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3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306)
사전(1,221)
- 야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소(李熽)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75년(고종 12) 손광로(孫光魯)와 5세손 우빈(愚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손광로와 우빈의 발문이 있다. 경...
- 이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8(선조 1)∼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선초(善初), 호는 화암(花巖). 세조의 5남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현감 길(洁)이고, 아버지는 별좌(別坐) 우춘(遇...이칭별칭 선초(善初)| 화암(花巖)
- 이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몹시 좁음. 龍洞貴第果斥賣 所餘菫三百云 以此買京第不免耳小, 신좌모(申佐模), 43-11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이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창기이다. 공주의 모함에서 벗어난 소숙희가 덕을 베풀자 숙희의 10법을 지키겠다고 맹세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성의 셋째아들이다. 흉년으로 산남에 도적이 생겨 삼촌 이무가 대원수로자원 출전하였다가 화살에 맞아 사경을 헤매게 되자, 은침을 써 병을 치료한다. 그리고 무를 도와 전쟁에 나가 적장을 베어 공을 세운다. 도적을 평정하고 돌아오자 황제의 동생 양왕 민의 딸 교주군주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5)
- 경남 고성군 민요집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이소라 ... | 출판사 : 민족음악연구소, 공주대학교 | 출판일 : 20171010
- 경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이소라 ... | 출판사 : 민족음악연구소, 공주대학교 | 출판일 : 20170918
- 충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이소라 ... | 출판사 : 민족음악연구소, 공주대학교 | 출판일 : 20170801
- 경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이소라 ... | 출판사 : 민족음악연구소, 공주대학교 | 출판일 : 20170918
- 전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이소라 ... | 출판사 : 민족음악연구소, 고려대학교 | 출판일 : 20170817
고서·고문서(15,544)
- 與李昭圮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三卷 與李昭圯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3 與李昭圯 某啓無便久不奉書王子中來且出所惠書益知動止之詳為慰無量比日尊體何如既拜賜雪堂新詩又獲觀負日軒諸詩文耳目眩駭不能窺其淺深矣老病廢學已久而此心猶在觀足下新制及魯直無咎明略等諸人唱和於拙者便可格筆不復措辭近有李豸者陽翟人雖狂氣未...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이소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소식 박 여자 길림성(吉林省) 혼강시(浑江市) 알수없음 3 3 이소식, 조선생님, 상세한소식, 전화번호대표표제어이소식 | 성씨박
- 辭副校理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90 文集 卷九 ITKC_MP_0597A_0090_030_0060 辭副校理疏 정약용(丁若鏞) 公車類|疏箚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唐紹儀 : 訴訟 11-少尹金專管地方詞訟竝應行事件卷(少尹 金이 地方 詞訟과 應行事件을 專管한다는 문서)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당소의 소송(唐紹儀 訴訟) | 주제어통상관련 소송, 贸易诉讼, 貿易訴訟, 한성부소윤
- 査十二簫之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50 樂書孤存 卷四 ITKC_MP_0597A_1050_000_0030 査十二簫之制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樂書孤存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620)
- 칭칭이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권보학씨에게 예전에 칭칭이 소리를 했었는지 묻자 했었다며 청중들과 같이 부를 것을 제안했다. 그러자 김학순씨와 윤수남씨가 함께 부르겠다고 나섰다. 권보학씨가 구연을 시작하자 김학순씨와 윤수남씨는 처음에는 뒷소리만 하다가 나중에는 세 명이 번갈아가면서 불 ...조사일시2011. 01. 29(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 2리 138-1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권보학(#), 김학순(#1), 윤수남(#2)
- 칭칭이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아라리를 부른 후 이제 다 끝나고 자리를 정리하는 중에 제보자 박찬민이 칭칭이소리를 할 걸 그랬다면 손뼉치지 말고 매기라고 하여 소리가 시작되었다. 자연스럽게 제보자 김봉수가 선소리를 매기기 되었는데 아라리를 불렀던 제보자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제보자 김봉수는 잠...조사일시2009. 7. 6(월) | 조사장소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장평1리 노인복지회관 | 제보자김봉수(#), 박찬민(#1), 진철수(#2), 김영숙(#3),권오필(#4), 심남섭(#5), 최옥녀(#6), 이나금(#7), 김여자(#8), 천복례(#9)
- 액맥이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성주조왕풀이가 끝나고 바로 이어서 액맥이 소리를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0. 2.10(수) | 조사장소경상북도 문경시 이목리 마을회관 | 제보자홍옥선
- 둥당이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이장님께 전화를 드려서 마을에 노래 잘 하시는 어르신들이 계시냐고 물었더니, 어머님들이 노래를 잘 하신다고 하였다. 조금은 늦은 저 녁시간에 도착하니, 이장님께서 어머님들을 마을회관에 모아 놓고 계셨다. 처음에는 쑥스러운 듯이 먼저 나서서 노래하시길 꺼리시더니 ...조사일시2009. 4. 13(월) | 조사장소영광군 묘량면 영당리 운당 1구 마을회관 | 제보자나대순
- 액막이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물반주를 모두 빼고 실제 배에서 일하면서 부르는 모습을 재연한다는 의미로 '자세' 반주만으로 놋소리부터 썰소리까지를 불러준 보존회 원들이 잠시 쉬는 동안 조사자가 본 거문도 뱃노래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 하였다. 이후, 조사자가 마지막으로 민요 하나만 들려달라고 하...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죽촌마을 거문도뱃노래전수관 | 제보자정경용외 14인
기초학문(87)
- 이소룡(李小龍) 신화는 끝나지 않았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영은, 게재일 : 201615802 안영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6 이소룡(李小龍) 신화는 끝나지 않았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이소로쿠조(異素六帖)』의 구성과 패러디 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찬수, 게재일 : 201242583 임찬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학회 2012 『이소로쿠조(異素六帖)』의 구성과 패러디 방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이소크라테스와 시민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1524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양고전학회 2015 이소크라테스와 시민 교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이소크라테스의 범그리스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9524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이소크라테스의 범그리스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향수와 페이소스의 세계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종택, 게재일 : 199811288 서종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8 향수와 페이소스의 세계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1998
신문·잡지(604)
- 以小敵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난달 이십구일에 안셩군에 의병쳔여명이 둔취얏다 일병략간명이 츌기불의로 습격얏 그의병은 각쳐로환산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吏燒稅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쥬군에 셰무관리가 나려가 결호문부를 일병교부라되 상지고 젼장치 안이얏더니 신임군슈 림병항씨 부임던 날에 군리속들이 결세문부를 모다쇼화고 일졔환산야 셰무관의게 교부결부가 업슨즉셰금을슈봉슈업고 군무도 쳐리기얼엽다고 군슈가 부와 탁지부에 뎐보...게재일1907년 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牟利所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파쥬군 경에셔 텰로 뎡거장과 기타션로 광졈에 드러간 민유디뎐답의 인민이 간신이 지은 곡식을 뎡거장 일인이 일반식 타작야 라일로 민졍이 오오다 군슈 김규챵씨의 공보를 인야 농상공부에셔 텰도관리국으로 통쳡고 등폐습을금지△…△라게재일1906년 10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非閙伊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남도 함안군에 민요가 일어낫다말을 모모신문에긔된고로 부에셔 즉시 도관찰부에 뎐훈야 그 허실을 탐샤얏 관찰의 답뎐을거즉 군 인민등이 결셰상에 호소일이잇셔 고을로 들어왓다가 맛참 군슈가 마산포에 젼왕맛나 즉시허여진 일이오 인민이 긔료것은 안...게재일1907년 3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정리소(正理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정리소(正理疏) 正理疏 정리소 유통서지 正理疏 2 道證述 華嚴宗章疏并因明錄 T55, p. 1134c16대표표제어정리소(正理疏) | 대표서명正理疏 | 한글서명정리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51)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5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6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7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8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기타자료(174)
- 이소영;李韶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982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98면 이소영;李韶榮 충남 제3회 1910년 4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소영;李韶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32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수원학보 제61호 1925―09―10 43면 이소영;李韶榮 本3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소영;李韶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60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2면 이소영;李韶榮 충남 본과제3회 1910년 4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소영;李韶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23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5면 이소영;李韶榮 충남 제3회 1910년 4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소수;李小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46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49면 이소수;李小守 1923년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
세대로 본 역동의 한국 정당정치사 : 산업화, 민주화 세대의 증언(1945-2002)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익한 | 명지대학교 | 2012 | 국내 | 경기
-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장동호 | 공주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경환 | 한국국학진흥원 | 2014 | 국내 | 경북
-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amila Ermetova | Urganch Davlat Universiteti (Urgench State University) | 2022 | 국외
-
다양성, 평등성, 통합성에 기반한 미국 중서부 및 남부 지역의 한국학 강화 및 확장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Seung-kyung Kim | 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 2022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3)
-
이소 / 李熽 [종교·철학/유학]
1583년(선조 16)∼1613년(광해군 5).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이성욱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시 생원 2등 18위로 합격하였고, 1609년(광해군 1) 증광시 병과 3위로 급제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예문관검열을 거쳐, 1612년(광해군 4)
-
이손 / 李蓀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20(중종15). 조선 전·중기의 문신. 양중 증손, 할아버지는 우생, 아버지는 수철, 어머니는 이맹상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 선전관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조정랑·도총부경력, 김해부
-
김이소 / 金履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5∼1798). 대사헌·한성부판윤, 예조·이조·형조·병조·호조의 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1780년 대사헌 시절 홍국영의 삭탈관직을 주청하였고, 1781년《영조실록》 편찬을 담당했으며, 외교에 뛰어나 청나라에 다섯 번이나 다녀왔다.
-
무역소 / 貿易所 [역사]
조선 초기 여진에 대한 경제적인 회유 정책으로 국경 도시에 설치한 무역 장소. 이곳에서 그들이 필요한 생활 필수품을 바꾸어 가도록 허락하였다. 1406년(태종 6) 도순문사 박신언이 경성·경원 두 곳에 무역소를 설치해 여진인과의 교역을 허용함으로써 경제적인 교류를 통
-
이인소 / 李寅熽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억, 어머니는 윤원지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에 57세의 나이로 알성문과에 병과로 동생 인병과 함께 급제하였다. 1696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화폐유통의 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