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세필” 에 대한 검색결과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4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42-1718)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근묵≫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군보(君輔)| 구천(龜川)| 문경(文敬)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현종~숙종 이현숙 이범직 2014 군보(君輔) 구천(龜川) 양반 남자 1642년(인조 20) 1718년(숙종 44) 12월 6일 경주(慶州) ...
  • 이종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9(숙종 25)∼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소(太素), 호는 목천(牧川).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형좌(衡佐)이며, 어머니는 윤지경(...
    이칭별칭 태소(太素)| 목천(牧川)| 정민(貞敏)
  • 이종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계(松溪). 이항복(李恒福)의 5대손이며,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정좌(鼎佐)...
    이칭별칭 자순(子順)| 송계(松溪)
  • 성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목소리와 광채 나는 모습. 상대방을 높인 말. 卽伏聞行軒來住花谷 聲光密邇 傾仰何量, (), 05-12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항복의 증손, 이시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형조좌랑, 삭녕군수,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을 역임하였다.영광의 백산서원과 김제의 용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이계우 / 李啓宇 [종교·철학/유학]

    1786 - 1833. 조선후기의 문신. 이 5세조, 부친은 이만규, 어머니는 한경의 딸이다. 생부는 이현규, 생모 는 윤성진의 딸이다. 1830년(순조 30) 문과에 급제한 이후의 관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평소 독서를 좋아하여 경사에 널리 통달했으며

  • 이종성 / 李宗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이항복 5세손, 이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 아버지는 이태좌, 어머니는 홍득우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홍문관부제학·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영남·관서 등에 어사로 파견되어

  •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서(書)·예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35권 18책. 필사본. 그의 문인들이 필사하여 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7은 서(書) 27편, 권8∼35는 예설(禮說)로 구성되어 있다.서는 스승인 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를 비롯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