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시명” 에 대한 검색결과 6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2)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0(선조 23)∼1674(현종 15).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회숙(晦叔), 호는 석계(石溪). 영해(寧海) 출신. 현감 함(涵)의 아들이며, 이조판서 현일(玄逸)의 아버지이다.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이칭별칭 회숙(晦叔)| 석계(石溪)
  • 석계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원리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1호. 조선 인종, 현종때의 학자인 석계 ()과 정부인(貞夫人)이 살던 집이다. 은 영...
    연계항목석계고택(石溪古宅)
  • 정부인안동장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8(선조 31)∼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인.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흥효(興孝)의 딸로, ()의 부인이며, 현일(玄逸)의 어머니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시문‧서화에...
  • 단고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미질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36년(영조 12)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경내의 건물로는 묘우(廟宇)인 경현사(景賢祠),
  • 석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부록에 수록된 「석천서당중수기(石川書堂重修記)」로 보아 고종연간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고서·고문서(648)

  • 석계(石溪)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36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670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612년 ()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670년 () 대훈(大訓)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가정교육-내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비망기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신문·잡지(4)

  • 京商議立候補 累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조선중앙일보 京商議立候補 累計 1935년 10월8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 신의원 입후보자 수는 7일 현재 30명 정원...
    대표표제어京商議立候補 累計二十名 | 연월일1935년 10월8일 | 지역서울
  • 商業振興懇談 出席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商業振興懇談 出席 1933년 6월10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에서 8일 중소상업자 약 20명이 출석하여 상업진...
    대표표제어商業振興懇談 二十名出席 | 연월일1933년 6월10일 | 지역서울
  • 조선사상통신_1929_3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報恩郡に恩典なし-忠北の罹災民救濟 53 飢と寒さに死んだ者-昨年中平壤に於ける統計 53 狐で生くる-咸北明川郡の啓蒙事業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 조선사상통신_1928_3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51 憎むべき犯罪 52 間島共産黨員-京城へ護送さる 52 水道料滯納者一萬餘戶に斷水 ...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28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590(선조 23)∼1674(현종 15). 조선 후기의 학자. 함 아들, 현일의 아버지이다. 장흥효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강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1640년(인조 18)에는 영양의 석보, 1653년(효종 4)에는 영양의 수비, 1672년(현종 13)에는

  • 단고서원 / 丹皐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미질리에 있었던 서원. 1736년(영조 12)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경내의 건물로는 묘우(廟宇)인 경현사(景賢祠), 강당인 숭정당(崇禎堂), 신문(神門), 동재(東齋)와 서재(

  • 이영 / 李栐 [종교·철학/유학]

    1670년(현종 11) 10월 19일∼1735년(영조 11) 5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함, 조부는 이다. 부친은 이융일, 모친은 김초의 딸이다. 부인은 성문하의 딸이다. 백부 이현일이 별세한 후에는 가학이 실추될까 염려되어 두 형과 함께 학문에

  • 갈암금양강도지 / 葛庵錦陽講道址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후기의 학자 이현일(李玄逸)이 학문을 강설하던 곳. 경상북도 기념물 제116호. 갈암(葛菴)이현일(1627∼1704)이 만년에 후학을 위해 강도(講道)하던 곳이다. 이현일은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의 아들이며,

  • 정부인안동장씨 / 貞夫人安東張氏 [문학/한문학]

    조선후기「학발시」, 「소소음」, 『정부인안동장씨실기』 등을 저술한 문인. 장흥효(張興孝)의 딸로, ()의 부인이며, 이현일(李玄逸)의 어머니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시문·서화에 능하였고, 수리학(數理學)에도 통달하였다. 특히, 10세 전후에 지은 「학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