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시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11)
- 이시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시술(1606-1672)이칭별칭 사강(士强)
- 이시술(李時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시술 이시술 李時術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인조~효종 이 "현숙 이범직 2014 사강(士强) 양반 남자 1606년(선조 39) 1671년(현종 12) 11월...
- 이종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9(숙종 25)∼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소(太素), 호는 목천(牧川).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형좌(衡佐)이며, 어머니는 윤지경(...이칭별칭 태소(太素)| 목천(牧川)| 정민(貞敏)
- 이세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8(인조 6)∼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도원(道遠). 영의정 항복(恒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남(井男)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시술(時術)이며, 어머니는 홍영(洪霙)의 딸이다....이칭별칭 도원(道遠)
- 이종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계(松溪). 이항복(李恒福)의 5대손이며,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정좌(鼎佐)...이칭별칭 자순(子順)| 송계(松溪)
고서·고문서(22)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109 B01510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孝宗實錄 九年(1658) 夏四月 효종실록_10904020_002 ○以鄭知和爲吏曹參議, 曺漢英爲大司諫, 金徽爲承旨, 徐元履爲江華府留守, 金禹錫爲持平, 金壽興爲獻納, 閔點爲副修撰, 李時術爲輔德, 李時楳爲開城府留守, 趙龜錫爲...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796 B01279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6年 10月 16日_005 ○李時術, 以備邊司言啓曰, 江都事目定奪事, 依榻前傳敎, 本司有司堂上洪重普, 與江華留守徐必遠, 往議于領議政, 校生一款, 改磨鍊書入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801 B01280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6年 10月 16日_005 ○李時術, 以備邊司言啓曰, 江都事目定奪事, 依榻前傳敎, 本司有司堂上洪重普, 與江華留守徐必遠, 往議于領議政, 校生一款, 改磨鍊書入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038 B01703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九年(1668) 六月 현종개수실록_10906006_001 ○癸酉 / 以閔鼎重爲吏曹參判, 李慶億爲大司憲, 李殷相爲刑曹參判, 李尙眞爲大司諫, 鄭榏爲承旨, 李時術爲吏曹參議, 李翊相爲吏曹正郞, 鄭晳爲校理, 吳始復爲...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中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현종실록 5권, 현종 3년 5월 25일 정유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현종실록 현종 3년 5월 25일 정유(1662) 1662 中江 中江 灣府 宋 遼 외교 修撰閔維重上密疏略曰李時術之...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현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3)
-
이시술 / 李時術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몽량 증손, 할아버지는 항복, 아버지는 정남, 어머니는 윤두의 딸이다. 1630년(인조 8) 진사시에 합격,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 등을 지냈으며, 1652년(효종 3) 정랑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호
-
이세필 / 李世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항복의 증손, 이시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형조좌랑, 삭녕군수,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을 역임하였다.영광의 백산서원과 김제의 용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이종성 / 李宗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이항복 5세손, 이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이세필, 아버지는 이태좌, 어머니는 홍득우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홍문관부제학·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영남·관서 등에 어사로 파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