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숭일”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1(인조 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응중(應中), 호는 항재(恒齋). 아버지는 이조판서에 추증된 시명(時明)이며, 어머니는 안동장씨로 흥효(興孝)의 딸이다. 그는 ...
    이칭별칭 응중(應中)| 항재(恒齋)
  • 석천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3년까지 살면서 석계초당(石溪草堂)을 세웠다. 그 뒤 1676년(숙종 2)에 그의 넷째아들 ()이 초당에서 강학을 계속하였는데, 그의 학문이 뛰어나 사방에서 선비들이 모여들었다. 이 죽은 뒤 후손들이 선조의 뜻과 학문을 추앙하여 1831년(순조...
    연계항목석천서당(石川書堂)
  • 삼기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음풍영월(吟風詠月)하여 지은 것은 별로 없으며, 이명하(李明夏)ㆍ()ㆍ이성구(李成龜)ㆍ김도방(金道方)ㆍ유세림(柳世霖) 등 현인(賢人)이나 유학자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것이 많다. 서(書)는 이현일(李玄逸)ㆍ권두인(...
  • 항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원집은 의 조카 이재(李栽)가 정서해 둔 것을 1808년(순조 8) 현손 이우근(李宇根)이 보편(補編)하여 간행하였다. 속집은 7대손 이수영(李秀榮)이 원집에 누락된
  • 성재자경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게 하였다. 『자경록』의 끝에는 벗들과 학가산(鶴駕山)에 가서 읊은 유산시(遊山詩) 1편과 외삼촌인 김집(金潗)에게 올린 제문 1편을 수록하였다. 그 이하는 부록으로, 이현일(李玄逸)과 ()이 찬한 저자의 행장 2편과 권유(權愈)가 찬한 묘갈명, 『함...

고서·고문서(6)

  • 17세기 후반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 향약정규(鄕約定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692년 경상도의령의 수령으로 부임하였던 ()이 의령지역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제정한 향약이다. 향약의 4대강령인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에 따라 분류한 후 세부 규정이 나열되어 있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항재선생문집(恒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상량문의 조상의 덕을 잘이어서 자손의 번창을 비는 내용이다. 卷三 祭叔父恒齋先生文 (1) 숙부 (1631∼1698)을 제사지낸 글이다. 의 자는 應中, 호는 恒齋이고 李玄逸의 아우다. 祭朴正郞-滈-文 (2) 朴滈를 제사하는 글이다. 종질을 대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缶林洪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769년에 通政大夫 龍驤衛副護軍이 되었다가 資憲大夫 同知中樞府事에 올랐다. 先考處士府君行記 20 저자의 부친인 權重斗의 일대기이다. 자는 汝仰으로, 權怡와 全州柳氏의 사이에서 長男으로 태어났다. 恒齋 (1631~1698)의 曾孫女에게...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시명, 어머니는 장흥효의 딸이다. 형 휘일·현일이 있었다. 젊은 시절부터 과거공부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학연구와 심성수련에 심혈을 기울였다. 장악원주부, 의령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항재

  • 김상정 / 金尙鼎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728년(영조 4). 조선 후기 유학자. 항재 과 갈암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두 선생의 제자 중 유독 뛰어나 성리학을 하면 대성할 것이라는 말에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만을 연구하였다. 스승 이현일의 사후에 고향으로 돌아가 서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