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순지” 에 대한 검색결과 2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7)

사전(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으로 조선의 역법은 완전히 정비되었다. 그 뒤 역법의 계산은 주로 와 김담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또, 이천(李蕆)‧장영실(蔣英實)과 함께 천문의상(天文儀象)들을 교정, 제작하였으며, 1445년에는 그때까지 조사, 정리된 모든 천문관계 문헌과 이론을 체계화...
    이칭별칭 성보(誠甫)| 정평(靖平)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종~세조 계승범 박종국 2014 성보(誠甫) 정평(靜平) 양반 남자 1406년(태종 6) 1465년(세조 11) 양성(陽城)...
  • 오성통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에 ()‧김담(金淡)이 편찬한 천문서. [내용] 1책. 활자본. 조선 세종 때 왕명에 의하여 ‧김담이 명나라 원통(元通)이 편찬한 ≪대통력궤 大統曆軌≫를 우리 실정에 맞게 교정, 재편찬한 책이다. ≪대통...
  • 선택요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가 나날의 행사에서 택일하는 방법을 요약하여 편집‧간행한 책. 상‧중‧하 3책. [내용] 목판본. 서문과 발문은 없고, 간행 연도도 알 수 없다. 가 1465년에 사망한 것으로 보아 이 책은 아마 세종 말...
  • 제가역상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45년(세종 27) ()가 편찬한 천문서. [내용] 4권 4책. 활자본. 이 책은 세종이 서운관(書雲觀)의 제도와 기구를 정비하고 역법(曆法)을 정리하여 ≪칠정산내외편≫을 편찬하게 하고 나서, 다시 에게 명하여 고금...

고서·고문서(145)

  • 1870년 () 처(妻)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下辰五 面稽天若 【梅云:“面考天心。” ○蔡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60_0080 下辰五 面稽天若 【梅云:“面考天心。” ○蔡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교육/문화-과학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역서(曆書)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세종은 조선의 실정에 맞는 역법(曆法)을 만들고자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세종은 《칠정산》을 통해 우리 자연환경에 맞는 날짜와 절기를 알려줌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일식‧월식과 같은 천문...
    저자이순지(李純之), 김담(金淡) | 간행시기1432년(세종 14)∼1442년(세종 24) | 판본형태(내편)3책, (외편)5책
  • 諸家曆象集 券一 天文 隋書 (, ?~1465) 7 古之言天者有三家一曰蓋天二曰宣夜三曰渾天 蓋天之說卽周髀是也其本庖犧氏立周天曆度其所傳則周公受於殷商周 人志之故曰周髀髀股也股者表也其言天似蓋笠地法覆槃天地各中高外下北極之下爲天地之中其地最高而滂沲四嘖三光隱映以爲晝夜 天中高於外...
    서명諸家曆象集 | 저자이순지(李純之, ?~1465)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1)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064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0면 (학과)본과 ; 5회 191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183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4면 (학과)사범과 ; 3회 1917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7816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0면 (학과)본과 ; 5회 191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793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4면 (학과)사범과 ; 3회 1917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과학/과학기술]

    ?∼1465(세조 11). 조선 전기의 문신·천문학자.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성보(誠甫). 동궁행수(東宮行首)로 있다가 1427년(세종 9)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교리·봉상시판관·서운관판사(書雲觀判事)·승정원좌부승지 등을 거쳐 1465년(세조 11) 판중추원사에

  • 앙부일구 / 仰釜日晷 [과학/과학기술]

    1434년(세종 16)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 1434년(세종 16)에 제작되었다. 앙부일구의 제작자는 불분명하지만 “(세종이) ()에게 명해 의상(儀象)을 교정(校正)하게 하니, 곧 지금의 간의(簡儀)·규표(圭表)·대평(大平 또는 天平)·현

  • 교식추보법 / 交食推步法 [과학/과학기술]

    1459년(세조 5)에 ()와 김석제(金石悌)가 편찬·간행한 천문서. 1권 1책으로 활자본이다. 교식(交食), 즉 일식과 월식의 시각과 상황을 추산·예보하는 방법에 대해 실례를 들어 해설하였다. 이 책의 산학발몽(算學發蒙)에는 수학의 공식과 계산 예를 실었

  • 칠정산내편 / 七政算內篇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에 ()와 김담(金淡)이 편찬한 역서(曆書). 3책. 활자본.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에 대한 해설서이다. 칠정(七政)이란 일·월과 오성(五星), 즉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5개 행성(行星)을 가리킨 것으로, 이

  • 칠정산외편 / 七政算外篇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 ()·김담(金淡)이 간행한 역서(曆書). 5책. 활자본. 왕명에 따라 서역(西域)의 회회력법(回回曆法)을 연구하여 해설, 편찬한 책이다. 원나라는 이 회회력 이외도 중국력을 크게 개량한 ≪수시력 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