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세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34)
- 우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세백(李世白)의 시문집. [내용] 10권 3책. 목판본. 1712년(숙종 38) 아들 의현(宜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창흡(金昌翕)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경희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 어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있었고 장래가 촉망되었으나 불행히 여역(厲疫)에 걸려 43세로 요절하였다. 뒷날 이세백(李世白)이 그의 문직을 거치지 못함을 애석하게 여기고, 경연(經筵)에서 임금에게 주달하여 승정원주서 겸 춘추관기사관 시강원설서(承政院注書兼春秋館記事官侍講院說書)에 추증되었다. ...이칭별칭 상경(商卿)
- 이세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선고(淸選考)』 『도곡집(陶谷集)』 이세백(1635-1703) 1635(인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 ≪근묵...이칭별칭 중경(仲庚)| 우사(雩沙), 북계(北溪)| 충정(忠正)
- 이씨회심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이씨부인(李氏夫人)이 지은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일명 ‘이씨회향가’라고도 불린다. 496구의 장편가사이다. 안동지방의 규중에서 널리 유포되어 전한다. 작자는 안동군 도산(陶山)태생으로, 이황(李滉)의 7대손인 세백(世伯...이칭별칭이씨회향가
- 이보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4(숙종 10)∼1762(영조 3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원(聲遠). 좌의정 세백(世百)의 재종손이다. 음보로 기용되어 벼슬길에 올라 평양부윤이 되었는데 1725년(영조 1) 부정혐의로 관직이 ...이칭별칭 성원(聲遠)| 충정(忠貞)
고서·고문서(126)
- 10 {第十統統首}---李世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부내면(府內面) 1684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三----里} 10 {第十統統首}---李世白 {統第一戶}---------{李世白}本慶州父記官廷元祖記官山立曾祖老職通政大夫猉獜外祖定虜衛許生本金海 --------{辛酉戶口相准} {第二戶}----...연도_면이름1684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里}
- 대하(大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955 B048955 대하 大蝦 수산물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6月 29日_027 ○右副承旨權是經啓曰, 黃海道五月朔乾大蝦各殿進上單子, 竝皆油染, 殊無敬謹之意, 黃海監司李世白, 請推考。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5447 B065447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27年 6月 12日_004 ○今月初十日引見時, 左議政李世白所啓, 頃者濟州牧使南至熏狀啓以爲, 本州遠在海島中, 故儒生輩, 難於出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尹爀爲開寧縣監, 李世白爲兵曹佐郞。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517 B07251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3年 12月 17日_008 ○有政。 吏批, 行判書李世白進, 參判徐宗泰, 參議洪受瀗進, 右承旨金洪福進, 吏批啓曰, 東萊府使有闕, 依例令備邊司議薦,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이세백 / 李世白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사경 증손, 할아버지는 후천, 아버지는 정악, 어머니는 김광린의 딸이다. 1657년(효종 8) 진사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그 곳에서 송준길의 가르침을 받았다. 1666년(현종 7) 의금부도사를 거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이보문 / 李普文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 유학자. 이사경 후손, 고조는 이후연, 증조는 이정악, 조부는 이세백이다. 부친 이의현과 모친 송하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신사철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잔병이 많더니 요절하였다. 슬하에 후손이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