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시애” 에 대한 검색결과 2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4)

사전(189)

  • 변종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3(세종 15)∼1500(연산군 6).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원(子元).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 1467년 ()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이칭별칭 자원(子元)| 공장(恭莊)
  • 황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함경도 종성의 갑사(甲士)로 1467년(세조 13) ()가 난을 일으키자 그 휘하의 군관이 되었다. 그 해 8월 적진에 들어가 공을 세울 것을 허락받고 현지에 내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하여 반란이 일어난 지 3개월이 지난 8월에 이르러서야 관군이 전열을 가다듬고 홍원‧북청‧이원 등지의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이 때 는 길주인 허유례(許惟禮)의 계교로 부하 이주(李珠)‧황생(黃生) 등에 의해 체포되어 참형, 이어 각 도에 효수되었다. ...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함경도 길주 사람. 비범하고 수상한 생각을 가져 큰 단체를 만들어 난을 일으킬 준비를 한다. 세조대왕 13(1467)년에 정부가 전라, 충청, 경상 삼남의군사를 치고 함경도 사람까지 모두 죽인다고 거짓으로 전하여 난리를 일으킨다. 그 아우 시합(施合)과 군사를 일으켜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S_0379 인물 北路, 北邊, 利城 端宗, 施愛, 施愛 S_27_01_19 성호사설 27권 1장 19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7권 1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1)

  • 經史門10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之難, 勢如破竹, 朝廷不知所爲. 有一朝臣出班, 奏“臣願有所陳也”, 於是群臣拭目望其猷爲, 其人但云: “彼, 不可不虜也.” 當時之恇怯, 可想. 近有人自北路來者云: “北邊之人, 皆以爲當時以端宗遜位, 故施愛藉口爲亂也.” 蓋施愛匹夫, 偏袒大呼, 所至席捲, 非...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景帝二年,令天下男子,年二十始傅。○元帝時,貢禹請民年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50 經世遺表 卷十 ITKC_MP_0597A_1150_020_0050 景帝二年,令天下男子,年二十始傅。○元帝時,貢禹請民年算。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
    권차명經世遺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467년 손소(孫昭)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7년(세조 13) 11월에 손소를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손소는 함경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2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00결, 노비 10구...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53년 장말손(張末孫) 백패(白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3년(단종 1) 2월 12일에 성균관의 유생이었던 장말손이 2등 70인으로 진사시에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장말손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67년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본 문서는 인동 장씨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과거급제합격증서 중 하나...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백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백패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 1459년 장말손(張末孫)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9년(세조 5) 장말손이 문과에서 병과 3등으로 급제하여 세조가 내려준 홍패인데, 홍패는 문과시험 합격자에게 내려준 합격증서이다. 장말손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67년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본 문서는 인동 장씨 종중에 전...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신문·잡지(4)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14 1925 9 2 4 1 民世學人 安在鴻 靑年老年(一)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단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金時習, 한니발, 項羽, , 朱蒙, 나폴레옹, 諸葛孔明, 劉玄德, 耶律楚材, 成吉斯汗, 맑쓰...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 (), 이만주(李滿住), 황수신(黃守身), 황희(黃喜), 정인지(鄭麟趾), 치평요람(治平要覽),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의반란 신청거 26 책 중앙선, 빗금 조선사일문일답 (3) 과목동인 46 책 중앙선, 빗금 고도의의인 일파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의 란』 『리씨 조선조 초기의 문화』 『서로 싸우는 량반』 『임진왜란』 『농민봉기』 『리씨 조선조 후기의 문화』의 장을 보충하고 제5학년 요목에 제시된 교재 (대원군의 정치 이하)에 들어가도록 할 것이며 1948학년도에 이미 교수요강에 의하여 충실히 교수한 학교에서...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013_02 | 날짜1949년 10월 13일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다. 이후 는 길주인 허유례의 계교로 부하 이주·황생 등에 의해 체포되어 참형, 이어 각 도에 효수되었다.

  • 남병영 / 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영. 1466년(세조 12)에 처음 병마절도부사(兵馬節度副使)를 두었다가, 이듬해 ()의 난을 겪은 뒤 병영으로 승격되었다. 남도 병영 혹은 남병영으로 통칭되었고 주장(主將)을 남병사라 불렀는데, 수군절도사를 겸

  • 길성 / 吉城 [지리/인문지리]

    398년(태조 7) 길주목이 되었고, 1467년(세조 13) ()의 반란이 있은 뒤 1469년(예종 1) 현으로 강등되어 길성이라 고치고, 북쪽의 영평(永平) 등의 지역을 떼어 내어 따로 명천현(明川縣)을 설치하였다. 1512년(중종 7) 다시 길주로 승격시

  • 영안도 / 永安道 [지리/자연지리]

    조선 팔도의 하나로 일운 관북(關北)이라고도 함. 태종 13년(1423)에 계수관의 이름을 따서 영길도라고 하였다. 태종 16년에는 함주목이 함흥부로 승격, 영흥부가 화주목으로 격하, 영길도에서 함길도로 고쳐졌으나, 세조 13년(1467)에 의 난으로 길주를

  • 장말손 / 張末孫 [종교·철학/유학]

    7년 의 난 때 예조좌랑으로서 진북장군 강순을 따라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에 녹훈되고, 내섬시첨정에 임명되었다. 1482년연복군에 봉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