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석복” 에 대한 검색결과 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

  • 김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그는 가동(家僮)이나 이정(里丁)을 100여 명을 모으고, 그의 종재 중익(重益)은 군량을 도와 백의(白衣)로 거의(擧義)하였다. 곤양(昆陽) 군수 우하형(禹夏亨)에게 가 영장(營將) (), 남해현령(南海縣令) 윤하(尹㵑)를 도와 난을 평정하였는데...
    이칭별칭 응삼(應三)| 관어재(觀魚齋), 퇴장암(退藏菴)
  • 옥인(玉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3명의 당상관, 예조 좌랑 ()을 비롯한 3명의 낭청이 참여하였다. 실무진으로는 진행 사항을 감독하는 별공작선공감감역관(別工作繕工監監役官) 1명, 옥인의 인문을 쓴 옥인전문서사관(玉印專門書寫官) 1명, 유사시를 대비한 차비관(差備官) 1명, 옥인을 진상할...
    상위어보인(寶印), 어보(御寶), 인장(印章) | 관련어남양옥(南陽玉), 책봉(冊封), 책봉인(冊封印)

고서·고문서(45)

  • 別將, 崔岩爲草芝萬戶, 申翼成爲德津萬戶, 朴弼均·趙明履·李箕鎭·任守迪·金·魚錫胤爲副司直, 朴樞·爲副護軍, 洪益三爲司正, 金鳴鳳·孫景大·趙世大爲副司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0862 B060862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6年 7月 22日_020 ○執義許沃, 掌令等, 啓曰, 請逆坦孥籍, 一依王府草記, 卽〈令〉擧行, 請〈還寢〉泰績酌處之命, 仍令鞫廳, 嚴鞫得情, 夬正王法。 請還寢夏宅島配之命, 仍令鞫廳, 嚴訊得情, 夬正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 第二十一統統首朴以建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99년_범서면(凡西面) 1699년 범서면(凡西面) 堀火驛里 21 第二十一統統首朴以建 統第一戶黃山道堀火驛吏朴以建年參拾伍乙巳本慶州父通政大夫允儀祖驛曾祖通政大夫芿叱卜外祖通政大夫驛吏金 石乙福本金海妻趙召史年參拾參丁未本長只父驛吏八生祖驛吏永男曾祖驛吏春奉外...
    연도_면이름169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堀火驛里
  • , 終不敢出, 令營將, 率夏亨等先行。 碩復至山陰, 復欲逗遛, 夏亨慷慨擊劍曰: “討賊日急, 今何不棄老弱, 抄精壯疾趨逼戰?” 碩復囁嚅曰: “君能爲此否?” 夏亨曰: “吾能爲之。” 遂與碩復, 分兵領千摠, 南海縣監尹㵑、起復前縣監河必圖等, 倍道疾馳, 碩復與河東府使朴道常繼進,...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遠]僉使, 周道平爲安義僉使, 柳淀爲德浦僉使, 元弼揆爲宣傳官, 爲訓鍊判官, 具侙爲都摠都事, 崔道章爲訓鍊副正, 朴淳貞爲訓鍊主簿, 韓日運爲訓鍊主簿, 柳萬成·南泰績爲都摠都事, 閔弘洙爲訓鍊僉正, 鄭纘述爲訓鍊正, 李檉爲都摠經歷, 鄭智爲羽林衛將, 金錫保爲內禁將, 趙鼎期爲惠山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신막역□ 비료26차량이 도착되어 급속히 운반되여야 되었는 바 28일 비가 나리었다. 비료가 저즐 것을 우려한 군소비조합위원장 동무를 비롯하여 직원 십여 명은 비상소집회의 동원되고 신막리 □□□□□□□□10명 또 다른 각 직장에서 400명이 총 동원하여 장시간□□...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418_03 | 책임주필이영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유생. 1667년(현종 8)에 상소를 올려 조정의 나이 어린 신하들이 싸움만 일삼으며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아울러 당시 유배 중이던 윤선도를 두둔하면서 여타의 죄수들은 사은을 입어 유배지에서 풀려나왔는데, 윤선도만 10여