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승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3)
- 이승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15(중종 10)∼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희로(希魯), 호는 관란(觀瀾). 경주 출신. 아버지는 훈도 계간(季干)이며, 어머니는 영천이씨(永川李氏)이다. 김대유(金大有)의 문인이다...이칭별칭 희로(希魯)| 관란(觀瀾)
- 이승증(李承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964 인물 이승증(李承曾) 이승증 李承曾 1515 1599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희로(希魯), 호는 관란(觀瀾). 1558년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초야에 은거하는 선비를 찾아 천거하는 인...유형분류인물
- 관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승증(李承曾)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21년(순조 21) 방손(傍孫) 홍리(弘离)와 7대손 언호(彦灝) 등이 편집, 간행한 초간본을 보완한 것으로, 1863년 9대손 익경(益慶)과 방손 운정(運...
고서·고문서(14)
- 관란선생문집(觀瀾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29 (第二十八統)統首忠翊衛沈成業 * 第二十九統의 오기이다.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正兵趙元生本密陽甲子戶口相准 第四戶 私奴毛老金年肆拾肆甲申本巨濟父水軍以男祖水軍李承曾祖吾石外祖私奴奉伊本固城母私婢牙生上典彦陽居金 永日妻良女而良年伍拾戊寅本固城父朴禾里同祖士奉曾祖士日外祖正兵朴同本固城率子貴山年拾柒辛亥率 女貴分年貳拾參乙巳率子春鶴年陸壬戌甲子戶口相准 第五戶 故化國...연도_면이름1687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四回夜里
- 19 第十九統統首文仁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0년_청양면(靑良面) 1720년 청양면(靑良面) 第三豆峴里 19 第十九統統首文仁尙 第一戶 府案付備邊司匠人不喩右道龜山分防軍兼兵營旗手軍文仁尙年五拾辛亥本南平父正兵士 男祖忠翊衛世立曾祖忠義衛學外祖正兵金宗好本慶州妻安召史年五拾辛亥本順興父驛 吏順生祖驛吏而承曾...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豆峴里
- 項德祥刦殺判詞 聽鳥得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夾者,左右挾棍也。吾東謂之周牢】 又不肯認。乃拿晴雲左右房二僧來問,亦互相掩飾,不肯吐實。項推官喝令夾起,二僧曰:“前月有寡婦馬氏,抱一兒子來寺許願。晴雲頓起淫心,哄入禪房,要行強姦。寡婦不從,先殺其子,又殺寡婦,私埋東廁,並不干我二人之事。” 晴雲見二僧證出眞情,不能掩飾,只得認曰:“我一人害...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風腫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不差氣結盛生熱者乃化爲膿若至爛敗則煞人右手關上脈浮而虛者病腫也 聖惠方【黑豆浸□】治風腫無問冷熱 黑豆二升炒熟 白花蛇一條重五兩酒浸炙微黃 大麻仁二升蒸熟 五加皮五兩剉 蒼耳子五兩酥炒微黃 牛蒡子一升酥炒微黃○右擣碎以生絹袋盛用好酒三斗內入瓷缸中封頭浸經七日開缸每於食前煖一中盞服之 治風毒腫令內消...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2)
-
이승증 / 李承曾 [종교·철학/유학]
1515(중종 10)∼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계간, 어머니는 영천이씨이다. 김대유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여 추천으로 건원릉참봉, 사옹원제조, 상의원제조, 상서원직장, 종부시첨정, 사도시직장을 지냈다. 저서로
-
관란문집 / 觀瀾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승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21년(순조 21) 방손(傍孫) 홍리(弘离)와 7대손 언호(彦灝) 등이 편집, 간행한 초간본을 보완한 것으로, 1863년 9대손 익경(益慶)과 방손 운정(運楨) 등이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