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시수” 에 대한 검색결과 3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8)

사전(49)

  • 모정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2년 의 아들 이정흠(李庭欽)과 손자 이중기(李中基)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말에 권상규(權相圭)의 후서(後序)와 이중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1745-1821) 1745(영조 21)-1821(순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근묵≫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치가(稚可)| 급건(及健)| 충정(忠正)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983 인물 () 1745 182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치가(稚可), 호는 급건(及健). 177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이어 177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유형분류인물
  • 이조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 일족인 이문원(李文源)이 황해도감사, ()가 함경감사로 재직 중이므로 연안 이씨 일문이 삼번(三潘)을 맡을 수 없다 하여 사직소를 올렸으나 윤허되지 못하였다. 이듬 해에도 계속해 경상도 지역의 환곡부정사건이 조정에서 논란을 빚자, 오히려 그의 장계(狀啓)...
    이칭별칭 현지(玄之)| 판교(板橋)
  • 이익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스승 채제공의 관작이 추탈되던 때에 이윤행(李允行)ㆍ박명섭(朴命燮) 등의 모함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1805년 직첩(職牒)을 돌려 받고 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2년 뒤 ()의 추천으로 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다시 사양하다가 1812년 반송사(伴送使...
    이칭별칭 계수(季受)| 학록(鶴麓)| 정숙(靖肅)

고서·고문서(308)

  • 山居雜興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220 山居雜興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茶山花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910 茶山花史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 등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경주 소정 경주이씨
  • 不亦快哉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700 不亦快哉行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30년 () 의계안지(義稧案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악장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5∼1821).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어 1773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804년(순조 4)에 정순황후가 재차 수렴청정하려 할 때 이를 반대하였다.

  • /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 7월 15일∼1849년(헌종 15).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헌복, 조부는 이홍저. 부친 이주령과 모친 권학도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윤희의 딸이다. 종조숙부 이종휴의 문하에서 배웠다. 유심춘· 이인행·유휘문 등과 교유하였다. 저

  • 대계문집 / 大溪文集 [종교·철학/유학]

    권3에 서(序) 12편, 기 5편, 발 7편, 명 1편, 축문 3편, 권4에 제문 22편, 묘지명 4편, 광기(壙記) 6편, 권5·6에 행장 등 17편, 유사(遺事) 1편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은 (), 묘갈명은 유치명(柳致明)이 지었다. 소의 「의청선사철향

  • 급건재만록 / 及健齋漫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의계·교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본집은 8권 6책, 목활자본. 별집은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간행연대 및 편집·간행자는 미상이다. 문집의 간행은 저자가 영의정을 역임한 고관인 만큼 생전에 되었으나, 유루(遺漏)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