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시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6)
- 이시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2(광해군 14)∼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사영(士榮). 영의정 항복(恒福)의 후손이며, 참판 몽양(夢亮)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부사 성남(星男)이며, 어머니는 참판 김제남(金悌男)...이칭별칭 사영(士榮)
- 이세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6(인조24)∼1700(숙종2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수옹(壽翁), 호는 양와(養窩). 항복(恒福)의 증손이며, 아버지는 성주목사 시현(時顯)이다. 박장원(朴長遠)의 문인이다. [내용] ...이칭별칭 수옹(壽翁)| 양와(養窩)
- 공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관청에서 발행하는 공문서. 絶海音問無從相接 第切瞻想而時見公牒 .審無事 是慰是慰, 정두경(鄭斗卿), 23-7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첨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을 우러러보며 생각함. 편지 서두의 문안 인사에 상투적으로 쓰는 말. 絶海音問無從相接 第切瞻想 而時見公牒 .審無事 是慰是慰, 정두경(鄭斗卿), 23-7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縣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604 縣令 관직 守令, 城邑, 二十縣令, 從六品, 從五品, 四年不易, 淸約, 投笏, 修葺城堡 顯宗九年 新羅, 高麗, 本朝 崔陟卿, 金鳳麟, 尹承解, 薛緯, 於世麟 D_17_02_30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67)
- 善行 滎公之心, 至舜從而始見, 舜從, 可謂能()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6:2:21 滎公之心, 至舜從而始見, 舜從, 可謂能子矣, 可謂能臣矣. “從”, 《左編》作“徒”.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29년 연포(蓮浦) 윤씨문중(尹氏門中)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投飯與狗食(투반여구식)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投飯與狗食, 客過, 狗舍飯, 而隨人吠. 以是見天職不可以殉欲而廢矣.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377 B036377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十二年(1671) 十二月 현종개수실록_11212008_007 ○以慶尙道暗行御史申晸書啓, 罷高靈縣監李重輝、咸昌縣監趙持綱、盈德縣令李象鼎、南海縣令任湜, 以不治也。 開寧縣監李時顯, 命準職除授, 賑政爲一道最也。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2_陽燄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野馬是遊氣之名, 因陽焰而見者, 如塵埃之因牕暉而始見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7)
- 평북로동신문_1948_022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44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리히준 정성필 고봉기 방기영 백린규 리시현 정달현 리복만 김영단 리히준 정성필 고봉기 방기영 백린규 리시현 정달현 리복만 김영단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225_02 | 책임주필김봉훈
- 로동자_1954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4 로동 임금제의 정확한 실시를 위하여 김기옥 60 구상흑연주철제조업 리시현 65발행국가북한 | 발행연도1954
- 대중과학_1946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메터법과 가로쓰기 동력의 발견과 이용 이시현 1 고대인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 평북로동신문_1948_020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2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영낙 리시현 자성군당 【자성】 자성군당 제 2차 대표회는 전체 당원의 고상한 정치적 수준과 무한한 기쁨속에 영예의 대위원들의 열성적 참가 밑에 지난 27일에 인민학교에서 소집되어 지도기관 사업결산과 선거사업이 잘...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207_01 | 책임주필김봉훈
- 캐나다문학_2011_01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1 영원한 귀환 외 1편 이시현 125 무의 부표 외 1편 이유식 128 몽정하는 나무 ...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2011
기타자료(5)
- 이시현;李時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077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8年~昭和9年 1933―07―20 176면 이시현;李時鉉 조선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시현;李時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078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11年~昭和12年 1936―09―15 152면 이시현;李時鉉 조선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시현;李時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082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11年~昭和12年 1936―09―15 379면 이시현;李時鉉 조선 제45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시현;李時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106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昭和9年~昭和10年 1934 170면 이시현;李時鉉 조선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시현;李時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469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103면 9. 제8회 졸업생 (48) 이시현;李時鉉 평안북도 자성군 자성면 성내동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이시현 / 李時顯 [종교·철학/유학]
1622(광해군 14)∼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후손, 몽양 증손, 아버지는 성남, 어머니는 김제남의 딸이다. 1659년(효종 10) 병조판서 송준길 천거로 사옹원봉사, 사복시주부, 홍산현감, 개령현감, 공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