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수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5)
사전(63)
- 이수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재유고(愼獨齋遺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이수일 진무공신록권 및 영정 / 영정 조선중기 무신 이수일 (1554-1632)의 영정. 비단에 채색. 99㎝...이칭별칭 계순(季純)| 은암(隱庵)| 충무(忠武)|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 이수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번암집(樊巖集)』 이수일(1705-1779) 1705(숙종 31)-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근묵≫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자준(子俊)| 구호(龜湖)
- 이수일(李守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수일 이수일 李守一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무신 한국 조선 선조~인조 이현숙 이범직 2014 계순(季純) 은암(隱庵)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충무(忠武) 양반 남자 1554년(명종 9) 4월...
- 장한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중환(趙重桓)이 번안한 소설. [개설] 3권 2책. 활자본. 1913년 유일서관(唯一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이수일과 심순애의 비련을 그린 작품이다. 『매일신보』에 연재된 신문소설로서 전편[上]이 1913년 5월 13일부터 10월 1일까...
- 사우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다. [내용 및 평가] 지은이가 67세 때 회령(會寧)에 귀양가 있을 즈음 친구 이수일(李守一)에게서 거문고를 전해받고 자기의 고고한 절의를 소나무‧국화‧매화‧대나무에 비유하여 나타낸 것으로, 그 중에서도 대나무를 읊은 것이 가장 뛰어났다고 할 수 있다...
고서·고문서(647)
- 1809년 이수일(李壽一)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무술년 이수일(李樹一)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823년 이수일(李壽一) 등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43년 이수일(李秀逸)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743년 이수일(李秀逸)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구술자료(6)
- 이수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이수일 이수일 역사 인물 현대 함경도 길주군 구술자료 1. 1933년 11월 8일 함경북도구술자이수일 | 직업무직 | 지역함경도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 강소하는 할아버지가 자주 불렀던 노래라고 하면서 자청하여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 3. 30 (수)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1리 경로당 | 제보자강소하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자청하여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 3. 31 (목)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 경로당 | 제보자양춘부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 이두형은 신파극인 이수일과 심순애를 할 줄 안다며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09. 07. 28(화) | 조사장소제보자(이두형)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웃한치길14 | 제보자이두형
- 이수일과 심순애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노래 ‘연애노래’가 끝나자 “또 심수일 노래!” 라고 운을 띄우고 구연을 시작하였다. 노래를 마치자, 큰 소리로 웃으며 “욕은 하지 마소.” 라고 했다. 이 노래는 김분난 씨가 열 살 즈음에 들었던 노래라고 한다. 뒷부분에서는 변사의 말투를 흉내내어 구성지게 ...조사일시2011. 6. 5.(일)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금곡 2리 735-1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김분난
기초학문(1)
- 경제성분석시 통행시간절감편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수일, 게재일 : 201051688 이수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토목학회 2010 경제성분석시 통행시간절감편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3)
- 移囚日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슈 혹학라도며 혹슐이라도 김승문씨 작일에 일헌병령부로이슈가되얏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즁셔졍션방 구병조게 니동 통 오호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셔졍션방 구병조게 니동 통 오호가권을 젼용로 셩슈표엿더니 슈표을즁노의 셔실되여쓰니 슈모습득여도 휴지시홈 표쥬 李秀一 告白게재일1906년 1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즁셔졍션방 구병조게 니동 통 오호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셔졍션방 구병조게 니동 통 오호가권을 젼용로 셩슈표엿더니 슈표을즁노의 셔실되여쓰니 슈모습득여도 휴지시홈 표쥬 李秀一 告白게재일1906년 1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洛六品張敬遠九品徐相희仝權泰煥六品金泰洛九品元大圭六品李岐蕪任內部主事九品李鍾究仝洪淳龜任內部技手 六品皮秉俊仝韓宇仝李在봉仝李秀一九品劉日煥仝朴馨來仝李應泰完仝宋永鎭任廣濟院醫師以上三月一日게재일1905년 3월 23일 | 기사분류관보
- 강원인민보_1947_082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8월 27일 272 서창훈(徐昌勳)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연천, 남조선 이수일 민청 토지개혁 (23일 연천에서 본사 특파원 이수일 발) 38경계선을 남북으로 하여 이북에서는 토지개혁의 위대한 성과로써 토...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827_01 | 날짜1947년 8월 27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기타자료(5)
- 이수일;李壽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56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이수일;李壽逸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일;李秀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323 일본 札幌 北海道帝國大學 北海道帝國大學一覽 昭和3年~昭和4年 1929―01―15 545면 이수일;李秀逸 조선 1928년 3월 31일학교소재지역札幌 | 학교명北海道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일;李壽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56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80면 이수일;李壽逸 漆原금융조합 平林지소 제23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교학군) 고입제도 개선 방향 -후기 주간고 학군조정 및 배정방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헌 교육기회확대 중등선발정책 잡지 이수일 李修一 1989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수일 | 사료철명수도교육
- (생활지도를 위한 사례집편) 교우 관계로 이탈하려는 학생 지도 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이수일 1970 12 부산교육 161호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수일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8)
-
이수일 / 李秀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5∼1779). 급제 후 지평을 거쳐 14년 동안 장령과 헌납을 번갈아가며 역임하였다. 1762년 삼남지방에 흉년이 들자 장령으로서 제군문의 경비를 경감할 것 등 8조의 황정책을 진언하였다. 1771년 다시 헌납이 되고 이어 승지에 올랐다.
-
이수일 보령현감 해유문서 / 李秀逸 保寧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66년(영조 42) 7월 18일 수충청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동년 12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12월 18일에 이조에서 이수일(李秀逸)에게 조흘하였다. 이수일은 산해(山海)의 7대손으로 성(宬)의 아들이다. 1764년
-
이수일 황산겸임송라도찰방 해유문서 / 李秀逸 黃山兼任松羅道察訪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49년(영조 25) 7월 10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7월 21일에 수경상도관찰사겸순찰사가 병조에 문서 이관, 동년 8월 일에 병조에서 이조로 문서 이관, 동년 8월 26일 이조에서 이수일(李秀逸)에게 조흘하였다. 이수일은 산해(山海)의 7
-
장한몽 / 長恨夢 [예술·체육/영화]
한국영화 개척초기의 번안신파 영화. 원작은 일인 작가인 미기홍엽의 <금색야차>, 각색 및 감독은 이경손이다. 전도 유망한 학생인 이수일이 애인의 변심으로 세상을 원망하게 된다. 애인 심순애는 장안갑부인 김중배와 마음에 없는 결혼을 하게 된다. 그녀에게 복수하기 위해
-
진주향교 / 晋州鄕校 [교육/교육]
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풍화루(風化樓)를 신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3년(선조 36) 병사(兵使) 이수일(李守一)이 대성전을 중건하였고, 1644년(인조 22) 병사 김태허(金太虛)가 명륜당, 동·서재를 중건하였다. 1811년(순조 11)과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