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승택”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

  • 미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지는 못했으나 현대 조각 운동을 앞세웠던 이 그룹전에는 민복진(閔福鎭)‧()‧이종각(李鍾珏)이 한때 동참했다. 서울 미대 조각과 출신 신진들이 새로운 조형 지향과 젊은 실험 정신의 공동 의지로 낙우회(駱友會)를 만들고 주목받은 회원전을 시작한 것도...

고서·고문서(14)

  • 63128 B06312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高宗實錄 十三年(1876) 閏五月 고종실록_11305119_002 ○敎曰: “減死安置罪人崔鳳周、減死島配罪人金俊文等, 竝減等定配, 安置罪人、島配罪人李有信等、竄配罪人崔炳大、充軍罪人李敏德、遠配罪人裵翊承, 竝放逐鄕里。”
    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3130 B06313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高宗實錄 十三年(1876) 閏五月 고종실록_11305119_002 ○敎曰: “減死安置罪人崔鳳周、減死島配罪人金俊文等, 竝減等定配, 安置罪人、島配罪人李有信等、竄配罪人崔炳大、充軍罪人李敏德、遠配罪人裵翊承, 竝放逐鄕里。”
    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686 B06168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閏5月 20日_025 ○義禁府啓曰, 減死安置罪人崔鳳周, 減死島配罪人金俊文·沈聃應·金應淵·林根實·張赫普·李士元·驗察, 竝減等定配, 安置罪人, 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691 B061691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閏5月 20日_025 ○義禁府啓曰, 減死安置罪人崔鳳周, 減死島配罪人金俊文·沈聃應·金應淵·林根實·張赫普·李士元·驗察, 竝減等定配, 安置罪人, 島配罪人李有信·宋奎灝·趙光淳·鄭勉洙·張皓根·全亨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667 B06166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閏5月 19日_011 ○傳曰, 減死安置罪人崔鳳周, 減死島配罪人金俊文·沈聃應·金應淵·林根實·張赫普·李士元·驗察, 竝減等定配, 安置罪人, 島配罪人李有信·宋奎灝·趙光淳·鄭勉洙·張皓根·全亨哲, 竄配罪...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멀티미디어(1)

  • 서울 노동청 제1직업 안정소 현판식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8월 7일 오전 10시에는 노동청장이 참석한 가운데 노동청 서울 제1, 제2 직업안정소 개소식이 열렸다.
    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68년 8월 9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860 남한 경성 경복공립중학교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75면 ; 慶應大學 醫學部 제10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2509 일본 東京 慶應義塾 慶應義塾總覽 1940년도 1940―06―20 199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慶應義塾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별기고) 시민생활의 근대화를 위한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11 30 교육제주 17호 제주도교육위원회 17-19...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승택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815년(순조 1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훈, 조부는 이정주이다. 부친은 이소, 생부는 이흡이다. 외조부는 유도환이고, 처부는 홍익신이다. 1844년(헌종 10) 증광시에 병과 14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집의‧부호군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