死矣. 便液之將下, 亦初間, 裏急難堪, 稍稍忍之, 促可使遲, 遲可使久, 久而...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英英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베 英英辭典 인문학 영어와문학 영어학 베 英英辭典 C K Ogden 編 大光書林 서울 1978 영영; 일언어사전;
    대표표제어베이식 英英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영어와문학 | 소분류영어학
  • 영한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베 영한사전 인문학 영어와문학 영어학 베 영한사전 民衆書館編輯局 編 민중서관 서울 1973 영한; 이언어사전 [...
    대표표제어베이식 영한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영어와문학 | 소분류영어학

구술자료(5)

  • 어린 ()의 재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택당(澤堂)에 관한 이야기라고 하지만, 이는 제보자가 임의로 결부시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제보자의 특징은 반드시라고 할 정도로 특정인과 관련지어 이야기하는 점이기 때문이다.*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신의하
  • 명당에 쓴 강 장군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조사자는 계룡산과 정감록[[鄭鑑錄]]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간단히 언급한 후 제보자의 시조이기도 한 강이식 [[姜以式]]장군에 대한 일화들을 이야기 하다가 아래의 이야기도 구연했다.
    조사일시2011.02.12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죽당2리 866-2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강진구
  • 고구려 충신 강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기지로 도둑을 잡은 여자에 대한 생애담을 마친 후 조사자가 중국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바로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167-3번지 향수다방 | 제보자강진구
  • 양만춘 장군의 투구를 되찾은 강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바로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167-3번지 향수다방 | 제보자강진구
  • 장을 할랑, 뭐하라, 뭐 이병이다, 그 총 그거 일본 놈 묻어논 총 그거 말이여 쓰던 거 고물난 것들 하나씩 주면서 기를 살려놨단 말이야. 그러니까 여기 모르는 사람들은 그저 좋아서. 큰 책하고 말여. 그래 아버지도 죽이고 형도 죽이고 이 나왔거든. 그이 하여튼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1월 21일

기초학문(38)

  • 뇌사와 장기: 한국인의 관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목
    09085 이상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뇌사와 장기: 한국인의 관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7841011248c9db9
    유형논문
  • 이종의 의학윤리적 제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구인회, 게재일 : 2004
    31655 구인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2004 이종의 의학윤리적 제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장기 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명수, 게재일 : 1993
    12326 양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기독교서회 1993 장기 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과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1993
  • 1930년대 후반 문학비평과 ''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40436 한국연구재단 한민족어문학회 2003 1930년대 후반 문학비평과 ''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인공와우 자의 조음산출에 미치는 배경변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허명진, 게재일 : 2015
    55461 허명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인공와우 자의 조음산출에 미치는 배경변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57)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永光靴店) 개성 李 永光靴店 南本町 285 - - 고무신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寅植(永光靴店)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고무신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東興紙物舖) 서울 金 東興紙物舖 鍾路 5-184 종이_문고_도서 - 조선 종이 소매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寅植(東興紙物舖)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조선 종이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삼수(杉樹) 및 각종 과목(果木) ()의 주의[杉樹及各種果木의 注意]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삼수(杉樹) 및 각종 과목(果木) ()의 주의[杉樹及各種果木의 注意]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0호 杉樹及各種果木의注意 1908.03.24. 講壇 526~527 705~707 ...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성수 정로사 현대 의학의 발전은 외과수술에 있어서 수술이 장기 수술에 까지 고도로 발전되었다. 예를 들면 피부, 골막, 연골 등의 수술은 신장, □□, 수족, 선 등의 장기수술에까지 발전되었다. 지(발꼬락)를 수지에 접합하는 수술도 가능...
    대표표제어정로_1946_0427_05 | 책임주필태성수
  • 發通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남도 뎡산군에셔 군거 이라쟈이 의병을초모다고 통문을발다가 본군에 피착이되야 그통문과 안동야 도관찰부로 압상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16)

  •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と韓國の造船業」, 『三田學會雑誌』 2, 75-89. 조선산업week02.pdf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1차시 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1.mp4 (한)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1.vtt (중)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と韓國の造船業」, 『三田學會雑誌』 2, 75-90. 조선산업week02.pdf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2차시 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2.mp4 (한)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2.vtt (중)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と韓國の造船業」, 『三田學會雑誌』 2, 75-91. 조선산업week02.pdf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3차시 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3.mp4 (한)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3.vtt (중)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と韓國の造船業」, 『三田學會雑誌』 2, 75-92. 조선산업week02.pdf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 근대조선산업의 _2주차_4차시 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4.mp4 (한)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4.vtt (중)한국 조선산업발전사 02-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41호묘 ②145호묘(항공촬영) cc2-0171_2_2015-05-11_5399_[원색사진 14] 전경 ①141호묘 ②145호묘(항공촬영).jpg cc2-0171_1 유물 [원색사진 31] 출토유물(‧자기류) cc2-0171_1_1_2015-0
    제목상주성동리 고분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3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310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0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3)송도고보 제16회(소화10년) 77명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386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87면 ; 京城府 본과제15회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48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4면 한;漢 함남 북청군 속원면 서호리 715 제29회 1935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25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8면 신;申 제10회 1943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668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3면 래;來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제4회 192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주제어사전(70)

  • / [종교·철학/유학]

    1458년(세조 4)∼1489년(성종 20).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의 손자, 이증 아들이다. 신종호, 채수 등과 교유하였으며 월산대군이 당시 종실의 어른으로 풍류문아가 있었는데 그와 어깨를 겨룰 정도였다. 미목이 그린 것 같았다고 하며 부림군에 봉해졌다. 저서로는《

  • / [종교·철학/유학]

    1584(선조 17)∼1647(인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행 현손이다. 아버지는 안성, 어머니는 윤옥의 딸이다. 1610년(광해군 2)별시문과에 급제했다. 예조참의, 동부승지, 우참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초학자훈증집』·『두시비해』등 저술,『수성지』·『야

  • 귀걸이 / [생활/의생활]

    귓볼에 붙이는 장신구. 사람의 몸을 치레하기 위한 장신구 중에서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종의 부적으로 소중히 여겨져왔다. 중국에서는 전국시대 말에서 한대에 걸쳐 이당(珥璫)이라고 불리는 귀걸이가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 관음시식 / 觀音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행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망인(亡人)의 명복을 비는 제사의 한 형태. 이 의식은 망인을 위하여 재(齋)를 올린 뒤에 행하거나 망인의 제삿날과 명절날에 행한다. 재와 시식은 모두 망인에게 베푸는 의식이지만, 재는 망인의 천도를 위하여 불보살(佛菩薩)이

  • 금귀걸이 / 金製 [예술·체육/공예]

    신라의 유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 고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귀걸이가 출토되며, 보통 고리 부분의 굵기에 따라 태환(太環)과 세환(細環)으로 구분한다. 귀걸이는 굵은 고리와 연결 고리, 작은 고리로 연결된 수식(垂飾), 그리고 심엽형의 끝 장식으로 이루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