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숭인” 에 대한 검색결과 1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3)

사전(115)

  • TD_L14_D_3345 인물 身親買賣, 入朝, 商賈, 中國人, 唾其面目 京師 吳思忠劾崇仁疏 D_14_04_08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149 인물 遷代太速, 守令, 三載考績之法, 政績, 擢用 麗末 本史 D_18_01_19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1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159 인물 嫉才高, 讒毁, 多方 尹紹宗, 李穡, 崇仁 麗史 D_05_04_06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388 인물 密直司事 星山, 京山, 中國 子安, 陶隱, 恭愍王, 辛禑, 牧隱 D_09_04_11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485 인물 表辭, 誠切, 士大夫, 著述, 歎服 中朝 高皇帝 勝覽 D_19_05_03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6)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과 朴宜中과 의 等을 擇ᄒᆞ야 敎官과 敎授ᄅᆞᆯ 兼ᄒᆞ니 性理의 學이 始興ᄒᆞ니라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三篇 近古 第一章 高麗 第二十六節 理學,始興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大韓歷史 卷一 初等大韓歷史_卷一 第三篇 近古 第一章 高麗 第四十二節 臺論,右袒 정인호 1908 옥호서림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恭讓王元年에 臺論이 李穡과 曺敏修와 ,等이 禑昌을 右...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三篇 近古 第一章 高麗 第四十二節 臺論,右袒
  • 25772 B025772 고지도 古智島 도서 부산광역시 新增東國輿地勝覽 慶尙道 東萊縣 古跡 ... 韓脩詩半輪江月上瑤琴一曲新聲古意深豈謂如今有鍾子只應彈盡伯牙心○柳淑詩他鄕作客頭渾 白到處逢人眼不靑淸夜沈沈滿窓月琵琶一曲鄭瓜亭○詩琵琶一曲鄭瓜亭遺響淒然不忍聽俯仰古今多少恨滿簾疏雨...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지역분류부산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新撰初等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宜中과 等을 擇ᄒᆞ야 敎官을 兼ᄒᆞ고 每日에 明倫堂에 坐ᄒᆞ야 經을 授케ᄒᆞ니 程子와 朱子의 性理學이 비로소 興ᄒᆞ니라
    서명新撰初等歷史 | 자료명高麗紀第五十九課

기타자료(2)

  • 발해 사신이 당 황제를 알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外臣部 25 通好) 【원문】 (元和)四年 男元瑜 爲銀靑光祿大夫·檢校祕書監·忽汗州都督 依前渤海國王 (『舊唐書』 199下 列傳 149下 北狄 渤海靺鞨) 【원문】 元和四年 嵩璘卒 子元瑜嗣 元瑜卒 弟言義權知國務 (『冊府元龜』 967 外臣部 12 繼襲 2) 【원문】...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이 당 황제를 알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06년(丙戌/신라 애장왕 7/발해 康王 正曆 12/唐 元和 1/日本 延曆 25, 大同 1)
  • 발해 사신이 당 황제를 알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璘卒 子元瑜立 改元永德 (『資治通鑑』 237 唐紀 53 憲宗昭文章武大聖至神孝皇帝) 【원문】 (元和)四年正月 以故渤海國王大嵩璘男元瑜爲銀靑光祿大夫簡較秘書監充忽汗州都督 冊爲渤海國王 (『冊府元龜』 965 外臣部 10 封冊 3) 【원문】 (元和)四年 男元瑜 爲銀靑光祿大...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이 당 황제를 알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09년(己丑/신라 애장왕 10, 헌덕왕 1/발해 定王 永德 1/唐 憲宗 元和 4/日本 平城天皇 大同 4)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347년(충목왕 3)∼1392년(태조 1). 고려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원구, 어머니는 언양김씨이다.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으로 일컬어진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숙옹부승이 되고, 성균사성, 동지사사, 첨서밀직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 오호도 / 嗚呼島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로 『도은집(陶隱集)』 권2, 『동문선(東文選)』 권8, 『청구풍아(靑丘風雅)』 권2, 『기아(箕雅)』 권13, 『대동시선(大東詩選)』 권1 등에 실려 있다. 은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문장이 전아하여 당시의 표

  • 제승사 / 題僧舍 [문학/한문학]

    고려 말에 ()이 지은 한시. 산속에 사는 도인의 집을 보고 지은 칠언절구시이다. 작자의 문집인 『도은문집 陶隱文集』 권3을 비롯하여 『청구풍아 靑丘風雅』·『기아 箕雅』·『대동시선 大東詩選』 등의 시선집과 『해동역사 海東繹史』에도 실려 있다. 형식은 칠언절

  • 도은선생집 / 陶隱先生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보물 제1465호. 『고려명현집』(영인본)의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사(辭) 1편과 오언·칠언고시 30제(題)로 모두 31제가 있고, 권2에는 오언·칠언율시로 154제, 권3에는 절구 152제로 시만 모두 336제이고 사

  • 경대시략 / 經臺詩略 [언론·출판]

    저자 김상현(1811-1890).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60장이다. <경대사략>은 김상현이 1823년부터 1829년까지 지은 시 174제가 실려 있는 시집인데, 후반 15장은 성효원, 박순, 성몽정, , 신숙주, 최숙정, 이색, 양사언, 박지화, 강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