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세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
사전(66)
- 이세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쌍백당집(雙栢堂集)』 이세화(1630-1701) 1630(인조 8)-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근묵≫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군실(君實)| 쌍백당(雙栢堂), 칠정(七井)| 충숙(忠肅)
- 이세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숙종이 인현왕후를 폐하려 하자, 팔십여 인과 함께 의논하여 임금께 상소를 올린 후, 관가에 잡혀간다. 숙종의 심문에 아비가 어미를 내치면 그 아들이 울며 간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고 하며, 죄가 있다면 임금이 직접 친국하게 하여 옥체를 손상한 것이라고 아뢴다. 박태보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세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숙종의 신하로, 오두인, 박태보 등과 함께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다. 고문을 기다리다가 다리를 만지며, ‘30년 동안 나라의 녹을먹어 살이 쪘더니 오늘 대궐 뜰 회초릿감이 되었다.’고 이야기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李世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776 李世華 인물 出刺, 遷都, 中道, 巨鎭, 蒙兵, 百計, 晝夜, 繕守, 隨機應變 江華, 廣州 高宗 勝覽 D_13_04_23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2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世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032 李世華 남자 蒙兵 眞州, 白翎島, 廣州 高宗 D_06_02_14 대동운부군옥 6권 2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2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52)
- 5 第五統統首李世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청양면(靑良面) 1765년 청양면(靑良面) 第九所等里 5 第五統統首李世華 第一戶 業武李世華年伍拾肆壬辰本慶州父學生震豪祖學生紀賢曾祖學生思仁外祖學生文聖望本南平妻 趙姓年伍拾肆壬辰本咸安父學生芝建祖通政貴汗曾祖通政天發外祖業武金成巾本金海率子兵營軍官 小斤...연도_면이름1765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九所等里
- 4 第四統統首李世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8년_청양면(靑良面) 1768년 청양면(靑良面) 第十所等里 4 第四統統首李世華 第一戶 業武李世華年伍拾漆壬辰本慶州父學生震豪祖學生起善曾祖學生思仁外祖學生文碩望本南平妻趙姓年伍拾柒壬辰本 咸安父學生芝建祖學生貴漢曾祖學生天發外祖學生金成建本金海女今故等乙酉戶口相...연도_면이름1768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所等里
- 1867년 이세화(李世和) 준호구(准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1 第十一統統首李世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6년_내상면(內廂面) 1786년 내상면(內廂面) 第三北洞里 11 第十一統統首李世化 第一戶 業武李世化年伍拾捌己酉本全州父業武斗忠祖永發曾祖訓鍊院僉正貴福外祖金坤本金海妻柳姓年 肆拾玖戊午本文化父介不祖有正曾祖繼仁外祖金漢朝本慶州率女年拾壹丙申等癸卯戶口相准 第...연도_면이름1786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北洞里
- 1888년 이목연(李穆淵)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신문·잡지(3)
- 황해일보_1952_081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 김원선 강원도, 양양군, 7년 전 8월15일 해방의 환호가 터져 오르는 가운데 강원도 양양군 어느 산골에서는 한 젊은이가 분주히 산길을 내려오고 있었다. 그는 리세화라는 농민이이였다. 빈한한 농가에 태여나서 열두살 때부터 지주의 머슴사리를 하다가...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815_02 | 책임주필김원선
- 황해일보_1952_081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선 황해일보사 강원도, 양양군, 7년 전 8월15일 해방의 환호가 터져 오르는 가운데 강원도 양양군 어느 산골에서는 한 젊은이가 분주히 산길을 내려오고 있었다. 그는 리세화라는 농민이이였다. 빈한한 농가에 태여나서 열두살 때부터 지주의 머슴사리를 하...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815_02 | 책임주필김원선
- 황해일보_1952_081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선 황해일보사 강원도, 양양군, 7년 전 8월15일 해방의 환호가 터져 오르는 가운데 강원도 양양군 어느 산골에서는 한 젊은이가 분주히 산길을 내려오고 있었다. 그는 리세화라는 농민이이였다. 빈한한 농가에 태여나서 열두살 때부터 지주의 머슴사리를 하...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815_02 | 책임주필김원선
기타자료(6)
- 이세화;李世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733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72면 1. 제12. 졸업생;11) 상과 제1회 졸업생 (1913년 3월 29일) (19인) 이세화;李世和 경성 동대문 밖 청...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세화;李世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20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3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이세화;李世華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세화;李世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586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2면 2. 제8. 졸업자;11) 상과 (19인) (1913년 3월 29일) 이세화;李世和 (원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세화;李世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122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8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이세화;李世華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세화;李世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499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58면 1. 卒業生;13) 13회(17명: 1922년 3월 졸업) 이세화;李世華 間島省 龍井村 勇知社賀敎村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이세화 / 李世華 [종교·철학/유학]
1630(인조 8)∼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계록 증손, 아버지는 이재. 큰아버지 희재의 양자로 들어갔다. 165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장령, 황해도·평안도·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지중
-
경문왕의 귀설화 / 景文王─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 경문왕의 귀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48경문대왕조(四十八景文大王條)에 ‘세 가지 좋은 일로 임금이 된 응렴(膺廉)’, ‘뱀과 함께 자는 임금’ 이야기와 함께 ‘당나귀 귀를 가진 임금’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설화성이 매우 풍부하여
-
노덕서원 / 老德書院 [종교·철학/유학]
94년 민정중과 오두인을, 1708년에 이상진과 이세화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
미륵선화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진지왕 때 국선(國仙)인 미륵선화에 관한 설화. 영이설화(靈異說話)에 속하며, 『삼국유사』 권3 미륵선화 미시랑 진자사(彌勒仙花未尸郎眞慈師)에 실려 있다. 이 설화는 미륵에 관한 최초의 우리 기록으로서 신라 미륵 사상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미륵이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