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5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06)
사전(2,516)
- 오연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李琇)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석인본. 간행연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1770년(영조 46) 이세학(李世鶴)에 의하여 편집,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권두에 이세학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경상북도 경주...
- 이수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이수(李睟)의 묘.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54호. 봉분은 쌍분으로 부인 정씨와의 합장묘이다. 봉분 하단 둘레에 장대석을 이용해 호석을 둘렀...연계항목이수선생묘(李수先生墓)
- 이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84(우왕 10)∼1455(단종 3).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필휴(匹休), 호는 남정(楠亭). 포(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인민(仁敏)이고, 아버지는 총제(摠制) 수(穗)이며, 어머니는 홍상재(洪尙...이칭별칭 필휴(匹休)| 남정(南亭)| 안성(安成)
- 오담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억(李壽檍)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벽진이씨대종회(碧珍李氏大宗會)에 소장되어 있다. 권1ㆍ2에 모두 327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문집의 전체가 시로 구성되어 있고, 시상에서나 묘사...
- 매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수안(李壽安)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31년 하영기(河永箕)가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 118수, 권2에 서(書) 50편, 권3ㆍ4에 잡저 2...
단행본(2)
- 휴먼 디자인: 진화가 빚어낸 인간의 뇌, 마음, 행동, 그리고 사회와 문화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저자 : 박순영 , 구형찬 , 김준홍 , 박한선 , 유지현 , 이수지 , 좌정원 , 황... |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출판일 : 20230715진화행동과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에 대한 진화적 설명을 제공하는 학문으로, 여러 학문의 이론과 연구 방법을 넘나들며 인간성의 본질을 탐구한다. 이 책은 인간성의 기초를 이루는 생존, 번식, 성장, 노화, 사망부터 인간이 만들어 낸 사회, 문화, 종교까지 진화행동과학의 ...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駱川封事 退溪致仕還鄕, 次奇明彦韵奉呈 贈僧 失題二首 殷山縣題詠 忠憲公官職序次 東平都尉鄭載崙所撰 公私聞見錄 次泰仁閑亭主人
고서·고문서(16,668)
- 仁字二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70_0010 仁字二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恕字二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70_0020 恕字二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敬字二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70_0030 敬字二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擬古二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710 擬古二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飮酒二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390 飮酒二首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10)
- 이수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이수일 이수일 역사 인물 현대 함경도 길주군 구술자료 1. 1933년 11월 8일 함경북도구술자이수일 | 직업무직 | 지역함경도
- 이수남 독경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수남 독경 讀經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82 3423 서울 대담조사자료 1) 서울맹인독경인 이수남에게 귀신이 붙었을 때 하는 병경의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수남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 강소하는 할아버지가 자주 불렀던 노래라고 하면서 자청하여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 3. 30 (수)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1리 경로당 | 제보자강소하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자청하여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 3. 31 (목)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 경로당 | 제보자양춘부
- 이수일과 심순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 이두형은 신파극인 이수일과 심순애를 할 줄 안다며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09. 07. 28(화) | 조사장소제보자(이두형)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웃한치길14 | 제보자이두형
기초학문(217)
- 이수광의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문식, 게재일 : 200402826 김문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이수광의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d1ed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李樹廷의 「信仰告白書」와 「宣敎師派送呼訴文」 문헌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수강, 게재일 : 201241605 안수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회사학회 2012 李樹廷의 「信仰告白書」와 「宣敎師派送呼訴文」 문헌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8세기 金理守의 「擊錚」을 통해본 섬주민의 賦稅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70446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1 18세기 金理守의 「擊錚」을 통해본 섬주민의 賦稅 대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주호, 게재일 : 201616566 박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6
-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대회, 게재일 : 200409731 안대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975)
- 李鏥(李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鏥(李鏥) 서울 李鏥 李鏥 昌信町 220 식료품 - 두부 제조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鏥(李鏥)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두부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警吏受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슌검 홍현씨가 금번일본 박남회시찰 리지용씨의 보호로 부산지 나려다가 항 뎡거장부근에셔 졀도 박광한을 포착야 디경무셔에 압부일로 경무쳥에셔 홍씨의 경찰상 쥬의이 가상다야 상여금 일환을 급여얏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將校移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헌병에셔 일 일본령부에 교셥고 일젼에 잡혀간 졍위이하 특무졍교만 도합십이인을 달여다가 헌병에 류치얏고 그외에 병졸등은 아즉 일본렁부에 잇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三氏移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경시쳥에 피슈 박영효 리도 남졍쳘 삼씨 상금것 방셕이 되지못얏 그 갓쳐잇 쳐소가 협착야 공긔가 잘류통치못 으로 작일부터 특별히 경시쳥안에잇 슌검교습학교에 옴겨가도고 슌검슌사가쳬번야감슈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監囚移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왕모살 건과 의병간연으로 죠률뎡 죄인들을 감욱셔에 가도앗더니작일오젼 칠시에일슌샤가 압령야 남문안 일본군령부에 이슈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11)
- 이중간첩 조작사건인 이수근 사건 관련영상이다. 이 영상은 귀순한 이수근이 다시 북한으로 탈출하려다 압송되었다는 내용을 담았다. 귀순 당시의 기자회견 장면을 보여주었고 환대를 받았던 이수근이 변장을 하며 이중간첩활동을 했다고 설명한다. 또한 거리에 시민들이 모여 관련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9년 2월 1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6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1) 7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2) 8주차. 최고의 인기 가수에서 평범한 아낙으로 변신한 이애리수(李愛利秀) 9주차. 죽은 여배우를 위한 묘비명,차홍녀 45주차. 눈물의 여왕 이경설강좌제목한국 여배우 열전 | 강의자김남석
- 6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1) 7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2) 8주차. 최고의 인기 가수에서 평범한 아낙으로 변신한 이애리수(李愛利秀) 9주차. 죽은 여배우를 위한 묘비명,차홍녀 46주차. 눈물의 여왕 이경설강좌제목한국 여배우 열전 | 강의자김남석
- 6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1) 7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2) 8주차. 최고의 인기 가수에서 평범한 아낙으로 변신한 이애리수(李愛利秀) 9주차. 죽은 여배우를 위한 묘비명,차홍녀 47주차. 눈물의 여왕 이경설강좌제목한국 여배우 열전 | 강의자김남석
- 6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1) 7주차. 은은히지지 않는 별 석금성과 그녀의 연기 인생(2) 8주차. 최고의 인기 가수에서 평범한 아낙으로 변신한 이애리수(李愛利秀) 9주차. 죽은 여배우를 위한 묘비명,차홍녀 48주차. 눈물의 여왕 이경설강좌제목한국 여배우 열전 | 강의자김남석
기타자료(707)
- 이수;李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692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08면 - 이수;李燧 소화15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완;李秀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278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이수완;李秀玩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하;李樹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32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이수하;李樹夏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산;李壽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33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이수산;李壽山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수일;李壽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56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이수일;李壽逸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0)
-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경환 | 한국국학진흥원 | 2011 | 국내 | 경북
-
한국어 교육학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윤여탁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욱 | 한국국학진흥원 | 2008 | 국내 | 경북
-
한국인의 사유구조:6-11세기 불교 문헌을 통해 본 인식과 논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우제선 | 동국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한국학 프로그램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Chong Eun Ahn |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 2019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43)
-
이수 / 李隨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생원시에 제1위로 합격, 1410년(태종 10) 왕이 경명행수한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 사재감정·좌군동지총제, 1422년(세종 4) 황해도관찰
-
이수광 / 李睟光 [종교·철학/유학]
1563-1628. 조선 인조때의 유학자. 1584년 과거급제 이후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명나라에서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 <중우론> 등을 얻어왔다. 1614년 <지봉유설>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하였다. 또한 양명학, 불교, 도교에
-
이수도 / 利水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시방리에 있는 섬. 동경 128°42′, 북위 34°53′에 위치하며, 시방리 해안에서 동쪽으로 0.6㎞ 지점에 있다. 면적은 0.04㎢이고, 해안선 길이는 2.6㎞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10명(남 59명, 여 51명)이 거주하고 있
-
이수민 / 李壽民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무신. 지란 후손이다. 1676년(숙종 2) 무과급제하여 선전관이 되고, 훈련원 주부·도총부도사·경력, 고원군수·낙안군수·장흥부사가 되었다.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노론의 대신 김창집이 유배도중 통영을
-
이수봉 / 李壽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 후길 증손, 할아버지는 장, 아버지는 경익, 어머니는 남두수의 딸이다. 1757년 경상도의 민정을 살피기 위하여 안핵사, 같은해 역모사건이 일어난 제주도의 도민을 위무하기 위하여 제주위유어사가 되었다. 강계부사 재임 중 심폐를 지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