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세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44)
- 이세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세필(1642-1718)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근묵≫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군보(君輔)| 구천(龜川)| 문경(文敬)
- 이세필(李世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세필 이세필 李世弼 인물 문신 한국 조선 현종~숙종 이현숙 이범직 2014 군보(君輔) 구천(龜川) 양반 남자 1642년(인조 20) 1718년(숙종 44) 12월 6일 경주(慶州) ...
- 이종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9(숙종 25)∼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소(太素), 호는 목천(牧川).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형좌(衡佐)이며, 어머니는 윤지경(...이칭별칭 태소(太素)| 목천(牧川)| 정민(貞敏)
- 이종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계(松溪). 이항복(李恒福)의 5대손이며,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정좌(鼎佐)...이칭별칭 자순(子順)| 송계(松溪)
- 성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목소리와 광채 나는 모습. 상대방을 높인 말. 卽伏聞行軒來住花谷 聲光密邇 傾仰何量, 이세필(李世弼), 05-12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1)
- 악원고사(樂院故事)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內需司(1783)_전라도 김제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89454 18456_0084 奎18456 內需司(1783) 전라도 김제군 邑內面 道方坪 전라도 김제군 邑內面 道方坪 53 53결 이세필(李世必) 이세필(李世必) 한...자료번호18456_0084 [奎18456]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1783)_전라도 김제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89455 18456_0085 奎18456 內需司(1783) 전라도 김제군 邑內面 道方坪 전라도 김제군 邑內面 道方坪 218 218결 이세필(李世必) 이세필(李世必)자료번호18456_0085 [奎18456]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054 B04805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3年 9月 10日_013 ○備邊司啓曰, 大靜縣監金磬瓜滿之代, 因吏曹判書未及出仕, 尙未差出矣。 海外新迎吏卒, 久滯有弊, 宜有變通之道。 且得見京畿監司宋昌狀啓, 則楊州牧使李世弼, 身病甚重, 有難强令赴任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067 B048067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3年 9月 10日_013 ○備邊司啓曰, 大靜縣監金磬瓜滿之代, 因吏曹判書未及出仕, 尙未差出矣。 海外新迎吏卒, 久滯有弊, 宜有變通之道。 且得見京畿監司宋昌狀啓, 則楊州牧使李世弼, 身病甚重, 有難强令赴任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이세필 / 李世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항복의 증손, 이시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형조좌랑, 삭녕군수,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을 역임하였다.영광의 백산서원과 김제의 용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이계우 / 李啓宇 [종교·철학/유학]
1786 - 1833.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필이 5세조, 부친은 이만규, 어머니는 한경의 딸이다. 생부는 이현규, 생모 는 윤성진의 딸이다. 1830년(순조 30) 문과에 급제한 이후의 관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평소 독서를 좋아하여 경사에 널리 통달했으며
-
이종성 / 李宗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이항복 5세손, 이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이세필, 아버지는 이태좌, 어머니는 홍득우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홍문관부제학·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영남·관서 등에 어사로 파견되어
-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세필의 서(書)·예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35권 18책. 필사본. 그의 문인들이 필사하여 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7은 서(書) 27편, 권8∼35는 예설(禮說)로 구성되어 있다.서는 스승인 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를 비롯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